壟斷.
농단.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 주위(周圍)에서 가장 높은 언덕.
1) 이익(利益)이나 권력(權力)을 혼자서 독(獨)차지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맹자(孟子) 공손추편(公孫丑篇) 하(下) 중에서……)
옛날의 시장이란 자기가 가지고 있는 물건을 가지고 자기에게 없는 물건과 바꾸는 장소로, 시장의 관리는 다스리기만 할 뿐 세금을 거두지는 않았다.
말과 행동의 품격이 낮고 비열한 사내가 있었는데, 항상 높은 언덕을 찾아 올라가 주위를 둘러보고 사람이 많이 다니는 좋은 자리를 찾아 그곳에 자리를 잡고 많은 이익을 거두었다.
시장의 사람들은 모두 그 사내를 비열하다고 생각하였고, 그래서 그 사내에게서 세금을 징수하였다.
오늘날에 상인들로부터 세금을 징수하는 것은 이 사내로부터 시작되었다.
농단(壟斷)은 맹자(孟子)가 시장(市場)에 대(對)해 말한 것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입니다. (원문(原文)인 맹자(孟子) 공손추편(公孫丑篇) 하(下)에는 壟(농)이라는 글자 대신에 龍(용/농)이 사용되었으며, 龍은 언덕이라는 뜻으로 사용될 때는 ‘농’이라고 읽습니다.)
옛날의 시장은 나라에서 관리(管理)는 하였으나 상인(商人)들로부터 세금(稅金)을 징수(徵收)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어느 사내가 시장 근처(近處)의 높은 언덕에 올라가더니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보고 계속(繼續) 장소(場所)를 옮겨 다니며 물건(物件)을 팔았습니다. 그리하여 그 사내는 많은 이익(利益)을 거두었으나 시장의 다른 사람들로부터 원망(怨望)을 사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이 사내가 비열(卑劣)하다고 생각하였고, 그래서 홀로 많은 이익을 챙긴 사내에게서 돈을 받았는데, 이것이 상인들로부터 세금을 징수하게 된 시초(始初)가 되었습니다.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 ‘주위(周圍)에서 가장 높은 곳’이라는 뜻의 농단은 이 이야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로, ‘이익이나 권력(權力)을 혼자서 독(獨)차지함’을 비유(比喩)하여 많이 사용(使用)됩니다.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전(出典):
- 맹자(孟子) 공손추편(公孫丑篇) 하(下)
※원문(原文):
孟子致為臣而歸。王就見孟子,曰:「前日願見而不可得,得侍,同朝甚喜。今又棄寡人而歸,不識可以繼此而得見乎?」對曰:「不敢請耳,固所願也。」
他日,王謂時子曰:「我欲中國而授孟子室,養弟子以萬鍾,使諸大夫國人皆有所矜式。子盍為我言之?」
時子因陳子而以告孟子,陳子以時子之言告孟子。孟子曰:「然。夫時子惡知其不可也?如使予欲富,辭十萬而受萬,是為欲富乎?季孫曰:『異哉子叔疑!使己為政,不用,則亦已矣,又使其子弟為卿。人亦孰不欲富貴?而獨於富貴之中,有私龍斷焉。』古之為市也,以其所有易其所無者,有司者治之耳。有賤丈夫焉,必求龍斷而登之,以左右望而罔市利。人皆以為賤,故從而征之。征商,自此賤丈夫始矣。
※원문(原文) / 해석(解釋):
古之為市也,
고지위시야,
옛날의 시장(市場)이란,
以其所有易其所無者 有司者治之耳.
이기소유역기소무자 유사자치지이.
그가 가지고 있는 물건(物件)을 가지고 그가 없는 물건과 바꾸는 장소(場所)로, 유사(有司)는 그것을 다스릴 뿐이었다.
(자기(自己)가 가지고 있는 물건(物件)을 가지고 자기에게 없는 물건과 바꾸는 장소(場所)로, 시장의 관리(官吏)는 다스리기만 할 뿐 세금(稅金)을 거두지는 않았다.)
有賤丈夫焉,
유천장부언,
말과 행동(行動)의 품격(品格)이 낮고 비열(卑劣)한 사내가 있었는데,
必求龍斷而登之 以左右望而罔市利.
필구농단이등지 이좌우망이망시리.
반드시 깎아 세운 듯한 높은 언덕을 찾아서 그곳에 올라감으로써, 전망(展望)을 좌지우지(左之右之)하고 시장의 이익(利益)을 그물질하였다.
(반드시 깎아 세운 듯한 높은 언덕을 찾아 그곳에 올라가서, 주위(周圍)를 둘러보고 좋은 자리를 찾아 시장의 이익(利益)을 독(獨)차지하였다.)
(항상(恒常) 높은 언덕을 찾아 올라가, 주위(周圍)를 둘러보고 사람이 많이 다니는 좋은 자리를 찾아 그곳에 자리를 잡고 많은 이익(利益)을 거두었다.)
人皆以為賤 故從而征之.
인개이위천 고종이정지.
사람은 모두 비열하다고 생각하였고, 일부러 이리하여 징수(徵收)하였다.
(시장의 사람들은 모두 그 사내를 비열하다고 생각하였고, 그래서 그 사내에게서 세금(稅金)을 징수(徵收)하였다.)
征商 自此賤丈夫始矣.
정상 자차천장부시의.
상인(商人)에게서 징수한 것은, 이 말과 행동의 품격이 낮고 비열한 사내로부터 시작(始作)되었다.
(오늘날에 상인(商人)들로부터 세금을 징수하는 것은, 이 사내로부터 시작(始作)되었다.)
※유의어(類義語):
- 농단(隴斷)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 교육은 주위 환경의 중요하다는 뜻. (0) | 2019.06.05 |
---|---|
大義滅親(대의멸친) – 대의를 위해서는 사사로운 감정을 버려야 한다는 뜻. (0) | 2019.06.04 |
强弩之末(강노지말) – 강한 힘이나 세력도 마지막에는 그 힘이나 세력이 줄어서 약해짐을 비유하는 말. (0) | 2019.06.02 |
會者定離(회자정리) – 모든 것이 무상함을 뜻하는 말. (0) | 2019.06.01 |
風林火山(풍림화산) – 상황의 변화에 따라 그에 맞는 행동을 해야 한다는 뜻. (0) | 2019.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