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 명심보감 ) 孝行篇 ( 효행편 ) (30)
都氏家貧至孝,賣炭買肉,無闕母饌。一日,於市 晚 而忙歸,鳶忽攫肉。都悲號至家,鳶 既 投肉於庭。一日,母病,索非時之紅 柿 。都 徬 徨 柿 林,不覺日昏。有虎屢遮前路,以示乘意。都乘至百餘里山村,訪人家投宿。俄而主人饋祭飯,而有紅 柿 。都喜。問 柿 之來歷,且述己意。答曰:「亡父嗜 柿 ,故每秋擇 柿 二百個,藏諸窟中,而至此五月,則完者不過七八。今得五十個完者,故心異之。是天感君孝。」遺以二十顆。 都謝,出門外,虎 尚 俟伏。乘至家,曉 雞喔喔 。後母以天命終,都流血淚 。
도씨 ( 都氏 ) 는 살림이 넉넉하지 못하였으나 효심이 지극하여 , 숯을 팔아 고기를 사서 어머님께서 드실 고기 반찬을 빠뜨리지 아니하였다 .
하루는 시장에서 해가 저물어 서둘러 집으로 돌아가던 중 갑자기 나타난 솔개가 들고 있던 고기를 낚아채 갔다 .
도씨가 슬프게 울며 집에 도달하였더니 , 솔개가 낚아채 간 고기가 집안에 있는 마당에 놓여 있었다 .
하루는 어머님께서 병환에 걸리셨는데 제철이 아니어 구하기 어려운 홍시를 찾으셨다 .
도씨는 날이 저무는 것도 깨닫지 못할 정도로 감을 찾아 감나무 숲을 이리저리 헤매며 돌아다녔다 .
갑자기 어디선가 호랑이가 나타나더니 도씨의 앞길을 가로막으며 등에 올라타라는 시늉을 하였다 .
도씨가 올라타자 호랑이는 백여 리나 멀리 떨어진 산 속에 있는 마을까지 데려다주었고 , 호랑이의 등에서 내린 도씨는 사람이 사는 집을 찾아가 묵기를 청하였다 .
얼마 되지 않아 주인이 제사에 올렸던 음식을 권하는데 , 거기에 홍시가 있었다 .
도씨가 기뻐하였다 .
도씨는 감의 내력을 묻고 자기가 여기까지 오게 된 까닭을 들려주었다 .
주인이 도씨의 이야기를 듣더니 대답하였다 .
“ 돌아가신 아버님께서 감을 유난히 좋아하셨습니다 . 그래서 제사 지낼 때 올리려고 해마다 가을이면 감을 이백 개를 골라 굴 속에 저장합니다 . 그러나 지금처럼 오월이 되면 썩지 않고 온전한 감은 겨우 일곱 개나 여덟 개뿐이었습니다 . 올해는 다른 해와는 다르게 오십 개의 온전한 감을 얻어 기이하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 이는 틀림없이 하늘이 그대의 효심에 감동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
주인은 남은 홍시 중에서 스무 개를 도씨에게 선사하였다 .
도씨가 주인에게 고마움을 표시하고 문 밖으로 나왔더니 호랑이가 아직 엎드려서 기다리고 있었다 .
다시 호랑이에 올라타고 집에 도달하자 새벽닭이 울었다 .
뒷날 어머님께서 돌아가시자 도씨는 피눈물을 흘렸다 .
-
明心寶鑑 ( 명심보감 ) 孝行篇 ( 효행편 ) (30)
都氏家貧至孝 賣炭買肉 無闕母饌 .
도씨가빈지효 매탄매육 무궐모찬 .
도씨 ( 都氏 ) 는 살림이 넉넉하지 못하였으나 지극 ( 至極 ) 하게 효도 ( 孝道 ) 하였고 , 숯을 팔아 고기를 사서 , 어머님의 반찬 ( 飯饌 ) 을 빠뜨리지 아니하였다 .
