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勇者 血氣之怒也. 소용자 혈기지노야. “소용(小勇)이라는 것은, 혈기(血氣)의 노여움이다. (소용(小勇)이란 하찮은 일로 치솟는 소소(小小)한 용기(勇氣)로, 대부분(大部分) 젊은 혈기(血氣) 때문에 치솟는 노여움이다.)
小(소): 소리/면적(面積)/용량(容量)/체적(體積) 따위가 작다. 수량(數量)이 적다. 정도(程度)가 낮다/얕다. 나이가 어리다/젊다. 힘/강도(强度) 따위가 약하다. 도량(度量)/장소(場所) 따위가 좁다/협소(狹小)하다. 시간(時間)이 짧다. 지위(地位)가 낮다. 勇(용): 용기(勇氣). 용맹(勇猛). *勇氣(용기): 씩씩하고 굳센 기운(氣運). 기백(氣魄). 기개(氣槪). 의기(義氣). 담력(膽力). 小勇(소용): 작은 용기. 젊은 혈기(血氣)의 쓸데없는 용기(勇氣). 젊은 혈기(血氣)에서 나오는 쓸데없는 용기(勇氣). 하찮은 일로 솟는 소소(小小)한 용기(勇氣). 한 사람을 대적(對敵)할 만한 정도(程度)의 용맹(勇猛). 만용(蠻勇). 분별(分別)없이 함부로 날뛰는 용맹(勇猛). 者(자): ~은. ~는. ~란. ~라는 것은. ~라는 사람은. ~라는 자(者)는. 낱말이나 구(句) 뒤에 쓰여 잠시(暫時) 멈추는 어기(語氣)를 나타냄. 血(혈): 피. 氣(기): 기운. 힘. 기(氣). 정력(精力). 왕성(旺盛)한 정신(精神). 血氣(혈기): 어떤 행동(行動)을 하고자 하는 욕망(欲望)을 일으키는 마음속의 뜨거운 기운. 격동(激動)하기 쉬운 의기(意氣). 之(지): ~의. ~는. ~은. ~하는. ~한. [관형어(冠形語)와 중심어(中心語) 사이에 쓰여 일반적(一般的)인 수식(修飾) 관계(關係)나 종속(從屬) 관계를 나타냄.] 怒(노): 노여움. 성. 격노(激怒). 분노(憤怒). 화(火). 也(야): [조사(助辭)] ~이다. ~하다. 문장(文章)의 끝에 쓰여 긍정(肯定), 결정(決定), 설명(說明), 판단(判斷)의 어기(語氣)를 표시(表示).
大勇者 禮義之怒也. 대용자 예의지노야. 대용(大勇)이라는 것은, 예의(禮義)의 노여움이다. (대용(大勇)이란 진정(眞正)한 용기로, 대의(大義)에 어긋나는 일을 보았을 때 치솟는 노여움이다.)
大(대): 크다. 大勇(대용): 참된 용기(勇氣). 큰 용기(勇氣). 진정(眞正)한 용기(勇氣). 큰 일을 당(當)하여 분발(奮發)하는 용기(勇氣). 禮(예): 예법(禮法). 예의(禮儀). 예절(禮節). 義(의): 의리(義理). 우의(友誼). 정의(情誼). 禮義(예의): 사람이 지켜야 할 예절(禮節)과 의리(義理). *大義(대의):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키고 행(行)하여야 할 큰 도리(道理). 정도(正道).
血氣之怒不可有 禮義之怒不可無. 혈기지노불가유 예의지노불가무. 혈기의 노여움은 있어서는 안 되고, 예의의 노여움은 없어서는 안 된다. (젊은 혈기 때문에 치솟는 노여움은 경계(警戒)해야 하지만, 대의에 어긋나는 일을 보았을 때에 치솟는 노여움은 반드시 필요(必要)하다.)
不(불): 아니하다. 可(가): ~해도 좋다. ~할 수 있다. 不可(불가): 안 된다. ~해서는 안 된다. ~할 수 없다. ~할 수가 없다. 불가(不可)하다. 有(유): 있다. 無(무): 없다.
知此 則可以見性情之正而識天理人欲之分矣. 지차 즉가이견성정지정이식천리인욕지분의. 이것을 알면, 성정(性情)의 바름을 보고 천리(天理)와 인욕(人欲)의 다름을 식별(識別)할 수 있다.” (대용과 소용의 차이(差異)를 깨닫고 노여워하는 까닭을 살펴보면, 그 사람의 성품(性品)이 올바른지 알 수 있고, 또 어떤 것이 하늘의 이치(理致)이고 어떤 것이 사람의 욕망(欲望)인지 구별(區別)할 수 있다.)
知(지): 알다. 깨닫다. 이해(理解)하다. 此(차): 이. 이것. 則(즉): ~면. ~하면. ~하면 곧. ~한다면. ~한다면 곧. ~할 때에는. ~하는 경우(境遇)라면. ~하는 경우(境遇)라면 곧. ~하면 ~하다. [인과(因果) 관계(關係)나 조건(條件)을 나타냄.] 可(가): ~해도 좋다. ~할 수 있다. 以(이): ~로. ~로써. ~으로. ~으로써. ~을 가지고. ~을 근거(根據)로. 可以(가이): ~할 수 있다. 가능(可能)하다. [가능(可能)이나 능력(能力)을 나타냄.] 見(견): 보다. 性(성): 사람의 본성(本性). 성품(性品). 타고난 사람의 천성(天性). 情(정): 뜻. 마음의 작용(作用). 감정(感情). 정(情). 정서(情緖). 性情(성정): 사람이 본(本)디 가지고 있는 성질(性質)과 심정(心情). 타고난 본성(本性). 타고난 성격(性格). *性品(성품): 사람의 타고난 천성(天性). 사람의 성질(性質)이나 됨됨이. 正(정): 곧다. 바르다. 똑바르다. 而(이): ~하고. ~하고 곧. ~하고도. ~하며. ~하면서. ~하더니. 그리고. 그래서. [순접(順接)을 나타냄.] 識(식): 알아보다. 분간(分揀)하다. 분별(分別)하다. 식별(識別)하다. 인식(認識)하다. 天(천): 하늘. 하느님. 조물주(造物主). 상제(上帝). 천제(天帝). 理(리): 도리(道理). 이치(理致). 사리(事理). 조리(條理). 天理(천리): 하늘의 바른 도리(道理). 천지자연(天地自然)의 이치(理致). 자연(自然)의 법칙(法則). 도리(道理). 이치(理致). 人(인): 사람. 인간(人間). 欲(욕): 색욕(色慾). 애욕(愛慾). 욕구(欲求). 욕망(慾望). 욕심(慾心). 人欲(인욕): 사람의 욕망(慾望). 사람의 욕심(欲心). 分(분): 다름. 구별(區別). 矣(의): ~다. ~이다. ~었다. ~았다. ~도다. 문장(文章)의 끝에 쓰여 진술(陳述)의 어기(語氣)를 표시(表示).
★★★★★★★★★★★★★★★★★★★★ ☆☆☆☆☆☆☆☆☆☆☆☆☆☆☆☆☆☆☆☆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