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勸學篇(권학편) (20) 好仁不好學(호인불호학) 其蔽也愚(기폐야우): 어질고 자애로운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어리석고 둔한 사..


明心寶鑑(명심보감) 勸學篇(권학편) (20)


《論語》曰:「好仁不好學,其蔽也賊;好直不好學,其蔽也絞;好信不好學,其蔽也蕩;好勇不好學,其蔽也亂;好剛不好學,其蔽也狂。」


논어 양화편에 공자(孔子)께서 하신 말씀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어질고 자애로운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어리석고 둔한 사람이 될 뿐이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방종한 사람이 될 뿐이며,


진실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이 될 뿐이며,


공정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냉혹한 사람이 될 뿐이며,


용감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포악한 사람이 될 뿐이며,


강직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분별없는 사람이 될 뿐이다.”

 

 


논어(論語)는 유교(儒敎)의 기본 경전인 사서오경(四書五經)의 하나로,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들의 언행이 기록되어 있는 책입니다. 7권(卷) 20편(篇)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습니다.


★★★★★★★★★★★★★★★★★★★★


☆☆☆☆☆☆☆☆☆☆☆☆☆☆☆☆☆☆☆☆

 

 

 

明心寶鑑(명심보감) 勸學篇(권학편) (20)


論語曰.
논어왈.
논어(論語)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논어(論語) 양화편(陽貨篇)에 공자(孔子)께서 하신 말씀이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好仁不好學 其蔽也愚,
호인불호학 기폐야우,
“인(仁)을 좋아하고 학문(學問)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弊端)은 우(愚)이고,
(어질고 자애(慈愛)로운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學問)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事理)를 알지 못하여 어리석고 둔(鈍)한 사람이 될 뿐이고,)


好知不好學 其蔽也蕩,
호지불호학 기폐야탕,
지(智)를 좋아하고 학문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은 탕(蕩)이며,
(지혜로운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방종(放縱)한 사람이 될 뿐이며,)


好信不好學 其蔽也賊,
호신불호학 기폐야적,
신(信)을 좋아하고 학문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은 적(賊)이며,
(진실(眞實)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남에게 해(害)를 끼치는 사람이 될 뿐이며,)


好直不好學 其蔽也絞,
호직불호학 기폐야교,
직(直)을 좋아하고 학문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은 교(絞)이며,
(공정(公正)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냉혹(冷酷)한 사람이 될 뿐이며,)


好勇不好學 其蔽也亂,
호용불호학 기폐야란,
용(勇)을 좋아하고 학문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은 란(亂)이며,
(용감(勇敢)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포악(暴惡)한 사람이 될 뿐이며,)


好剛不好學 其蔽也狂.
호강불호학 기폐야광.
강(剛)을 좋아하고 학문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은 광(狂)이다.”
(강직(剛直)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분별(分別)없는 사람이 될 뿐이다.)


★★★★★★★★★★★★★★★★★★★★


☆☆☆☆☆☆☆☆☆☆☆☆☆☆☆☆☆☆☆☆


※參考(참고):
공자(孔子)가 제자(弟子)인 자로(子路)에게 학문(學問)의 중요성(重要性)을 가르치며 했던 말입니다.


※出典(출전):
- 논어(論語) 양화편(陽貨篇) 8


※原文(원문):
子曰:「由也,女聞六言六蔽矣乎?」對曰:「未也。」「居!吾語女。好仁不好學,其蔽也愚;好知不好學,其蔽也蕩;好信不好學,其蔽也賊;好直不好學,其蔽也絞;好勇不好學,其蔽也亂;好剛不好學,其蔽也狂。


※原文(원문) / 解釋(해석):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由也 女聞六言六蔽矣乎?
유야 여문육언육폐의호?
“유(由)야, 너는 육언(六言)과 육폐(六蔽)를 들었느냐?”
(유(由)야, 너는 육언(六言), 즉(卽) 인(仁), 지(知), 신(信), 직(直), 용(勇), 강(剛)의 여섯 가지 덕목(德目)과 이에 따른 여섯 가지의 폐단(弊端)에 대(對)해 들어보았느냐?)


對曰.
대왈.
대답(對答)하여 말하였다.
(중유(仲由)가 대답(對答)하였다.)


未也.
미야.
“못하였습니다.”
(아직 들어보지 못하였습니다.)


居! 吾語女.
거! 오어녀.
“앉아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앉아라! 내가 너에게 육언과 육폐에 대해 알려 주겠다.)


好仁不好學 其蔽也愚,
호인불호학 기폐야우,
인(仁)을 좋아하고 학문(學問)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弊端)은 우(愚)이고,
(어질고 자애(慈愛)로운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學問)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事理)를 알지 못하여 어리석고 둔(鈍)한 사람이 될 뿐이고,)


好知不好學 其蔽也蕩,
호지불호학 기폐야탕,
지(智)를 좋아하고 학문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은 탕(蕩)이며,
(지혜로운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방종(放縱)한 사람이 될 뿐이며,)


好信不好學 其蔽也賊,
호신불호학 기폐야적,
신(信)을 좋아하고 학문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은 적(賊)이며,
(진실(眞實)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남에게 해(害)를 끼치는 사람이 될 뿐이며,)


好直不好學 其蔽也絞,
호직불호학 기폐야교,
직(直)을 좋아하고 학문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은 교(絞)이며,
(공정(公正)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냉혹(冷酷)한 사람이 될 뿐이며,)


好勇不好學 其蔽也亂,
호용불호학 기폐야란,
용(勇)을 좋아하고 학문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은 란(亂)이며,
(용감(勇敢)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포악(暴惡)한 사람이 될 뿐이며,)


好剛不好學 其蔽也狂.
호강불호학 기폐야광.
강(剛)을 좋아하고 학문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것의 폐단은 광(狂)이다.”
(강직(剛直)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학문에 힘쓰지 아니하면, 사리를 알지 못하여 분별(分別)없는 사람이 될 뿐이다.)


★★★★★★★★★★★★★★★★★★★★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