( 도씨 ( 都氏 ) 는 살림이 넉넉하지 못하였으나 효심 ( 孝心 ) 이 지극 ( 至極 ) 하여 , 숯을 팔아 고기를 사서 , 어머님께서 드실 고기 반찬 ( 飯饌 ) 을 빠뜨리지 아니하였다 .)
더보기 접기
都 ( 도 ): 성 ( 姓 ) 의 하나 .
氏 ( 씨 ): 성씨 ( 姓氏 ).
家 ( 가 ): 집안 . 가문 ( 家門 ). 문벌 ( 門閥 ).
貧 ( 빈 ): 가난하다 . 구차 ( 苟且 ) 하다 . 빈곤 ( 貧困 ) 하다 . 빈궁 ( 貧窮 ) 하다 .
家貧 ( 가빈 ): 집안이 가난함 . 살림이 넉넉하지 못함 .
至 ( 지 ): 지극 ( 至極 ) 하다 .
孝 ( 효 ): 부모 ( 父母 ) 를 섬기다 . 부모 ( 父母 ) 를 봉양 ( 奉養 ) 하다 . 효도 ( 孝道 ) 하다 .
至孝 ( 지효 ): 효심 ( 孝心 )/ 효성 ( 孝誠 )/ 효행 ( 孝行 ) 이 지극 ( 至極 ) 함 .
賣 ( 매 ): 팔다 .
炭 ( 탄 ): 숯 . 목탄 ( 木炭 ).
買 ( 매 ): 사다 . 구매 ( 購買 ) 하다 . 구입 ( 購入 ) 하다 .
肉 ( 육 ): 고기 . 동물 ( 動物 ) 의 고기 .
無 ( 무 ): 아니하다 . ~ 하지 않다 . 불 ( 不 ) 의 뜻 .
闕 ( 궐 ): 궐 ( 闕 ) 하다 .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빠뜨리다 .
母 ( 모 ): 어머니 .
饌 ( 찬 ): 반찬 ( 飯饌 ).
접기
一日 於市晩 而忙歸 鳶忽攫肉 .
일일 어시만 이망귀 연홀확육 .
하루는 , 시장 ( 市場 ) 에서 해가 저물어 서둘러 돌아가는데 , 솔개가 갑자기 고기를 가로챘다 .
( 하루는 시장 ( 市場 ) 에서 해가 저물어 서둘러 집으로 돌아가던 중 ( 中 ), 갑자기 나타난 솔개가 들고 있던 고기를 낚아채 갔다 .)
더보기 접기
一 ( 일 ): 하나 . 1.
日 ( 일 ): 날 . 하루 . 주야 ( 晝夜 ). 지구가 한 번 자전 ( 自轉 ) 하는 동안 .
一日 ( 일일 ): 하루 .
於 ( 어 ): ~ 에 . ~ 에서 . [ 범위 ( 範圍 )/ 시간 ( 時間 )/ 장소 ( 場所 ) 를 이끌어냄 . 재 ( 在 ) 의 뜻 .]
市 ( 시 ): 저자 . 시장 ( 市場 ). 장 ( 場 ).
晩 ( 만 ): 저물다 . 해가 저물다 .
而 ( 이 ): ~ 하고 곧 . ~ 하고도 . ~ 하며 . ~ 하면서 . ~ 하더니 . 그리고 . 그래서 . [ 순접 ( 順接 ) 을 나타냄 .]
忙 ( 망 ): 서두르다 . 서둘러 하다 . 바쁘게 하다 . 분주 ( 奔走 ) 하게 하다 . 서둘러 / 바쁘게 / 분주 ( 奔走 ) 하게 ~ 하다 .
歸 ( 귀 ): 돌아가다 . 돌아오다 . 귀환 ( 歸還 ) 하다 .
鳶 ( 연 ): 소리개 . 솔개 .
忽 ( 홀 ): 갑자기 . 돌연 ( 突然 ) 히 .
攫 ( 확 ): 가로채다 .
