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26) 君子爲善若水(군자위선약수): 군자가 선을 행함은 물과 같다.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26)

 

 

老子曰:「君子善若水,擁之可以在山,激之可以過,能方能圓,委曲隨形。故君子能柔而不弱,能而不剛,如水之性也。天下柔弱莫過於水,是以柔弱勝剛。」

 

노자(老子)가 말하였다.

 

“군자가 선을 행함은 물과 같다.

 

물의 성질을 거슬러 막으면 산에 모아둘 수도 있고,

 

물을 튀기면 이마보다 높게 솟구치게도 할 수 있으며,

 

물을 담는 그릇이나 지형에 따라 그 형상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래서 군자는 온화하지만 나약하지 않으며,

 

의지가 강하지만 고집스럽지 않으니,

 

물의 성질과 같다.

 

온 세상에 물보다 부드럽고 약한 것은 없으나,

 

이로 인하여 부드럽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것이다.”

 

 

 

노자(老子)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로, 도가사상의 시조입니다. 본명은 이이(李耳)이며 자는 담(), 호는 백양(伯陽)이라고 합니다. 노담(老聃)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고도 불립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26)

 

老子曰.

노자왈.

노자(老子)가 말하였다.

 

君子爲善若水,

군자위선약수,

“군자(君子)가 선()을 행()함은 물과 같다.

 

擁之可以在山 激之可以過,

옹지가이재산 격지가이과상,

그것을 막으면 산()에 머무르게 할 수 있고, 그것을 튀기면 이마를 지나가게 할 수 있으며,

(물의 성질(性質)을 거슬러 막으면 산()에 모아둘 수도 있고, 물을 튀기면 이마보다 높게 솟구치게도 할 수 있으며,)

 

能方能圓 委曲隨形.

능방능원 위곡수형.

네모지게 할 수 있고 둥글게 할 수 있으며, 구부러져 형상(形狀)을 따른다.

(물을 담는 그릇이나 지형(地形)에 따라 그 형상(形狀)을 자유(自由)롭게 변화(變化)시킬 수 있다.)

 

故君子能柔而不弱 能强而不剛 如水之性也.

고군자능유이불약 능강이불강 여수지성야.

그래서 군자는 온화(溫和)하지만 나약(懦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의지(依支)가 강()하지만 고집(固執)스럽지 않을 수 있으니, 물의 성질(性質)과 같다.

(그래서 군자는 온화(溫和)하지만 나약(懦弱)하지 않으며, 의지(依支)가 강()하지만 고집(固執)스럽지 않으니, 물의 성질(性質)과 같다.)

 

天下柔弱莫過於水 是以柔弱勝剛强.

천하유약막과어수 시이유약승강강.

온 세상(世上)에 부드럽고 약한 것은 물보다 더한 것이 없으나, 이로 인()하여 부드럽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능가(凌駕)한다.”

(온 세상(世上)에 물보다 부드럽고 약한 것은 없으나, 이로 인()하여 부드럽고 약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보다 뛰어나다고 하는 것이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