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11) 善以自益(선이자익) 惡以自損(악이자손): 선은 자기에게 도움이 되지만, 악은 자기에게 해를 끼친다.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11)

 

 

子曰:「善以自益,惡以自損。故君子務其益以防損,非以求名且以遠辱。」

 

안자(顔子)가 말하였다.

 

선은 자기에게 도움이 되지만, 악은 자기에게 해를 끼친다.

 

그래서 군자는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선에 힘을 씀으로써 악이 자기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막는데,

 

이와 같이 군자가 선에 힘을 쓰는 것은 명예를 추구하기 위함이 아니라 장차 다른 사람에게 모욕을 당하지 않기 위함이다.

 

 

 

안자(顔子)는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나라 사람인 안회(顔回), 자는 자연(子淵)이라고 합니다. 공자(孔子)가 가장 아꼈던 제자(弟子)로 알려져 있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11)

 

子曰.

안자왈.

안자()가 말하였다.

 

善以自益 惡以自損.

선이자익 악이자손.

()은 스스로 이()롭기 위()한 것이며, 악은 스스로 해()치기 위한 것이다.

(()은 자기(自己)를 이()롭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은 자기를 해()치기 위한 것이다.)

(()은 자기(自己)에게 도움이 되지만, ()은 자기에게 해()를 끼친다.)

 

故君子務其益以防損,

고군자무기익이방손,

그래서 군자(君子)는 그 이로운 것에 힘을 씀으로써 해로운 것을 막는데,

(그래서 군자(君子)는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선에 힘을 씀으로써 악이 자기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막는데,)

 

非以求名且以遠辱.

비이구명차이원욕.

명예(名譽)를 추구(追求)하기 위함이 아니며 장차(將差) 모욕(侮辱)을 당()하는 것을 멀리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군자가 선에 힘을 쓰는 것은 명예(名譽)를 추구(追求)하기 위함이 아니라 장차(將差) 다른 사람에게 모욕(侮辱)을 당()하지 않기 위함이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