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5) 君子之事親孝(군자지사친효) 故忠可移於君(고충가이어군): 군자는 정성을 다하여 부모님을 섬기므로, 임금에게도 부모님을 대하듯이 정성을 다하여 충..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5)

 

 

君子之事親孝,故忠可移於君;事兄弟,故順可移於長;居家理,故治可移於官。

 

군자는 정성을 다하여 부모님을 섬기므로,

 

임금에게도 부모님을 대하듯이 정성을 다하여 충성할 수 있는 것이며,

 

군자는 형을 공손히 받들어 모시므로,

 

어른에게도 형을 대하듯이 순종할 수 있는 것이며,

 

군자는 집안을 올바른 도리로써 다스리므로,

 

관리로서 직무를 수행함에도 집안을 다스리듯이 올바른 도리로 다스릴 수 있는 것이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5)

 

君子之事親孝 故忠可移於君,

군자지사친효 고충가이어군,

군자(君子)가 부모(父母)님을 섬김은 효()이며, 그래서 충성(忠誠)이 임금에게 이동(移動)할 수 있으며,

(군자(君子)는 정성(精誠)을 다하여 부모(父母)님을 섬기므로, 임금에게도 부모님을 대()하듯이 정성을 다하여 충성(忠誠)할 수 있는 것이며,)

 

事兄弟 故順可移於長,

사형제 고순가이어장,

()을 섬김은 공경(恭敬)함이며, 그러므로 순종(順從)함이 어른에게 이동할 수 있으며,

(군자는 형()을 공손(恭遜)히 받들어 모시므로, 어른에게도 형을 대하듯이 순종(順從)할 수 있는 것이며,)

 

居家理 故治可移於官.

거가리 고치가이어관.

집안을 다스림은 도리(道理)이며, 그러므로 다스림이 관직(官職)에 이동할 수 있다.

(군자는 집안을 올바른 도리(道理)로써 다스리므로, 관리(官吏)로서 직무(職務)를 수행(遂行)함에도 집안을 다스리듯이 올바른 도리로 다스릴 수 있는 것이다.)

 

출전(出典):

- 효경(孝經) 광양명장(廣揚名章)

 

원문(原文):

子曰:「君子之事親孝,故忠可移於君。事兄悌,故順可移於長。居家理,故治可移於官。是以行成於內,而名立於後世矣。」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