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萬全之策(만전지책) – 약간의 허술함도 없는 완전한 계책.


萬全之策.

만전지책.

대단히 완전(完全)한 계책(計策).

1) 약간(若干)의 허술함도 없는 완전(完全)한 계책(計策).

 


 

(후한서(後漢書) 원소유표열전(袁紹劉表列傳) 중에서……)

 

조조(曹操)와 원소(袁紹)가 관도(官度)에서 서로 대치하였다.

 

원소는 유표(劉表)에게 사람을 보내 도움을 청하였으나, 유표는 도움을 약속하고 선뜻 나서지는 아니하였다.

 

유표는 조조도 돕지 아니하였고, 머뭇거리며 천하의 변화를 살필 뿐이었다.

 

종사중랑(從事中)인 남양(南陽) 사람 한숭(韓嵩)과 별가(別駕) 유선(劉先)이 유표에게 말하였다.

 

"지금 호걸들이 서로 다투고 있습니다. 두 영웅이 균형을 이루며 서로 대치하고는 있으나, 천하는 장군의 결정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장군께서 무언가를 이루고자 하신다면 두 영웅이 싸우다가 약해진 틈을 타고 군사를 일으키는 것이 옳습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장군께서는 두 영웅 중에서 장군께 득이 될 한쪽을 선택하여 따르셔야 합니다.

 

어찌하여 십만이나 되는 군사를 거느리고도 앉아서 저들의 승패를 살피기만 하며, 도움을 청하여도 돕지 않고, 유능한 사람을 보고도 따르지 않을 수 있습니까?

 

이는 양쪽에게 원한을 사는 일이니, 두려워하며 중립을 지키기만 해서는 안 됩니다.

 

조조는 용병에 뛰어나며 또 유능하고 뛰어난 사람들이 대부분 그를 따르고 있으니, 그의 기세는 반드시 원소를 물리칠 것입니다.

 

조조가 원소를 물리친 뒤 그의 군사가 강한(江漢)으로 향한다면 장군께서는 막기가 어려우실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좋은 계책은 조조에게 형주(荊州)를 바치고 의탁하는 것입니다.

 

조조는 틀림없이 장군을 소중히 여기고 고맙게 생각할 것이며, 오랫동안 복을 누리고 장차 그 복이 후손에게도 전해질 것이니, 이것이 만전지책(萬全之策), 즉 가장 완전한 계책입니다."

 


 

 

 

후한(後漢) (), 조조(曺操)와 원소(袁紹)가 북방(北方)의 패권(覇權)을 차지하기 위()해 관도(官渡)에서 치열(熾烈)한 전투(戰鬪)를 벌이고 있었습니다.

 

원소는 당시(當時) 형주(荊州)를 다스리던 유표(劉表)에게 도움을 청()하였으나, 유표는 어느 쪽도 편(便)들지 않고 천하(天下)의 대세(大勢)를 관망(觀望)하기만 할 뿐이었습니다.

 

이런 우유부단(優柔不斷)한 유표의 태도(態度)를 지켜보던 한숭(韓嵩)과 유선(劉先)이 나서서 조조를 따르는 것이 만전지책(萬全之策), () 가장 완전(完全)한 계책(計策)이라는 말을 하였는데, 만전지책은 여기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입니다.

 

한숭과 유선의 설득(說得)에도 유표는 망설이며 결정(決定)을 하지 못하였고, 후일(後日) 형주는 조조의 손에 넘어가고 말았습니다.

 

다음은 후한서(後漢書) 원소유표열전(袁紹劉表列傳)에 실려 있는 글의 일부(一部)입니다.

 

 

※출전(出典):

- 후한서(後漢書) 원소유표열전(袁紹劉表列傳) 하편(下篇)

 

※원문(原文):

及曹操與袁紹相持於官度,紹遣人求助,表許之,不至,亦不援曹操,且欲觀天下之變。從事中南陽韓嵩、別駕劉先說表曰:「今豪桀爭,兩雄相持,天子之重在於將軍。若欲有,起乘其可也;如其不然,固將擇所宜從。豈可擁甲十萬,坐觀成敗,求援而不能助,見賢而不肯歸!此兩怨必集於將軍,恐不得中立矣。曹操善用兵,且賢俊多歸之,其袁紹,然後移兵以向江漢,恐將軍不能禦也。今之勝計,莫若荊州以附曹操,操必重德將軍,長享福祚,垂之後嗣,此萬全之策也。」越亦勸之。表狐疑不斷,乃遣嵩詣操,觀望虛實。謂嵩曰:「今天下未知所定,而曹操擁天子都許,君我觀其。」嵩對曰:「嵩觀曹公之明,必得志於天下。將軍若欲歸之,使嵩可也;如其猶豫,嵩至京師,天子假嵩一職,不獲辭命,則成天子之臣,將軍之故吏耳。在君君,不復將軍死也。惟加重思。」表以憚使,之。至許,果拜嵩侍中、零陵太守。及還,盛稱朝廷曹操之德,勸遣子入侍。表大怒,以懷貳,陳兵嵩,將斬之。嵩不動容,徐陳臨行之言。表妻蔡氏知嵩賢,諫止之。表猶怒,乃考殺從行者。知無意,但囚嵩而已

 

※원문(原文) / 해석(解釋):

 

及曹操與袁紹相持於官度.

급조조여원소상지어관도.

조조(曹操)와 원소(袁紹)가 관도(官度)에서 서로 대치(對峙)하였다.

 

紹遣人求助 表許之 不至.