肉 ( 육 ): 고기 . 동물 ( 動物 ) 의 고기 .
접기
都悲號至家 鳶旣投肉於庭 .
도비호지가 연기투육어정 .
도씨가 슬프게 울며 집에 도달 ( 到達 ) 하였는데 , 솔개가 이미 집안에 있는 마당에 고기를 벌써 던져놓았다 .
( 도씨가 슬프게 울며 집에 도달 ( 到達 ) 하였더니 , 솔개가 낚아채 간 고기가 집안에 있는 마당에 놓여 있었다 .)
더보기 접기
悲 ( 비 ): 슬프다 . 서럽다 . 비통 ( 悲痛 ) 하다 . 애통 ( 哀痛 ) 하다 .
號 ( 호 ): 울다 .
悲號 ( 비호 ): 슬프게 울부짖음 . 슬퍼하면서 울부짖음 .
至 ( 지 ): 이르다 . 도달 ( 到達 ) 하다 . ~ 까지 도달 ( 到達 ) 하다 . 도착 ( 到着 ) 하다 .
家 ( 가 ): 집 .
旣 ( 기 ): 벌써 . 이미 . 이전 ( 以前 ) 에 . [ 동작 ( 動作 ) 행위 ( 行爲 ) 가 이미 완료 ( 完了 ) 됨을 나타냄 .]
投 ( 투 ): 던지다 .
庭 ( 정 ): 뜰 . 집 안에 있는 마당 .
접기
一日 母病 索非時之紅 柿 .
일일 모병 색비시지홍 시 .
하루는 , 어머님께서 병환 ( 病患 ) 에 걸리셨는데 , 제때가 아닌 홍시 ( 紅 柿 ) 를 찾으셨다 .
( 하루는 어머님께서 병환 ( 病患 ) 에 걸리셨는데 , 제철이 아니어 구 ( 求 ) 하기 어려운 홍시 ( 紅 柿 ) 를 찾으셨다 .)
더보기 접기
病 ( 병 ): 앓다 . 병 ( 病 ) 나다 . 병 ( 病 ) 들다 .
索 ( 색 ): 들추어내다 . 찾다 . 수색 ( 搜索 ) 하다 .
非 ( 비 ): 아니다 . [ 부정 ( 不定 ) 을 나타냄 . 불 ( 不 ) 의 뜻 .]
時 ( 시 ): 때 . 시절 ( 時節 ).
非時 ( 비시 ): 제때가 아님 .
之 ( 지 ): ~ 의 . ~ 는 . ~ 은 . ~ 하는 . ~ 한 . [ 관형어 ( 冠形語 ) 와 중심어 ( 中心語 ) 사이에 쓰여 일반적 ( 一般的 ) 인 수식 ( 修飾 ) 관계 ( 關係 ) 나 종속 ( 從屬 ) 관계를 나타냄 .]
紅 ( 홍 ): 붉다 . 빨갛다 .
柿 ( 시 ): 감나무 .
紅 柿 ( 홍시 ): 紅 柹 ( 홍시 ): 연 ( 軟 ) 감 . 물렁하게 잘 익은 감 .
접기
都 徬 徨 柿 林 不覺日昏 .
도 방 황 시 림 불각일혼 .
도씨는 감숲을 이리저리 헤매어 돌아다니다가 , 날이 저무는 것을 깨닫지 못하였다 .
( 도씨는 날이 저무는 것도 깨닫지 못할 정도 ( 程度 ) 로 감을 찾아 감나무 숲을 이리저리 헤매며 돌아다녔다 .)
더보기 접기
徬 ( 방 ): 거닐다 . 헤매다 . 방황 ( 彷徨 ) 하다 . 배회 ( 徘徊 ) 하다 .
徨 ( 황 ): 헤매다 . 방황 ( 彷徨 ) 하다 . 배회 ( 徘徊 ) 하다 .
徬 徨 ( 방황 ): 彷徨 ( 방황 ): 이리저리 헤매어 돌아다님 .
