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8)
荀子曰:「良農不為水旱不耕,良賈不為折閱(折閱:減低售價,這裏指虧損。閱:賣。)不市,君子不為貧窮怠乎道體。」
순자(荀子)가 말하였다.
“훌륭한 농부는 홍수가 나거나 가뭄이 들었다는 이유로 농사를 그만두지 않고,
훌륭한 상인은 손해를 보았다는 이유로 장사를 그만두지 않으며,
군자는 가난하고 궁색하다는 이유로 도의 수양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순자(荀子)는 중국 전국시대의 유교 사상가로, 본명은 순황(荀況)이라고 합니다.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하였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8)
荀子曰.
순자왈.
순자(荀子)가 말하였다.
荀(순): 성(姓)의 하나.
子(자): 남자(男子). 남자(男子)에 대(對)한 미칭(美稱). 옛날, 학문(學問)과 덕행(德行) 또는 지위(地位)이 높은 남자(男子)를 가리키는 말.
荀子(순자): [인명(人名)] 중국(中國)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유교(儒敎) 사상가(思想家)로, 본명(本名)은 순황(荀況).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은 악(惡)하다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主張)함.
*性善說(성선설):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은 선(善)하지만, 주위(周圍) 환경(環境)이나 욕심(欲心)의 영향(影響)으로 악(惡)하게 된다는 학설(學說). 맹자(孟子)가 주장(主張)함.
*性惡說(성악설):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은 악(惡)하므로, 학습(學習)을 통(通)하여 선(善)한 행위(行爲)를 습득(習得)해야 한다는 학설(學說). 순자(荀子)가 주장(主張)함.
曰(왈):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라 하다. 가로되 ~라고 하다.
良農不爲水旱不耕,
양농불위수한불경,
“훌륭한 농부(農夫)는 홍수(洪水)와 가뭄 때문에 농사(農事)에 힘쓰지 않음이 없고,
(훌륭한 농부(農夫)는 홍수(洪水)가 나거나 가뭄이 들었다는 이유(理由)로 농사(農事)를 그만두지 않고,)
良(양): 좋다. 훌륭하다. 우수(優秀)하다.
農(농): 농군(農軍). 농민(農民). 농부(農夫). 농사(農事)꾼.
不(불): 없다. 무(無)의 뜻.
爲(위): (원인(原因)을 표시(表示)) ~때문에. ~까닭으로. ~하기 위(爲)하여.
水(수): 큰물. 수재(水災). 수해(水害). 홍수(洪水). 비가 많이 와서 강(江)이나 개천(川)에 갑자기 크게 불은 물.
旱(한): 가뭄. 가물. 한발(旱魃).
水旱(수한): 수재(水災)와 한재(旱災). 장마와 가뭄.
不(불): 아니하다.
耕(경): 농사(農事)에 힘쓰다. 농사(農事)짓다.
良賈不爲折閱不市,
양고불위절열불시,
훌륭한 상인(商人)은 싼 값에 손해(損害)를 보고 팔았기 때문에 장사하지 않음이 없으며,
(훌륭한 상인(商人)은 손해(損害)를 보았다는 이유로 장사를 그만두지 않으며,)
賈(고): 장사하는 사람. 장수. 상인(商人). / 옛날에는 고(賈)는 좌상(坐商)을, 상(商)은 행상(行商)을 뜻함.
折(절): 밑지다. 줄다. 축나다. 감손(減損)하다. 손실(損失)을 입다. 손해(損害) 보다.
閱(열): 거치다. 겪다. 지나다. 경과(經過)하다. 경험(經驗)하다.
折閱(절열): 값을 낮추어 손해(損害)를 보고 파는 것. 싼 값에 손해(損害)를 보고 파는 것.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고전용어사전)
市(시): 사다. 팔다. 사고 팔다. 장사하다. 거래(去來)하다. 매매(賣買)하다.
君子不爲貧窮怠乎道體.
군자불위빈궁태호도체.
군자(君子)는 가난하고 궁색(窮塞)하기 때문에 도(道)의 본체(本體)에 게을리함이 없다.”
(군자(君子)는 가난하고 궁색(窮塞)하다는 이유로 도(道)의 수양(修養)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君(군): 어진 사람. 어진 이. 군자(君子). 현자(賢者).
子(자): 남자(男子). 남자(男子)에 대(對)한 미칭(美稱). 옛날, 학문(學問)과 덕행(德行) 또는 지위(地位)이 높은 남자(男子)를 가리키는 말.
君子(군자): 학식(學識)과 덕행(德行)이 뛰어난 사람. ↔ 小人(소인).
*小人(소인): 간사(奸邪)하고 도량(度量)이 좁은 사람. ↔ 君子(군자).
貧(빈): 가난하다. 구차(苟且)하다. 빈곤(貧困)하다. 빈궁(貧窮)하다.
窮(궁): 궁(窮)하다. 가난하고 어렵다. 가난하다.
貧窮(빈궁): 가난함. 가난하고 궁색(窮塞)함. 가난하여 궁(窮)함. 가난하여 생활(生活)이 매우 어려움.
怠(태): 게을리하다.
乎(호): 동사(動詞) 뒤에 붙어 어(於)의 뜻으로 쓰임. ~에. ~에게.
*於(어): ~에. ~에게. ~에 대(對)해. [대상(對象)을 이끌어냄. 급(給)/대(對)/향(向)의 뜻.]
道(도): 도리(道理). 이치(理致). 도덕(道德). 윤리(倫理).
體(체): 근본(根本).
道體(도체): 도(道)의 본(本)뜻. 도(道)의 본체(本體). 도덕(道德)의 본체(本體).
※出典(출전):
- 순자(荀子) 수신편(脩身篇)
※原文(원문):
志意脩則驕富貴,道義重則輕王公;內省而外物輕矣。傳曰:「君子役物,小人役於物。」此之謂矣。身勞而心安,為之;利少而義多,為之;事亂君而通,不如事窮君而順焉。故良農不為水旱不耕,良賈不為折閱不市,士君子不為貧窮怠乎道。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