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자문

千字文(천자문) (14) 坐朝問道(좌조문도) 垂拱平章(수공평장): 고대 중국의 훌륭한 임금들은 조정에 앉아 어진 신하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에 대해 물으며, 아무 일도 하지 않는 듯 하였으나..


千字文(천자문) (14)


坐朝問道 垂拱平章.
좌조문도 수공평장.
조정(朝廷)에 앉아 도(道)에 대(對)해 물으며, 옷 소매를 늘어뜨린 채로 팔짱을 끼고 있었으나 고르게 밝았다.
(고대(古代) 중국(中國)의 훌륭한 임금들은 조정(朝廷)에 앉아 어진 신하(臣下)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道理)에 대(對)해 물으며, 아무 일도 하지 않는 듯 하였으나 나라가 공명정대(公明正大)하게 다스려졌다.)


坐(좌): 앉다 朝(조): 조정
問(문): 묻다 道(도): 도
垂(수): 늘어뜨리다 拱(공): 팔짱 끼다
平(평): 균등하다 章(장): 밝다

※語句(어구):
問道(문도): ❶도(道)를 물음. 진리(眞理)를 물음. ②길을 물음.
垂拱(수공): ❶옷 소매를 늘어뜨리고 팔짱을 낌. -> 아무 일도 하지 않음,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하는 대로 보고만 있음, 일을 쉽게함을 비유(比喩)한 말. ②자연(自然)의 순리(順理)에 맡겨 천하(天下)를 다스림. 통치자(統治者)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천하(天下)를 잘 다스림. ③옷 소매를 늘어뜨리고 두 손을 맞잡고 인사(人事)함.
平章(평장): ❶고르게 밝음. 균등(均等)하게 밝음. -> 공명정대(公明正大)한 정치(政治)를 함, 공정(公正)한 정치(政治)를 함을 비유(比喩)한 말. ②공평(公平)하게 구별(區別)함을 비유(比喩)한 말. ③관직(官職)의 약칭(略稱). 평장정사(平章政事).


★★★★★★★★★★★★★★★★★★★★


☆☆☆☆☆☆☆☆☆☆☆☆☆☆☆☆☆☆☆☆


※音(음)과 訓(훈):


坐(좌): [土(흙토), 총7획] ❶앉다. ②무릎을 꿇다. 꿇어앉다. ③타다. 탈것에 타다. ④(솥이나 주전자(酒煎子)를 불 위에) 얹다. 올려놓다. ⑤(집 따위가) ~에/~쪽으로 위치(位置)하다/자리를 잡다. 어떤 방향(方向)을 뒤로 하다/등지다. ⑥가만히 있다. 가만히 앉아 있다. ⑦뒤로 밀리다/쏠리다. 아래로 내려앉다/꺼지다. ⑧맺다. 열리다. 열매를 맺다. 열매가 열리다. ⑨대질(對質)하다. ⑩연좌(緣坐)되다. 좌죄(坐罪)하다. 죄(罪)입다. 죄(罪)받다. 죄(罪)를 받다. 처벌(處罰)을 받다. ⑪병(病)이 나다/생기다. 병(病)에 걸리다. ⑫지키다. ⑬다스리다. 장악(掌握)하다. 주관(主管)하다. 주재(主宰)하다. ⑭머무르다. ⑮자리. 좌석(座席). ⑯사물(事物)을 세는 단위(單位). ⑰~까닭으로. ~때문에. ~이유(理由)로. ~로 인(因)하여. ⑱드디어. 마침내. ⑲잠깐. 우선. ⑳까닭 없이. 저절로. 공연(空然)히. 아무런 이유(理由) 없이.


朝(조): [월(달월), 총12획] ❶조정(朝廷). ②아침. ③왕조(王朝). ④임금의 재위(在位) 기간(期間). ⑤정사(政事). ⑥하루. ⑦성(姓)의 하나. ⑧만나보다. 임금을 뵈다/뵙다. 배알(拜謁)하다. 알현(謁見)하다. 참조(參朝)하다. ⑨문안(問安)하다. ⑩조하(朝賀)를 받다. ⑪~을 마주하다. ~으로/을 향(向)하다. ⑫부르다. 소견(召見)하다. ⑬모이다. 회동(會同)하다. ⑭정사(政事)를 펴다. 집행(執行)하다. ⑮물줄기가 큰 물에 모여들다/흘러들다/흘러 들어가다. ⑯~으로. ~으로 향(向)하여. ~쪽으로. ⑰고을의 이름 (주).


