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26)
養親只二人,常與兄弟爭。養兒雖十人,君皆獨自任。兒飽暖,親常問,父母飢寒不在心。勸君養親須竭力,當初衣食被君侵。
팔반가 (7/8)
봉양해야 할 부모님은 두 분밖에 없지만,
그대는 항상 형제와 봉양하지 않으려고 서로 다툰다.
그러나 길러야 할 자식은 아무리 많더라도,
그대는 모두 혼자서 책임을 진다.
부모님은 자식이 배부르게 밥을 먹고 따뜻하게 옷을 입는지 항상 걱정하시지만,
자식은 부모님의 배고픔과 추위를 생각하지 않는구나.
그대에게 권하겠네,
있는 힘을 다하여 부모님을 봉양하라,
그대가 입는 옷과 먹는 음식은 본디 부모님의 것이었다네.
-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26)
八反歌. (7/8)
팔반가. (7/8)
부모(父母)님께 효도(孝道)할 것을 권(勸)하는 여덟 수(首)의 시(詩).
八(팔): 여덟.
反(반): 곰곰이 생각하다. 돌이키다. 돌이켜 생각하다. 되돌아보다. 반성(反省)하다.
歌(가): 노래. 가곡(歌曲). 가사(歌詞).
養親只二人 常與兄弟爭.
양친지이인 상여형제쟁.
봉양(奉養)하는 부모(父母)님은 두 사람밖에 없는데, 항상(恒常) 형제(兄弟)와 다툰다.
(봉양(奉養)해야 할 부모(父母)님은 두 분밖에 없지만, 항상(恒常) 형제(兄弟)와 다툰다.)
(봉양(奉養)해야 할 부모(父母)님은 두 분밖에 없지만, 그대는 항상(恒常) 형제(兄弟)와 봉양하지 않으려고 서로 다툰다.)
養(양): 봉양(奉養)하다. 공양(供養)하다.
親(친): 어버이. 부모(父母).
*養親(양친): 부모(父母)를 봉양(奉養)함.
只(지): ~밖에 없다. 겨우/다만/오직/단지(但只) ~이다/~밖에 없다/~뿐이다.
二(이): 두. 둘.
人(인): 사람. 인간(人間).
常(상): 늘. 언제나. 자주. 때대로. 항상(恒常).
與(여): ~와. ~과. ~와 함께. ~과 함께.
兄(형): 형(兄).
弟(제): 아우.
爭(쟁): 다투다.
兄弟(형제): ❶형제(兄弟)와 자매(姉妹)를 통틀어 이르는 말. 동기(同氣)의 뜻. ❷형과 아우.
養兒雖十人 君皆獨自任.
양아수십인 군개독자임.
기르는 자식(子息)이 설령(設令) 열 사람이더라도, 그대는 모두 혼자서 책임(責任)을 진다.
(그러나 길러야 할 자식(子息)은 아무리 많더라도, 그대는 모두 혼자서 책임(責任)을 진다.)
兒(아): ❶자녀(子女). 자식(子息). ❷아이.
*養兒(양아): 자식(子息)을 기름. 자식(子息)을 낳아 기름.
雖(수): 비록/설사(設使)/설령(設令)/혹시(或是) ~이더라도/이지만.
*設令(설령): 가정(假定)해서 말하여.
十(십): 열. 10.
君(군): 그대. 님. 분. 군(君). 당신(當身). 귀하(貴下). [다른 사람에 대(對)한 존칭(尊稱).]
皆(개): 낱낱이. 다. 모두. 전부(全部).
獨(독): 홀로. 혼자.
自(자): 몸소. 손수. 스스로. 자발적(自發的)으로. 직접(直接). 친(親)히. [동작(動作)이 자발적(自發的)으로 자신(自身)에게서 나왔음을 나타냄.]
獨自(독자): 홀로. 혼자. 혼자서. 단독(單獨)으로. 독자적(獨自的)으로.
任(임): 책임(責任)을 지다. 책임(責任)을 맡다.
兒飽暖 親常問 父母飢寒不在心.
아포난 친상문 부모기한부재심.
자식이 배부르고 따뜻한지, 부모님은 항상 물으시지만, 부모님의 배고픔과 추위는 마음에 없구나.
(부모님은 자식이 배부르게 밥을 먹고 따뜻하게 옷을 입는지 항상 걱정하시지만, 자식은 부모님의 배고픔과 추위를 생각하지 않는구나.)
飽(포): 배부르다.
暖(난): 따스하다. 따뜻하다. 온화(溫和)하다.
飽暖(포난): 난의포식(暖衣飽食)함.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옷을 입음. 의식(衣食)이 풍족(豊足)함. 의식(衣食)이 풍족(豊足)하여 생활(生活)이 안락(安樂)함.
問(문): 묻다. 질문(質問)하다.
父(부): 아버지.
母(모): 어머니.
父母(부모): 아버지와 어머니. 어버이.
飢(기): 굶주림.
寒(한): 추위.
飢寒(기한): 배고픔과 추위. 굶주리고 헐벗어 배고프고 추움.
不(부): 아니하다.
在(재): ~에 있다. 사람이나 사물(事物)이 ~에 있다. 사람이나 사물(事物)이 어떤 위치(位置)에 있다.
不在(부재): ~에 없음. ~에 있지 않음.
心(심): 마음. 생각. 뜻. 감정(感情). 기분(氣分). 사상(思想). 의지(意志).
*在心(재심): 마음에 둠. 마음에 새겨 둠. 마음에 새김. 마음에 품음. 개의(介意)함. 유념(留念)함. 유의(留意)함. 어떤 일 따위를 마음에 두고 생각하거나 신경(神經)을 씀.
勸君養親須竭力 當初衣食被君侵.
권군양친수갈력 당초의식피군침.
그대에게 권(勸)하겠네, 부모님을 봉양함은 반드시 있는 힘을 다하라, 본(本)디 옷과 음식(飮食)은 그대에게 침탈(侵奪)을 당(當)한 것이라네.
(그대에게 권(勸)하겠네, 있는 힘을 다하여 부모님을 봉양하라, 그대가 입는 옷과 먹는 음식(飮食)은 본(本)디 부모님의 것이었다네.)
勸(권): 권(勸)하다. 권고(勸告)하다. 권장(勸奬)하다. 권유(勸誘)하다. 장려(奬勵)하다. 타이르다. 설득(說得)하다.
須(수): ~해야 한다. 마땅히/모름지기/반드시/당연(當然)히 ~해야 한다/~할 필요(必要)가 있다.
竭(갈): 다하다. 다 없어지다.
力(력): 힘. 기력(氣力). 체력(體力).
竭力(갈력): 있는 힘을 다함. 진력(盡力).
當(당): 때를 만나다. 당면(當面)하다.
初(초): 처음. 시초(始初).
當初(당초): 일이 생기기 시작(始作)한 처음. 처음. 본(本)디. 본래(本來). 애당초(當初). 이전(以前). 원래(元來).
衣(의): 옷. 웃옷.
食(식): (사람의) 먹거리. 밥. 양식(糧食). 음식(飮食).
被(피): 당(當)하다.
侵(침): 침노(侵擄)하다. 침범(侵犯)하다. 침입(侵入)하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