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錦衣夜行(금의야행) – 아무런 보람이 없는 행동을 비유한 말.


錦衣夜行.
금의야행.
비단(緋緞)옷을 입고 밤길을 가다.
1) 아무런 보람이 없는 행동(行動)을 비유(比喩)하는 말.
2) 다른 사람이 알아주지 않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3) 자랑삼아 하지 않으면 생색(生色)이 나지 않음을 뜻하는 말.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 중에서……)


며칠 뒤, 항우(項羽)는 군대를 이끌고 서쪽으로 진격하여 함양성을 함락하고 그곳의 백성들을 도륙하더니, 급기야 항복한 진(秦)나라의 왕 자영(子嬰)까지 죽이고 진나라의 궁전을 불태웠는데, 불이 석 달 동안 꺼지지 않았다.


항우는 궁전에 있던 돈과 보물을 약탈하고 부녀자들을 납치한 뒤 군대를 돌려 고향인 동쪽으로 향했다.


항왕이 갑자기 고향으로 돌아가려 하자, 당혹한 사람들이 그를 타이르기 위해 말하였다.


“관중(關中)은 사방으로 산이나 강이 둘러 싸여서 외적이 침입하기 힘든 요새이며 땅까지 비옥하여, 장차 천하의 패권을 장악하려면 반드시 차지해야 할 요충지이니, 도읍으로 삼아 이곳에 계속 머물러야 합니다.”


항왕은 진나라의 궁전은 모두 불에 타서 더는 쓰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또 고향인 강동(江東)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이 컸기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부귀해졌는데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면 수놓은 옷을 입고 아무도 없는 조용한 밤에 길을 걷는 것과 같으니, 누가 그것을 알아주겠는가?”


설득하던 사람이 말하였다.


“사람들이 말하기를 ‘초(楚)나라 사람은 원숭이가 모자를 쓰고 사람처럼 꾸민 것일 뿐이라서, 겉모습은 사람을 닮았지만 속은 엉터리다’라고 하더니, 정말로 그러하구나.”


항왕이 그 말을 듣고 말을 한 사람을 삶아서 죽였다.

 



★★★★★★★★★★★★★★★★★★★★


☆☆☆☆☆☆☆☆☆☆☆☆☆☆☆☆☆☆☆☆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과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가 천하(天下)를 두고 치열(熾烈)하게 다투던 때의 일입니다.


진(秦)나라의 도읍(都邑)인 함양(咸陽)을 점령(占領)한 항우는 황제(皇帝)였던 자영(子嬰)을 죽이고 궁궐(宮闕)을 불태우는 등(等)의 잔인(殘忍)한 행동(行動)을 서슴지 않았습니다.


그런 뒤 항우는 함양에 있던 수(數)많은 돈과 보물(寶物)을 약탈(掠奪)하고 부녀자(婦女子)들을 납치(拉致)하여 고향(故鄕)인 강동(江東)으로 돌아가려 하였습니다. 의외(意外)의 행동(行動)에 깜짝 놀란 신하들이 항우를 만류(挽留)하자, 그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富貴不歸故鄉 如衣繡夜行 誰知之者.
부귀불귀고향 여의수야행 수지지자.
“부귀(富貴)한데 고향으로 돌아가지 아니하면, 자수품(刺繡品)을 입고 밤에 길을 가는 것과 같으니, 누가 그것을 알아주겠는가?”
(부귀(富貴)해졌는데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면, 수(繡)놓은 옷을 입고 아무도 없는 조용한 밤에 길을 걷는 것과 같으니, 누가 그것을 알아주겠는가?)


‘비단(緋緞)옷을 입고 밤길을 가다’라는 뜻의 금의야행(錦衣夜行)은 이 이야기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로,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습니다.


★★★★★★★★★★★★★★★★★★★★


☆☆☆☆☆☆☆☆☆☆☆☆☆☆☆☆☆☆☆☆


※출전(出典):
-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


※원문(原文):
居數日,項羽引兵西屠咸陽,殺秦降王子嬰,燒秦宮室,火三月不滅;收其貨寶婦女而東。人或說項王曰:「關中阻山河四塞,地肥饒,可都以霸。」項王見秦宮皆以燒殘破,又心懷思欲東歸,曰:「富貴不歸故鄉,如衣繡夜行,誰知之者!」說者曰:「人言楚人沐猴而冠耳,果然。」項王聞之,烹說者。


※원문(原文) / 해석(解釋):