소견인구조 표허지 부지.

원소는 사람을 보내 도움을 청()하였으나, 유표(劉表)는 이를 허락(許諾)하고 이르지 아니하였다.

(원소는 유표(劉表)에게 사람을 보내 도움을 청()하였으나, 유표는 도움을 약속(約束)하고 선뜻 나서지는 아니하였다.)

 

亦不援曹操 且欲觀天下之變.

역불원조조 저욕관천하지변.

또한 조조를 돕지 아니하였고, 머뭇거리며 천하(天下)의 변화(變化)를 살피고자 하였다.

(유표는 조조도 돕지 아니하였고, 머뭇거리며 천하(天下)의 변화(變化)를 살필 뿐이었다.)

 

從事中南陽韓嵩別駕劉先說表曰.

종사중랑남양한숭별가유선설표왈.

종사중랑(從事中)인 남양(南陽) 사람 한숭(韓嵩)과 별가(別駕) 유선(劉先)이 유표에게 말하였다.

 

今豪桀 兩雄相持 天下之重在於將軍.

금호걸병쟁 양웅상지 천하지중재어장군.

“지금(只今) 호걸(豪桀)이 함께 다투며, 두 영웅(英雄)이 서로 대치하는데, 천하의 권력(權力)은 장군(將軍)에게 달려 있습니다.

(지금(只今) 호걸(豪桀)들이 서로 다투고 있습니다. 두 영웅(英雄)이 균형(均衡)을 이루며 서로 대치하고는 있으나, 천하는 장군(將軍)의 결정(決定)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若欲有 起乘其可也.

약욕유위 기승기폐가야.

만약(萬若) 쓸모가 있기를 바란다면, 그들의 쇠망(衰亡)함을 타고 일으킴이 옳습니다.

(만약(萬若) 장군께서 무언가를 이루고자 하신다면, 두 영웅이 싸우다가 약()해진 틈을 타고 군사(軍士)를 일으키는 것이 옳습니다.)

 

如其不然 固將擇所宜從.

여기불연 고장택소의종.

만약 그렇지 않다면, 반드시 장군은 알맞은 것을 선택(選擇)하여 따르십시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장군께서는 두 영웅 중()에서 장군께 득()이 될 한쪽을 선택(選擇)하여 따르셔야 합니다.)

 

豈可擁甲十萬 坐觀成敗,

기가옹갑십만 좌관성패,

어찌하여 갑()옷 십만(十萬)을 가지고, 앉아서 성패(成敗)를 살피며,

(어찌하여 십만(十萬)이나 되는 군사를 거느리고도, 앉아서 저들의 승패(勝敗)를 살피기만 하며,)

 

求援而不能助 見賢而不肯歸.

구원이불능조 견현이불긍귀.

도움을 청하였는데도 도울 수가 없고, 유능(有能)한 사람을 보았는데도 들어주고 따르려 하지 않을 수 있습니까?

(도움을 청하여도 돕지 않고, 유능(有能)한 사람을 보고도 따르지 않을 수 있습니까?)

 

此兩怨必集於將軍 恐不得中立矣.

차량원필집어장군 공부득중립의.

이는 양()쪽의 원한(怨恨)이 반드시 장군에게 모이므로, 두려워하며 중립(中立)해서는 안 됩니다.

(이는 양()쪽에게 원한(怨恨)을 사는 일이니, 두려워하며 중립(中立)을 지키기만 해서는 안 됩니다.)

 

曹操善用兵 且賢俊多歸之 其袁紹.

조조선용병 차현준다귀지 기세필거원소.

조조는 용병(用兵)에 뛰어나며, 또 유능하고 뛰어난 사람은 대부분(大部分) 그를 따르니, 그의 기세(氣勢)는 반드시 원소를 물리칩니다.

(조조는 용병(用兵)에 뛰어나며, 또 유능하고 뛰어난 사람들이 대부분(大部分) 그를 따르고 있으니, 그의 기세(氣勢)는 반드시 원소를 물리칠 것입니다.)

 

然後移兵以向江漢 恐將軍不能禦也.

연후이병이향강한 공장군불능어야.

그러한 뒤 군사를 옮겨 강한(江漢)으로 향()하면, 장군께서 막을 수 없음이 두렵습니다.

(조조가 원소를 물리친 뒤, 그의 군사가 강한(江漢)으로 향()한다면, 장군께서는 막기가 어려우실 것입니다.)

 

今之勝計 莫若荊州以附曹操.

금지승계 막약거형주이부조조.

지금 이길 만한 좋은 꾀는, 형주(荊州)를 들고 조조에게 붙는 것만한 것이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狀況)에서 가장 좋은 계책(計策), 조조에게 형주(荊州)를 바치고 의탁(依託)하는 것입니다.)

 

操必重德將軍 長享福祚 垂之後嗣,

조필중덕장군 장향복조 수지후사,

조조가 틀림없이 소중(所重)히 하고 고맙게 생각하여, 오랫동안 복()을 누리고, 후손(後孫)에게 전()하니,

(조조는 틀림없이 장군을 소중(所重)히 여기고 고맙게 생각할 것이며, 오랫동안 복()을 누리고, 장차(將次) 그 복이 후손(後孫)에게도 전()해질 것이니,)

 

此萬全之策也.

차만전지책야.

이것이 만전지책(萬全之策)입니다.”

(이것이 만전지책(萬全之策), () 가장 완전(完全)한 계책입니다.)

 

※유의어(類義語):

- 만전지계(萬全之計)

- 만전책(萬全策)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