林 ( 림 ): 수풀 . 숲 . 삼림 ( 森林 ).
不 ( 불 ): 못하다 .
覺 ( 각 ): 알다 . 깨닫다 . 이해 ( 理解 ) 하다 . 터득 ( 攄得 ) 하다 .
昏 ( 혼 ): 날이 저물다 .
접기
有虎屢遮前路 以示乘意 .
유호누차전로 이시승의 .
호랑이가 나타나 여러 번 ( 番 ) 되풀이하여 앞길을 가로막으며 , 올라타라는 뜻을 보였다 .
( 갑자기 어디선가 호랑이가 나타나더니 도씨의 앞길을 가로막으며 , 등에 올라타라는 시늉을 하였다 .)
더보기 접기
有 ( 유 ): 나타나다 . 생기다 . 발생 ( 發生 ) 하다 . 출현 ( 出現 ) 하다 .
虎 ( 호 ): 호랑이 . 범 .
屢 ( 누 ): 자주 . 여러 번 . 누차 ( 屢次 ). 종종 ( 種種 ). 여러 번 되풀이하여 .
遮 ( 차 ): 차단 ( 遮斷 ) 하다 . 왕래 ( 往來 ) 를 막다 .
前 ( 전 ): ( 공간 ( 空間 ) 의 ) 앞 . 정면 ( 正面 ). ↔ 후 ( 後 ).
路 ( 로 ): 길 . 도로 ( 道路 ). 통로 ( 通路 ).
以 ( 이 ): ~ 하여 . ~ 함으로써 . ~ 하기 위 ( 爲 ) 하여 . [ 두 개 ( 個 ) 의 동사성 ( 動詞性 ) 구 ( 句 ) 나 단문 ( 單文 ) 을 연결 ( 連結 ) 하며 , 후자 ( 後者 ) 가 전자 ( 前者 ) 의 목적 ( 目的 ) 임을 나타냄 .]
示 ( 시 ): 보이다 . 나타내다 . 드러내다 . 알리다 . 일러주다 . 표시 ( 表示 ) 하다 .
乘 ( 승 ): 타다 . ② 오르다 .
意 ( 의 ): 뜻 . 의미 ( 意味 ).
접기
都乘至百餘里山村 訪人家投宿 .
도승지백여리산촌 방인가투숙 .
도씨가 올라타자 백여 ( 百餘 ) 리 ( 里 ) 산 ( 山 ) 속에 있는 마을에 도달 ( 到達 ) 하였고 , 사람이 사는 집을 찾아가 머물렀다 .
( 도씨가 올라타자 , 호랑이는 백여 ( 百餘 ) 리 ( 里 ) 나 멀리 떨어진 산 ( 山 ) 속에 있는 마을까지 데려다주었고 , 호랑이의 등에서 내린 도씨는 사람이 사는 집을 찾아가 묵기를 청 ( 請 ) 하였다 .)
더보기 접기
百 ( 백 ): 일백 ( 一百 ). 100.
餘 ( 여 ): 여 ( 餘 ). 이외 ( 以外 ) 의 수량 ( 數量 ). 정식 ( 正式 ) 이외 ( 以外 ) 의 것 .
里 ( 리 ): 리 ( 里 ). 거리를 재는 단위 ( 單位 ).
山 ( 산 ): 메 . 뫼 . 산 ( 山 ).
村 ( 촌 ): 동네 . 마을 . 시골 . 농촌 ( 農村 ). 촌락 ( 村落 ).
山村 ( 산촌 ): 산 ( 山 ) 속에 있는 마을 .
訪 ( 방 ): 뵙다 . 찾아가다 . 찾아뵙다 . 방문 ( 訪問 ) 하다 . 배알 ( 拜謁 ) 하다 . 심방 ( 尋訪 ) 하다 . 예방 ( 禮訪 ) 하다 .
人 ( 인 ): 사람 . 인간 ( 人間 ).