居數日 項羽引兵西屠咸陽 殺秦降王子嬰,
거수일 항우인병서도함양 살진항왕자영,
며칠을 머무르고, 항우(項羽)는 군대(軍隊)를 이끌고 서(西)쪽으로 가서 함양(咸陽)을 도륙(屠戮)하고, 진(秦)나라의 항복(降伏)한 왕(王)인 자영(子嬰)을 죽이고,
(며칠 뒤, 항우(項羽)는 군대(軍隊)를 이끌고 서(西)쪽으로 진격(進擊)하여 함양성(咸陽城)을 함락(陷落)하고 그곳의 백성(百姓)들을 도륙(屠戮)하더니, 급기야(及其也) 항복(降伏)한 진(秦)나라의 왕(王) 자영(子嬰)까지 죽이고,)


燒秦宮室 火三月不滅.
소진궁실 화삼월불멸.
진나라의 궁전(宮殿)을 불태웠는데, 불이 석 달 동안 꺼지지 않았다.


收其貨寶婦女而東.
수기화보부녀이동.
그들의 돈, 보물(寶物), 부녀자(婦女子)를 거두어들이고 동(東)쪽으로 갔다.
(항우는 궁전에 있던 돈과 보물(寶物)을 약탈(掠奪)하고 부녀자(婦女子)들을 납치(拉致)한 뒤 군대를 돌려 고향(故鄕)인 동(東)쪽으로 향(向)했다.)


人或說項王曰.
인혹설항왕왈.
사람들이 당혹(當惑)하여 항왕(項王)을 타이르며 말하였다.
(항왕의 갑작스러운 행동(行動)에 당혹(當惑)한 사람들이 그를 설득(說得)하기 위(爲)해 말하였다.)
(항왕이 갑자기 고향으로 돌아가려 하자, 당혹(當惑)한 사람들이 그를 설득(說得)하기 위(爲)해 말하였다.)


關中阻山河四塞 地肥饒 可都以霸.
관중조산하사색 지비요 가도이패.
“관중(關中)은 산(山)과 강(江)이 가로막고 사방(四方)이 막혔으며, 땅이 비옥(肥沃)하여, 패권(覇權)을 장악(掌握)하기 위(爲)한 도읍(都邑)에 적합(適合)합니다.”
(관중(關中)은 사방(四方)으로 산(山)이나 강(江)이 둘러 싸여서 외적(外敵)이 침입(侵入)하기 힘든 요새(要塞)이며, 땅까지 비옥(肥沃)하여, 장차(將次) 천하(天下)의 패권(覇權)을 장악(掌握)하려면 반드시 차지해야 할 요충지(要衝地)이니, 도읍(都邑)으로 삼아 이곳에 계속(繼續) 머물러야 합니다.)


項王見秦宮皆以燒殘破 又心懷思欲東歸 曰.
항왕견진궁개이소잔파 우심회사욕동귀 왈.
항왕은 진나라의 궁(宮)을 보고 모두 태워서 못쓰게 만들었다고 생각하였고, 또 마음은 동쪽으로 가서 의탁(依託)하고자 하는 생각을 품고 있어서, 말하였다.
(항왕은 진나라의 궁전은 모두 불에 타서 더는 쓰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또 고향인 강동(江東)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이 컸기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富貴不歸故鄉 如衣繡夜行 誰知之者.
부귀불귀고향 여의수야행 수지지자.
“부귀(富貴)한데 고향으로 돌아가지 아니하면, 자수품(刺繡品)을 입고 밤에 길을 가는 것과 같으니, 누가 그것을 알아주겠는가?”
(부귀(富貴)해졌는데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면, 수(繡)놓은 옷을 입고 아무도 없는 조용한 밤에 길을 걷는 것과 같으니, 누가 그것을 알아주겠는가?)


說者曰.
설자왈.
설득하던 사람이 말하였다.


人言楚人沐猴而冠耳 果然.
인언초인목후이관이 과연.
“사람들이 ‘초(楚)나라 사람은 원숭이가 모자를 쓰고 사람처럼 꾸민 것일 뿐이다’라고 말을 하던데, 참으로 정확(正確)하구나.”
(사람들이 말하기를 ‘초(楚)나라 사람은 원숭이가 모자를 쓰고 사람처럼 꾸민 것일 뿐이라서, 겉모습은 사람을 닮았지만 속은 엉터리다’라고 하더니, 정(正)말로 그러하구나.)


項王聞之 烹說者.
항왕문지 팽설자.
항왕이 그것을 듣고, 타이르던 사람을 삶았다.
(항왕이 그 말을 듣고, 말을 한 사람을 삶아서 죽였다.)


※유의어(類義語):
- 수의야행(繡衣夜行)
- 야행피수(夜行被繡)
- 의금야행(衣錦夜行)


※반의어(反義語):
- 금의환향(錦衣還鄕)


★★★★★★★★★★★★★★★★★★★★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