問(문): [口(입구), 총11획] ❶묻다. 질문(質問)하다. ②방문(訪問)하다. ③위문(慰問)하다. 안부(安否)를 묻다. ④문초(問招)하다. 문책(問責)하다. 심문(審問)하다. 추궁(追窮)하다. 취조(取調)하다. 책임(責任)을 묻다/따지다. ⑤판결(判決)하다. ⑥간섭(干涉)하다. 관계(關係)하다. 문제시(問題視)하다. 상관(相關)하다. ⑦해 보다. 시험(試驗)해 보다. ⑧찾다. ⑨알리다. ⑩부르다. ⑪선물(膳物)하다. 선사(膳賜)하다. ⑫소식(消息). ⑬물음. ⑭성(姓)의 하나. ⑮~에게. ~로부터. ~를 향(向)하여.


道(도): [辶(책받침), 총13획] ❶도리(道理). 이치(理致). 도덕(道德). 윤리(倫理). ②도(道). 학술(學術)이나 종교(宗敎)의 사상(思想) 체계(體系). ③길. 도로(道路). ④물길. 수로(水路). 흐름. ⑤길. 경로(經路). 방향(方向). 과정(過程). ⑥교설(敎說). 가르치며 설명(說明)함. ⑦재주. 기예(技藝). ⑧방법(方法). 방식(方式). 술책(術策). 기술(技術). ⑨바탕. 근원(根源). ⑩기능(機能). 작용(作用). ⑪주의(主義). 사상(思想). ⑫줄기. 가닥. 갈래. ⑬제도(制度). 법도(法度). ⑭불교(佛敎). ⑮승려(僧侶). 불교(佛敎)의 신자(信者). 불교도(佛敎徒). ⑯도교(道敎). ⑰도사(道士). 도교(道敎)의 신자(信者). 도교도(道敎徒). ⑱행정구역(行政區域)의 단위(單位). ⑲명령(命令)이나 문제(問題) 따위를 세는 단위(單位). ⑳문(門)이나 벽(壁) 따위를 세는 단위(單位). ㉑번(番). 회(回). 차례(次例). ㉒줄. 선(線). 가늘고 긴 흔적(痕跡). ㉓완벽(完璧)한 글. ㉔성(姓)의 하나. ㉕~에서. ~부터. ㉖가다. ㉗다니다. 통(通)하다. ㉘행(行)하다. ㉙말하다. ㉚감정(感情)을 말로 나타내다/표시(表示)하다. ⓐ~라고 생각하다. ~라고 여기다. ⓑ가르치다. ⓒ깨닫다. ⓓ정통(精通)하다. ⓔ다스리다. ⓕ이끌다. 인도(引導)하다. ⓖ따르다. ⓗ의존(依存)하다.


垂(수): [土(흙토), 총8획] ❶늘어지다. 늘어뜨리다. 드리우다. 아래로 처지다. ②고개를 숙이다. ③기울다. 쏟다. ④아래로 흐르다. 흘리다. 떨어뜨리다. 액체(液體)가 흘러내리거나 방울져 떨어지다. ⑤베풀다. 베풀어 주다. ⑥남기다. 전(傳)하다. 후세(後世)에 전(傳)하다. ⑦가까워지다. 거의 ~에 가깝다. 거의 ~되려 하다. 임박(臨迫)하다. 접근(接近)하다. ⑧가. 가장자리. 변두리. ⑨변경(邊境). 변방(邊方). ⑩항아리. ⑪사람의 이름. ⑫윗사람이너 상급자(上級者)가 자기(自己)의 어떤 행동(行動)에 대(對)하여 높여 이르는 말. ⑬특별(特別)히. 황송(惶悚)하게. ⑭거의. 곧.


拱(공): [扌(재방변), 총9획] ❶팔짱 끼다. ②(어깨/팔다리/몸을) 구부리다/움츠리다/웅크리다. ③두 손을 맞잡다. 두 손을 마주 잡다. 손을 맞잡아 가슴까지 올려 절하다. ④두 손으로 물건(物件)을 앉다. 껴안다. ⑤감돌다. 두르다. 둘러싸다. 에워싸다. ⑥가지다. 거두다. ⑦(몸 또는 몸의 일부(一部)를 이용(利用)하여) 밀어젖히다/파다/파헤치다/헤집다/떠밀다. ⑧싹 따위가 돋다/돋아나오다/솟다/솟아나다/트다. ⑨아름. 두 팔을 둥글게 모아서 만든 둘레. ⑩아무 일도 하지 않는 모양(模樣). ⑪궁륭형(穹窿形). 아치형(arch形). ⑫보옥(寶玉). 옥(玉)의 일종(一種). 큰 벽(璧). 큰 옥(玉). ⑬성(姓)의 하나.