人家 ( 인가 ): 사람이 사는 집 .
投 ( 투 ): 의탁 ( 依託 ) 하다 . 의지 ( 依支 ) 하다 .
宿 ( 숙 ): 묵다 . 밤을 지내다 . 잠을 자다 . 숙박 ( 宿泊 ) 하다 .
投宿 ( 투숙 ): 머묾 . 머무름 . 숙소 ( 宿所 ) 에 머무름 . 숙박 ( 宿泊 ) 시설 ( 施設 ) 에 들어가 손님으로 머무름 .
접기
俄而主人饋祭飯 而有紅 柿 .
아이주인궤제반 이유홍 시 .
얼마 되지 않아 주인 ( 主人 ) 이 제사 ( 祭祀 ) 에 올렸던 밥을 권 ( 勸 ) 하는데 , 홍시가 있었다 .
( 얼마 되지 않아 주인 ( 主人 ) 이 제사 ( 祭祀 ) 에 올렸던 음식 ( 飮食 ) 을 권 ( 勸 ) 하는데 , 거기에 홍시가 있었다 .)
더보기 접기
俄 ( 아 ): 갑자기 . 곧 . 금세 . 느닷없이 . 문득 . 불의 ( 不意 ) 에 . 홀연 ( 忽然 ) 히 .
而 ( 이 ): ~ 하고 곧 . ~ 하고도 . ~ 하며 . ~ 하면서 . ~ 하더니 . 그리고 . 그래서 . [ 순접 ( 順接 ) 을 나타냄 .]
俄而 ( 아이 ): 갑자기 . 곧 . 머지않아 . 느닷없이 . 얼마 되지 않아 . 이윽고 . 잠깐 사이에 .
主 ( 주 ): 주인 ( 主人 ). 소유주 ( 所有主 ). 임자 .
主人 ( 주인 ): 한 집안의 책임자 ( 責任者 ). 집안이나 단체 ( 團體 ) 따위를 책임감 ( 責任感 ) 을 가지고 이끌어 가는 사람 . 가장 ( 家長 ).
饋 ( 궤 ): 권 ( 勸 ) 하다 . 음식 ( 飮食 ) 을 권 ( 勸 ) 하다 .
祭 ( 제 ): 제사 ( 祭祀 ) 지내다 . 제사 ( 祭祀 ) 를 지내다 .
飯 ( 반 ): 밥 .
祭飯 ( 제반 ): 제사 ( 祭祀 ) 때 올리는 밥 . 젯 ( 祭 ) 메 .
有 ( 유 ): 있다 .
접기
都喜 .
도희 .
도씨가 기뻐하였다 .
더보기
問 柿 之來歷 且述己意 .
문 시 지내력 차술기의 .
감의 내력 ( 來歷 ) 을 묻고 , 또 자기 ( 自己 ) 의 생각을 말하였다 .
( 도씨는 감의 내력 ( 來歷 ) 을 묻고 , 자기 ( 自己 ) 가 여기까지 오게 된 까닭을 들려주었다 .)
더보기 접기
問 ( 문 ): 묻다 . 질문 ( 質問 ) 하다 .
來 ( 내 ): 문제 ( 問題 ) 나 사건 ( 事件 ) 따위가 닥치다 / 발생 ( 發生 ) 하다 .
歷 ( 력 ): 겪다 .
來歷 ( 내력 ): 일정 ( 一定 ) 한 과정 ( 過程 ) 을 거치면서 이루어진 까닭 . 지나온 발자취 .
且 ( 차 ): ( 접속사 ( 接續詞 )) 또 . 또한 . 게다가 . 다시금 . 더욱 . 더더욱 . 더욱더 . 더욱이 . 그 위에 . 다시금 .
述 ( 술 ): 말하다 . 밝히다 . 이야기하다 . 서술 ( 敍述 ) 하다 . 설명 ( 說明 ) 하다 . 진술 ( 陳述 ) 하다 .
