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順命篇(순명편) (17)
先儒曰:「世味非不濃艷,可以淡然處之。若富貴貧窮由我力取,則造物無權矣。」
옛 선비가 말하였다.
“세상을 살아가며 겪는 온갖 경험들은 아주 화려하지만,
태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좋다.
만약 부유함과 가난함이 자기의 마음대로 취하거나 버릴 수 있는 것이라면,
하늘은 아무런 힘이 없는 것이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順命篇(순명편) (17)
先儒曰.
선유왈.
옛 선비가 말하였다.
先(선): 옛날. 고대(古代). 이전(以前).
儒(유): ❶선비. 독서인(讀書人). 학자(學者). ❷유가(儒家). 유학자(儒學者).
先儒(선유): 옛 선비. 선대(先代)의 유학자(儒學者).
曰(왈):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라 하다. 가로되 ~라고 하다.
世味非不濃艶,
세미비불농염,
“세상(世上)의 맛은 아주 화려(華麗)하지만,
(세상(世上)을 살아가며 겪는 온갖 경험(經驗)들은 아주 화려(華麗)하지만,)
世(세): 세상(世上). 세계(世界). 천하(天下).
味(미): 맛.
世味(세미): 세상(世上)의 맛. 세상(世上)의 쓰고 단 맛. 세상(世上)의 인정(人情). 세상(世上)의 일. 사람이 세상(世上)을 살아가며 겪는 온갖 경험(經驗)을 비유(比喩)하는 말.
非(비): ~이 아니다. [부정정(否定的)인 판단(判斷)을 나타냄.]
不(불): 아니다. 비(非)의 뜻.
非不(비불): 아닌 것이 아니다. (한번 부정(否定)한 것을 다시 부정(否定)하므로 긍정(肯定)의 뜻으로 해석(解釋).)
濃(농): 색(色)이 진(津)하다. 짙다.
艶(염): 색채(色彩)가 곱다. 산뜻하다. 아름답다. 선명(鮮明)하다. 요염(妖艶)하다. 화사(華奢)하다.
濃艶(농염): 아주 화려(華麗)함. 요염(妖艶)하고 아름다움. 한껏 무르익은 아름다움. 화사(華奢)하리만큼 아름다움.
可以淡然處之.
가이담연처지.
태연(泰然)하게 대처(對處)할 가치(價値)가 있다.
(태연(泰然)하게 대처(對處)하는 것이 좋다.)
可(가): ❶~해도 좋다. ~할 수 있다. ②~할 만하다 ……
以(이): ~로. ~로써. ~으로. ~으로써. ~을 가지고. ~을 근거(根據)로.
可以(가이): ❶~할 가치(價値)가 있다. [선택(選擇) 가능(可能)함을 나타냄.] ②~할 수 있다. 가능(可能)하다. [가능(可能)이나 능력(能力)을 나타냄.] ……
淡(담): 담담(淡淡)하다. 욕심(欲心)이 없다. 감정(感情)/취미(趣味)/인상(印象)/관계(關係) 따위가 깊지 않다.
然(연): ~같은. ~처럼. ~하게. ~한. ~하다. ~한 모양(模樣). 그러하다. 그러한. 상태(常態)를 나타내는 접미사(接尾辭). 부사(副詞)나 형용사(形容詞) 뒤에 쓰여 사물(事物)의 동작(動作)이나 상태(狀態)를 나타냄.
淡然(담연): 담담(淡淡)함. 대수롭지 않음. 무심(無心)함. 태연(泰然)함.
*泰然(태연): 마땅히 머뭇거리거나 두려워할 상황(狀況)에서 태도(態度)나 기색(氣色)이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예사(例事)로움.
處(처): 처리(處理)하다. 대처(對處)하다.
之(지): [실제적(實際的)인 작용(作用)을 하지 않는 지시(指示) 대명사(代名詞). 주(主)로 문구(文句)의 말미(末尾)에 쓰임.]
若富貴貧窮由我力取,
약부귀빈궁유아력취,
만약(萬若) 부귀(富貴)와 빈궁(貧窮)이 자기(自己)의 힘으로 취(取)하는 것이라면,
(만약(萬若) 부유함과 가난함이 자기(自己)의 마음대로 취(取)하거나 버릴 수 있는 것이라면,)
若(약): 만약(萬若). 만일(萬一). 만약(萬若)/만일(萬一) ~이라면.
富(부): 가멸다. 잘살다. 부유(富裕)하다. 재산(財産)이 많다. 재산(財産)이 넉넉하고 많다.
貴(귀): 신분(身分)이 높다. 지위(地位)가 높다.
富貴(부귀): 재산(財産)이 많고 지위(地位)가 높음. 재산(財産)이 넉넉하고 지위(地位)가 높음.
貧(빈): 가난하다. 구차(苟且)하다. 빈곤(貧困)하다. 빈궁(貧窮)하다.
窮(궁): 가난하다. 어렵다. 구차(苟且)하다. 궁(窮)하다. 빈곤(貧困)하다.
貧窮(빈궁): 가난함. 가난하고 궁색(窮塞)함. 가난하여 궁(窮)함. 가난하여 생활(生活)이 매우 어려움.
由(유): ~으로. ~부터. ~으로부터. ~에서. ~에 의(依)해. 근거(根據)나 구성(構成) 요소(要素)를 표시(表示).
我(아): ❶자기(自己). 자신(自身). ❷나. 저.
力(력): 힘. 기력(氣力). 체력(體力).
取(취): 가지다. 손에 들다. 쥐다. 취(取)하다.
則造物無權矣.
즉조물무권의.
조물주(造物主)는 힘이 없는 것이다.”
(하늘은 아무런 힘이 없는 것이다.)
則(즉): ~면. ~하면. ~하면 곧. ~한다면. ~한다면 곧. ~할 때에는. ~하는 경우(境遇)라면. ~하는 경우(境遇)라면 곧. ~하면 ~하다. [인과(因果) 관계(關係)나 조건(條件)을 나타냄.]
造(조): 만들다. 세우다. 짓다. 건조(建造)하다. 제작(製作)하다. 제조(製造)하다.
物(물): 동물(動物). 만물(萬物).
造物(조물): 造物主(조물주). 만물(萬物)을 만들고 다스리는 신(神).
無(무): 없다.
權(권): 권세(權勢). 권력(權力). 권한(權限). 권리(權利). 힘.
矣(의): ~다. ~이다. ~었다. ~았다. ~도다. 문장(文章)의 끝에 쓰여 진술(陳述)의 어기(語氣)를 표시(表示).
※出典(출전):
약부귀빈궁유아력취(若富貴貧窮由我力取) 즉조물무권의(則造物無權矣)는 취고당검소(醉古堂劍掃)에서 비슷한 구절(句節)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취고당검소(醉古堂劍掃) 권오(卷五) 집소(集素)
※原文(원문):
若富貴,由我力取,則造物無權;若毀譽,隨人腳根,則讒夫得志。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