平(평): [干(방패간), 총5획] ❶사사로움이 없다. 공평(公平)하다. 균등(均等)하다. ②평평(平平)하다. 바닥이 고르고 판판하다. ③고르다. 고르게 하다. ④정리(整理)되다. 가지런하게 되다. ⑤편안(便安)하다. 무사(無事)하다. ⑥평정(平定)하다. ⑦정(定)하다. 제정(制定)하다. ⑧이루어지다. ⑨바르다. ⑩갖추어지다. ⑪화목(和睦)하다. 화친(和親)하다. ⑫쉽다. 손쉽다. ⑬표준(標準). ⑭들판. 평원(平原). ⑮산제(山祭). ⑯평상시(平常時). 보통(普通) 때. ⑰보통(普通). 보통(普通)의 수준(水準). ⑱평성(平聲). 사성(四聲)의 하나. ⑲다스리다. 관리(管理)하다 (편).


章(장): [立(설립), 총11획] ❶밝다. 밝히다. ②크다. ③성(盛)하다. ④나타나다. 드러나다. ⑤글. 문장(文章). ⑥문장(文章)/악곡(樂曲)/시문(詩文) 따위의 절(節)/단락(段落). ⑦구별(區別). ⑧기(旗). 표지(標識). 휘장(徽章). ⑨본보기. 모범(模範). ⑩규정(規定). 법(法). 법식(法式). ⑪법(法) 따위의 조목(條目). 조항(條項). ⑫두서(頭緖). 조리(條理). 질서(秩序). ⑬무늬. 문채(文彩). ⑭도장(圖章). 인장(印章). ⑮큰 재목(材木). ⑯형체(形體). ⑰허둥거리는 모양(模樣). ⑱음력(陰曆)으로 열아홉 해. ⑲문체(文體)의 하나. 상소문(上疏文). 장(章). ⑳성(姓)의 하나.


★★★★★★★★★★★★★★★★★★★★


☆☆☆☆☆☆☆☆☆☆☆☆☆☆☆☆☆☆☆☆


※參考(참고):
- 강구가(康衢歌)와 고복격양가(鼓腹擊壤歌)


요순시대(堯舜時代)는 고대(古代) 중국(中國)의 요(堯)임금과 순(舜)임금이 덕(德)으로 나라를 다스리던 태평(太平)한 시대(時代)로, 이 중(中) 요임금이 다스리던 시대에 다음과 같은 일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요임금이 백성(百姓)들을 살펴보기 위(爲)해 허름한 옷을 입고 거리로 나섰는데, 한 마을에서 만난 아이들이 다음과 같은 노래를 부르고 있었습니다. (아이들이 부르던 노래를 강구가(康衢歌)라고 합니다.)


“우리가 이렇게 잘 사는 것은 임금님의 지극(至極)한 덕(德) 때문이지.
우리는 아무런 걱정없이 임금님의 뜻을 따르고 있다네.”


어린 아이들의 노랫소리에 기분(氣分)이 좋아진 요임금은 계속(繼續) 길을 가다가 노인(老人)들이 모여있는 곳에 도달(到達)하였는데, 배부르게 먹은 노인들이 배를 두드리고 땅을 쳐 박자(拍子)를 맞추며 다음과 같은 노래를 부르고 있었습니다. (이 노래를 고복격양가(鼓腹擊壤歌), ‘배를 두드리고 땅을 치며 부르는 노래’라고 합니다.)


“해가 뜨면 일을 하고, 해가 지면 쉰다네.
밭을 갈아 밥을 먹고, 우물을 파서 물을 마시니,
임금님의 힘이 나에게 무슨 필요가 있겠는가?”


노인들의 이 노랫소리를 들은 요임금은 아이들의 노랫소리를 들었을 때보다 더 크게 기뻐하였습니다.


노인들의 노래는 통치자(統治者)를 무시(無視)하는 듯한 내용(內容)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요임금은 통치자의 간섭이나 다스림이 없더라도 백성들이 즐겁게 살 수 있는 나라를 가장 이상적(理想的)인 나라로 생각하였고, 그래서 노인들의 노랫소리에 나라가 잘 다스려지고 있다고 생각하며 더 크게 기뻐했던 것입니다.


‘고대(古代) 중국(中國)의 훌륭한 임금들은 조정(朝廷)에 앉아 어진 신하(臣下)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道理)에 대(對)해 물으며, 아무 일도 하지 않는 듯 하였으나 나라가 공명정대(公明正大)하게 다스려졌다’라는 뜻의 좌조문도(坐朝問道) 수공평장(垂拱平章)은 요임금과 같은 훌륭한 임금들이 다스리던 태평한 시대를 표현(表現)한 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강구가(康衢歌)


立我烝民 莫匪爾極.
不識不知 順帝之則.


2) 고복격양가(鼓腹擊壤歌)


日出而作 日入而息.
耕田而食 鑿井而飮.
帝力何有于我哉.


★★★★★★★★★★★★★★★★★★★★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