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 君子不重則不威(군자부중즉불위) 學則不固(학즉불고): 군자는 신중하지 아니하면 위엄이 없고 배워도 견고하지 못하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

 

 

子曰:「君子不重則不威,學則不固。主忠信。」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신중하지 아니하면 위엄이 없고 배워도 견고하지 못하다.

 

충성과 신의를 중요하게 여겨라.”

 

 

 

-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군자부중즉불위 학즉불고.

1) “군자(君子)는 신중(愼重)하지 아니하면 위엄(威嚴)이 없고, 배워도 견고(堅固)하지 못하다.

2) “군자(君子)는 신중(愼重)하지 아니하면 위엄(威嚴)이 없고, 배우면 고루(固陋)/완고(頑固)하지 않다.

(군자(君子)는 신중(愼重)하지 아니하면 위엄(威嚴)이 없고, 배워야 고루(固陋)하지 않게 된다/완고(頑固)하지 않게 된다.)

 

主忠信.

주충신.

충성(忠誠)과 신의(信義)를 주장(主張)하라.”

(충성(忠誠)과 신의(信義)를 굳게 내세워라.)

(충성(忠誠)과 신의(信義)를 중요(重要)하게 여겨라.)

 

 

※參考(참고):

*명심보감(明心寶鑑)에는 주충신(主忠信)까지 기록(記錄)되어 있으나, 원문(原文)인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에는 뒤에 무우불여기자(無友不如己者) 과즉물탄가(過則勿憚改)’가 이어져 있습니다. (논어 학이편의 학즉불고(學則不固)와 무우불여기자(無友不如己者)는 여러 가지의 해석(解釋)이 있습니다.)

 

※出典(출전):

-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原文(원문):

子曰:「君子不重則不威,學則不固。主忠信,無友不如己者,過則勿憚改。」

 

※原文(원문) / 解釋(해석):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