朝三暮四.
조삼모사.
아침에 세 개(個), 저녁에 네 개. 도토리를 아침에는 세 개(個)를 주고 저녁에는 네 개를 주다.
1) 눈 앞의 차이(差異)만 알고 결과(結果)가 같음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2) 간사(奸邪)한 꾀로 다른 사람을 속이는 행동(行動)을 비유(比喩)하는 말.
(열자(列子) 황제편(黃帝篇) 중에서……)
송(宋)나라의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은 원숭이를 좋아하여 무리를 이룰 정도로 많은 수의 원숭이들을 길렀다.
그는 원숭이들이 바라는 것을 잘 파악할 줄 알았으며, 원숭이들도 그런 저공의 마음을 고맙게 여겼다.
저공은 집안 사람들이 먹을 것을 줄이면서까지 원숭이들을 기르는 일에 정성을 다하였다.
얼마 되지 않아 원숭이들로 인하여 재산을 모두 탕진하였고, 원숭이들의 먹이를 줄이려 하였다.
원숭이들이 자기를 따르지 않을 것이 두려워진 저공은 먼저 원숭이들을 속이며 말하였다.
“가세가 기울어 이제부터 도토리는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를 주려고 한다. 괜찮겠느냐?”
원숭이들이 모두 일어나 화를 냈다.
잠시 후에 저공이 다시 말하였다.
“그렇다면 도토리는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겠다. 괜찮겠느냐?”
일어나 화를 내던 원숭이들이 모두 다시 앉으며 기뻐하였다.
중국(中國) 송(宋)나라에 원숭이를 사육(飼育)하던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지나치게 많은 원숭이들을 기르던 저공은 결국(結局) 재산(財産)을 탕진(蕩盡)하였고, 어쩔 수 없이 원숭이들의 먹이를 줄여야 할 처지(處地)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갑자기 먹이가 줄어든 원숭이들이 반발(反撥)할 것이 걱정된 저공은, 먼저 꾀를 내여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與若芧 朝三而暮四 足乎.
여약서 조삼이모사 족호.
“너에게 주는 도토리가, 아침은 세 개(個)이고 저녁은 네 개라면, 족(足)하겠느냐?”
(가세(家勢)가 기울어, 이제부터 도토리는 아침에 세 개(個), 저녁에 네 개를 주려고 한다. 괜찮겠느냐?)
예상(豫想)했던 대로 원숭이들은 크게 화(火)를 냈고, 이에 저공은 다시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도토리는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겠다. 괜찮겠느냐?”
그러자 원숭이들은 하루에 먹을 수 있는 개수(個數)는 동일(同一)하지만 당장(當場)에 먹을 도토리가 늘어난 것에 크게 기뻐하며 저공에게 감사하였습니다.
‘아침에는 세 개(個), 저녁에는 네 개’라는 뜻의 조삼모사(朝三暮四)는 눈앞의 차이(差異)만 알고 결과(結果)가 같음을 몰랐던 이 어리석은 원숭이들의 이야기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로, 열자(列子) 황제편(黃帝篇)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습니다.
※출전(出典):
- 열자(列子) 황제편(黃帝篇)
※원문(原文):
宋有狙公者,愛狙,養之成群,能解狙之意;狙亦得公之心。損其家口,充狙之欲。俄而匱焉,將限其食。恐眾狙之不馴於己也,先誑之曰:「與若茅,朝三而暮四,足乎?」眾狙皆起而怒。俄而曰:「與若茅,朝四而暮三,足乎?」眾狙皆伏而喜。物之以能鄙相籠,皆猶此也。聖人以智籠群愚,亦猶狙公之以智籠眾狙也。若實不虧,使其喜怒哉!
※원문(原文) / 해석(解釋):
宋有狙公者 愛狙 養之成群,
송유저공자 애저 양지성군,
송(宋)나라에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원숭이를 좋아하여, 그것을 길러 무리를 이루었고,
(송(宋)나라의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은, 원숭이를 좋아하여, 무리를 이룰 정도(程度)로 많은 수(數)의 원숭이들을 길렀는데,)
能解狙之意 狙亦得公之心.
능해저지의 저역득공지심.
원숭이의 뜻을 이해(理解)할 줄 알았으며, 원숭이도 또한 공(公)의 마음을 고맙게 여겼다.
(그는 원숭이들이 바라는 것을 잘 파악(把握)할 줄 알았으며, 원숭이들도 그런 저공의 마음을 고맙게 여겼다.)
損其家口 充狙之欲.
손기가구 충저지욕.
그의 가족(家族)의 입에 손해(損害)를 끼치며, 원숭이의 욕심(欲心)을 채웠다.
(저공은 집안 사람들이 먹을 것을 줄이면서까지, 원숭이들을 기르는 일에 정성(精誠)을 다하였다.)
俄而匱焉 將限其食.
아이궤언 장한기식.
얼마 되지 않아 탕진(蕩盡)하였고, 장차(將次) 그들의 음식(飮食)을 제한(制限)하려 하였다.
(얼마 되지 않아 원숭이들로 인(因)하여 재산(財産)을 모두 탕진(蕩盡)하였고, 원숭이들의 먹이를 줄이려 하였다.)
恐眾狙之不馴於己也 先誑之曰.
공중저지불순어기야 선광지왈.
많은 원숭이가 자기(自己)에게 얌전하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였고, 먼저 그들을 속여 말하였다.
(원숭이들이 자기(自己)를 따르지 않을 것이 두려워진 저공은, 먼저 원숭이들을 속이며 말하였다.)
與若芧 朝三而暮四 足乎.
여약서 조삼이모사 족호.
“너에게 주는 도토리가, 아침은 세 개(個)이고 저녁은 네 개라면, 족(足)하겠느냐?”
(너희들에게 도토리를 아침에는 세 개(個), 저녁에는 네 개를 주려고 하는데, 만족(滿足)하겠느냐?)
(가세(家勢)가 기울어, 이제부터 도토리는 아침에 세 개(個), 저녁에 네 개를 주려고 한다. 괜찮겠느냐?)
眾狙皆起而怒.
중저개기이노.
많은 원숭이가 모두 몸을 일으키며 분노(忿怒)하였다.
(원숭이들이 모두 일어나 화(火)를 냈다.)
俄而曰.
아이왈.
얼마 되지 않아 말하였다.
(잠시(暫時) 후(後)에 저공이 다시 말하였다.)
與若芧 朝四而暮三 足乎.
여약서 조사이모삼 족호.
“너에게 주는 도토리가, 아침은 네 개이고 저녁은 세 개라면, 족하겠느냐?”
(그렇다면 도토리는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겠다. 괜찮겠느냐?)
眾狙皆伏而喜.
중저개복이희.
많은 원숭이가 모두 엎드리며 기뻐하였다.
(일어나 화를 내던 원숭이들이 모두 다시 앉으며 기뻐하였다.)
※유의어(類義語):
- 조삼(朝三)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林火山(풍림화산) – 상황의 변화에 따라 그에 맞는 행동을 해야 한다는 뜻. (0) | 2019.05.31 |
---|---|
追女失妻(추녀실처) –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다가 소중한 것을 잃음을 비유한 말. (0) | 2019.05.30 |
韋編三絶(위편삼절) – 책을 많이 읽음을 비유하는 말. (0) | 2019.05.28 |
塞翁之馬(새옹지마) –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예측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0) | 2019.05.27 |
伯仲之間(백중지간) – 서로 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힘들다는 뜻. (0) | 2019.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