己 ( 기 ): 자기 ( 自己 ). 자신 ( 自身 ). 자아 ( 自我 ).
意 ( 의 ): 생각 . 마음 . 의사 ( 意思 ). 의향 ( 意向 ).
접기
答曰 .
답왈 .
대답 ( 對答 ) 하였다 .
( 주인이 도씨의 이야기를 듣더니 대답 ( 對答 ) 하였다 .)
더보기 접기
答 ( 답 ): 답 ( 答 ) 하다 . 대답 ( 對答 ) 하다 .
접기
亡父嗜 柿 故每秋擇 柿 二百個 藏諸窟中 ,
망부기 시 고매추택 시 이백개 장저굴중 ,
“ 돌아가신 아버님께서 감을 유난히 좋아하셨는데 , 그래서 가을마다 감 이백 ( 二百 ) 개 ( 個 ) 를 골라서 굴 ( 窟 ) 속에 저장 ( 貯藏 ) 하였으나 ,
( 돌아가신 아버님께서 감을 유난히 좋아하셨습니다 . 그래서 제사 지낼 때 올리려고 해마다 가을이면 감을 이백 ( 二百 ) 개 ( 個 ) 를 골라 굴 ( 窟 ) 속에 저장 ( 貯藏 ) 합니다 .
더보기 접기
亡 ( 망 ): 죽다 .
父 ( 부 ): 아버지 .
亡父 ( 망부 ): 돌아가신 아버지 .
嗜 ( 기 ): 즐기다 . 애호 ( 愛好 ) 하다 . 아주 / 유난히 / 특 ( 特 ) 히 / 특별 ( 特別 ) 히 좋아하다 .
故 ( 고 ): 그러므로 . 그래서 . 그리하여 . 까닭에 . ~ 때문에 . ~ 하기 때문에 . ~ 한 까닭으로 . 고 ( 故 ) 로 .
每 ( 매 ): ~ 마다 . 매 ( 每 ).
秋 ( 추 ): 가을 .
擇 ( 택 ): 가리다 . 고르다 . 선택 ( 選擇 ) 하다 . 택 ( 擇 ) 하다 .
二 ( 이 ): 두 . 둘 . 2.
個 ( 개 ): 놈 . 사람 . 개 ( 個 ). 명 ( 名 ).
藏 ( 장 ): 간수하다 . 간직하다 . 맡아 두다 . 소장 ( 所藏 ) 하다 . 저장 ( 貯藏 ) 하다 .
諸 ( 저 ): ~ 에 , ~ 에서 . ~ 에게서 .
窟 ( 굴 ): 구멍 . 굴 ( 窟 ). 동굴 ( 洞窟 ).
中 ( 중 ): 안 . 속 .
접기
而至此五月 則完者不過七八 .
이지차오월 즉완자불과칠팔 .
이 오월 ( 五月 ) 에 이르면 , 온전 ( 穩全 ) 한 것은 겨우 일곱 개나 여덟 개입니다 .
( 그러나 지금 ( 只今 ) 처럼 오월 ( 五月 ) 이 되면 , 썩지 않고 온전 ( 穩全 ) 한 감은 겨우 일곱 개나 여덟 개뿐이었습니다 .)
더보기 접기
此 ( 차 ): 이 . 이것 .
五 ( 오 ): 다섯 . 5.
月 ( 월 ): 달 . 월 ( 月 ). 달을 세는 단위 ( 單位 ).
則 ( 즉 ): ~ 면 . ~ 하면 . ~ 하면 곧 . ~ 한다면 . ~ 한다면 곧 . ~ 할 때에는 . ~ 하는 경우 ( 境遇 ) 라면 . ~ 하는 경우 ( 境遇 ) 라면 곧 . ~ 하면 ~ 하다 . [ 인과 ( 因果 ) 관계 ( 關係 ) 나 조건 ( 條件 ) 을 나타냄 .]
