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存心篇(존심편) (40) 有過不知者蔽(유과부지자폐) 以言取怨者禍(이언취원자화): 잘못을 저질렀음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사람은 발전하지 못하며, 말을 잘못하여 다른 사..


明心寶鑑(명심보감) 存心篇(존심편) (40)


《素書》云:「有過不知者蔽,以言取怨者禍。」


소서(素書)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잘못을 저질렀음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사람은 발전하지 못하며,


말을 잘못하여 다른 사람에게 원망을 사면 화를 입을 수 있다.”

 

 


소서(素書)는 황석공(黃石公)이 중국 한(漢)나라의 장량(張良)에게 주었다는 병법서입니다.
황석공(黃石公)은 중국 진(秦)나라 말기에 세상을 피해 숨어 살던 선비이자 병법가로, 장량에게 병법서를 준 인물입니다.
장량(張良)은 중국 한나라의 개국공신으로, 자는 자방(子房)이라고 합니다. 황석공에게 받은 병법서를 활용하여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를 물리치고 천하를 통일하는데 큰 공을 세운 인물입니다.


★★★★★★★★★★★★★★★★★★★★


☆☆☆☆☆☆☆☆☆☆☆☆☆☆☆☆☆☆☆☆


明心寶鑑(명심보감) 存心篇(존심편) (40)


素書云.
소서운.
소서(素書)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有過不知者蔽,
유과부지자폐,
잘못이 있는데 모르는 사람은 해지며,
(잘못을 저지르고 깨닫지 못하는 사람은 발전(發展)하지 못하며,)
(잘못을 저지르고 고쳐야 함을 깨닫지 못하는 사람은 발전(發展)하지 못하며,)
(잘못을 저질렀음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사람은 발전(發展)하지 못하며,)


以言取怨者禍.
이언취원자화.
말로써 원망(怨望)을 부르는 사람은 재앙(災殃)을 내린다.
(말로써 다른 사람의 원망(怨望)을 사는 사람은 하늘이 재앙(災殃)을 내린다.)
(말을 잘못하여 다른 사람에게 원망(怨望)을 사면 화(禍)를 입을 수 있다.)


★★★★★★★★★★★★★★★★★★★★
☆☆☆☆☆☆☆☆☆☆☆☆☆☆☆☆☆☆☆☆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