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7)
《論語》曰:「寢不尸,居不容。」
논어(論語) 향당편(鄉黨篇)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공자(孔子)께서는 주무실 때에도 몸가짐을 조심하셨으며,
평소 제자들이나 다른 사람들을 대할 때에는 엄격하셨으나 집안에 머무르실 때에는 느긋하고 평화롭게 계셨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7)
論語曰.
논어왈.
논어(論語)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논어(論語) 향당편(鄉黨篇)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寢不尸 居不容.
침불시 거불용.
“잠을 잘 때는 시체(屍體) 같지 아니하였으며, 기거(起居)할 때는 몸을 꾸미지 아니하였다.”
(공자(孔子)께서는 주무실 때 시체(屍體)처럼 뻣뻣하게 누워서 주무시지 않았으며, 집에 머무르실 때에는 엄격(嚴格)하지 않으셨다.)
(공자(孔子)께서는 주무실 때에도 몸가짐을 조심(操心)하셨으며, 평소(平素) 제자(弟子)들이나 다른 사람들을 대(對)할 때에는 엄격(嚴格)하셨으나 집안에 머무르실 때에는 느긋하고 평화(平和)롭게 계셨다.)
※出典(출전):
- 논어(論語) 향당편(鄉黨篇)
※原文(원문):
寢不尸,居不容。見齊衰者,雖狎,必變。見冕者與瞽者,雖褻,必以貌。凶服者式之。式負版者。有盛饌,必變色而作。迅雷風烈,必變。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