完 ( 완 ): 온전 ( 穩全 ) 하다 . 완벽 ( 完璧 ) 하다 . 완전 ( 完全 ) 하다 . 결함 ( 缺陷 ) 이나 부족 ( 不足 ) 이 없다 .
者 ( 자 ): 것 . 사람 . 자 ( 者 ). 동사 ( 動詞 )/ 동사구 ( 動詞句 )/ 형용사 ( 形容詞 )/ 형용사구 ( 形容詞句 ) 뒤에 쓰여 그러한 성질 ( 性質 ) 을 가지고 있거나 동작 ( 動作 ) 을 하는 사람 또는 사물 ( 事物 ) 을 나타냄 .
不 ( 불 ): 아니하다 .
過 ( 과 ): ( 범위 ( 範圍 ) 나 한도 ( 限度 ) 를 ) 넘다 . 초과 ( 超過 ) 하다 .
不過 ( 불과 ): 겨우 . 기껏해야 . 가까스로 .
七 ( 칠 ): 일곱 . 7.
八 ( 팔 ): 여덟 . 8.
접기
今得五十個完者 故心異之 .
금득오십개완자 고심이지 .
지금은 오십 ( 五十 ) 개의 온전한 것을 얻었는데 , 그래서 이것을 기이 ( 奇異 ) 하게 생각하였었습니다 .
( 올해는 다른 해와는 다르게 오십 ( 五十 ) 개의 온전한 감을 얻어 기이 ( 奇異 ) 하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
더보기 접기
今 ( 금 ): 이제 . 오늘 . 오늘날 . 지금 ( 只今 ). 현대 ( 現代 ). 현재 ( 現在 ).
得 ( 득 ): 얻다 . 획득 ( 獲得 ) 하다 .
心 ( 심 ): 생각하다 .
異 ( 이 ): 기이 ( 奇異 ) 하다 .
之 ( 지 ): 그 . 이 . 저 . 그것 . 이것 . 저것 . [ 사람 , 일 , 사물 ( 事物 ) 을 대신 ( 代身 ) 하며 , 목적어 ( 目的語 ) 로만 쓰임 .]
접기
是天感君孝 .
시천감군효 .
이는 하늘이 그대의 효심 ( 孝心 ) 에 감동 ( 感動 ) 한 것입니다 .”
( 이는 틀림없이 하늘이 그대의 효심 ( 孝心 ) 에 감동 ( 感動 ) 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
더보기 접기
是 ( 시 ): 이 . 이것 .
天 ( 천 ): 하늘 . 하느님 . 조물주 ( 造物主 ). 상제 ( 上帝 ). 천제 ( 天帝 ).
感 ( 감 ): 감동 ( 感動 ) 하다 . 마음이 움직이다 .
君 ( 군 ): 그대 . 님 . 분 . 군 ( 君 ). 당신 ( 當身 ). 귀하 ( 貴下 ). [ 다른 사람에 대 ( 對 ) 한 존칭 ( 尊稱 ).]
孝 ( 효 ): 효 ( 孝 ). 효도 ( 孝道 ). 효성 ( 孝誠 ). 효심 ( 孝心 ).
접기
遺以二十 顆 .
유이이십 과 .
이십 ( 二十 ) 알을 주었다 .
( 주인은 남은 홍시 중에서 스무 개를 도씨에게 선사 ( 膳賜 ) 하였다 .)
더보기 접기
遺 ( 유 ): 남기어 물려주다 . 물려주다 . 끼치다 . 전 ( 傳 ) 하다 .
以 ( 이 ): ~ 로 . ~ 로써 . ~ 으로 . ~ 으로써 . ~ 을 가지고 . ~ 을 근거 ( 根據 ) 로 .
* 膳賜 ( 선사 ): 애정 ( 愛情 ), 존경 ( 尊敬 ), 친근 ( 親近 ) 의 뜻을 나타내기 위 ( 爲 ) 하여 다른 사람에게 선물 ( 膳物 ) 을 줌 .
