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17) 父母愛之(부모애지) 喜而不忘(희이불망): 부모님께서 그대를 사랑해 주시면 기뻐하면서 잊지 마라.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17)

 

 

曾子曰:「父母愛之,喜而不忘。父母惡之,懼而無怨。父母有過,諫而不逆。」

 

증자(曾子)가 말하였다.

 

부모님께서 그대를 사랑해 주시면,

 

기뻐하면서 잊지 마라.

 

부모님께서 그대를 미워하시더라도,

 

죄송스럽게 생각하며 반성하고 원망하는 마음은 품지 마라.

 

부모님께 잘못이 있더라도,

 

잘못을 바로잡으실 수 있도록 말씀은 드리되 부모님의 뜻을 함부로 거스르지 마라.”

 

 

 

증자(曾子)는 중국 춘추시대 노()나라 사람으로, 본명은 삼(), 자는 자여(子輿)라고 합니다. 공자(孔子)의 제자로, 효심이 두터웠던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17)

 

曾子曰.

증자왈.

증자(曾子)가 말하였다.

 

父母愛之 喜而不忘.

부모애지 희이불망.

부모(父母)님께서 사랑하시면, 기뻐하면서 잊지 마라.

(부모(父母)님께서 그대를 사랑해 주시면, 기뻐하면서 잊지 마라.)

 

父母惡之 懼而無怨.

부모오지 구이무원.

부모님께서 미워하시면, 두려워하면서 원망(怨望)하지 마라.

(부모님께서 그대를 미워하시더라도, 죄송(罪悚)스럽게 생각하며 반성(反省)하고 원망(怨望)하는 마음은 품지 마라.)

 

父母有過 諫而不逆.

부모유과 간이불역.

부모님께 잘못이 있으면, 간언(諫言)하되 거스르지 마라.”

(부모님께 잘못이 있더라도, 잘못을 바로잡으실 수 있도록 말씀은 드리되 부모님의 뜻을 함부로 거스르지 마라.)

 

 

※出典(출전):

- 대대례기(大戴禮記) 증자대효(曾子大孝)

 

※原文(원문):

父母愛之,喜而不忘;父母惡之,懼而無怨;父母有過,諫而不逆;父母歿,以哀,祀之加之;如此,謂禮終矣。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