顆 ( 과 ): 알 . 알갱이 . 덩이 . 방울 . 작고 둥근 모양 ( 模樣 ) 의 물건 ( 物件 ) 을 세는 단위 ( 單位 ).
접기
都謝 出門外 虎尙俟伏 .
도사 출문외 호상사복 .
도씨가 사례 ( 謝禮 ) 하고 , 문 밖으로 나왔더니 , 호랑이가 여전 ( 如前 ) 히 기다리다가 엎드렸다 .
( 도씨가 주인에게 고마움을 표시 ( 表示 ) 하고 문 밖으로 나왔더니 , 호랑이가 아직 엎드려서 기다리고 있었다 .)
더보기 접기
謝 ( 사 ): 사례 ( 謝禮 ) 하다 .
* 謝禮 ( 사례 ): 말 , 행동 ( 行動 ), 선물 ( 膳物 ) 따위로 상대 ( 相對 ) 에게 고마움을 표시 ( 表示 ) 함 .
出 ( 출 ): ( 안에서 밖으로 ) 나가다 . 나오다 .
門 ( 문 ): 문 ( 門 ). 입구 ( 入口 ). 출입구 ( 出入口 ). 현관 ( 玄關 ).
外 ( 외 ): 바깥 . 밖 .
尙 ( 상 ): 더욱 . 더욱이 . 아직 . 아직도 . 또한 . 여전 ( 如前 ) 히 . [ 동작 ( 動作 ) 이나 상태 ( 狀態 ) 가 지속 ( 持續 ) 됨을 나타냄 .]
俟 ( 사 ): 기다리다 . 노리다 . 엿보다 . 대기 ( 待機 ) 하다 .
伏 ( 복 ): 엎드리다 . 머리를 숙이다 .
접기
乘至家 曉 雞喔喔 .
승지가 효계악악 .
올라타고 집에 도달하자 , 새벽닭이 울었다 .
( 다시 호랑이에 올라타고 집에 도달하자 , 새벽닭이 울었다 .)
더보기 접기
曉 ( 효 ): 새벽 . 동틀 무렵 .
雞 ( 계 ): 닭 .
曉 雞 ( 효계 ): 새벽닭 . 날이 샐 무렵에 우는 닭 .
喔 ( 악 ): 닭의 소리 . 닭 우는 소리 . 꼬끼오 . 꼬꾜 .
喔喔 ( 악악 ): 닭이 우는 소리 . 꼬끼오 .
접기
後母以天命終 都流血淚 .
후모이천명종 도류혈루 .
뒷날 어머님께서 천명 ( 天命 ) 으로 인 ( 因 ) 하여 돌아가시자 , 도씨는 피눈물을 흘렸다 .
( 뒷날 어머님께서 돌아가시자 , 도씨는 피눈물을 흘렸다 .)
더보기 접기
後 ( 후 ): 뒤 .
以 ( 이 ): ~ 까닭에 . ~ 때문에 . ~ 으로 인 ( 因 ) 하여 .
天 ( 천 ): 하늘 . 하느님 . 조물주 ( 造物主 ). 상제 ( 上帝 ). 천제 ( 天帝 ).
命 ( 명 ): 하늘의 뜻 . 천명 ( 天命 ).
天命 ( 천명 ): 하늘의 뜻 . 하늘의 명령 ( 命令 ).
終 ( 종 ): 죽다 .
流 ( 류 ): 흘리다 .
血 ( 혈 ): 피 .
淚 ( 루 ): 눈물 .
血淚 ( 혈루 ): 피눈물 .
접기
※出典 ( 출전 ):
-
※原文 ( 원문 ):
-
※原文 ( 원문 ) / 解釋 ( 해석 ):
-
※參考 ( 참고 ):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 ( 國語 )/ 한자 ( 漢字 )/ 중국어 ( 中國語 ) 사전 ( 辭典 ) 을 참고 ( 參考 ) 하여 해석 ( 解釋 ) 하였으며 ,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 ( 誤打 ) 가 있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