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8) 君子不爲貧窮怠乎道體(군자불위빈궁태호도체): 군자는 가난하고 궁색하다는 이유로 도의 수양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8)

 

 

荀子曰:「良農不水旱不耕,良賈不折閱(折閱:減低價,這裏指虧損。閱:賣。)不市,君子不貧窮怠乎道體。

 

순자(荀子)가 말하였다.

 

훌륭한 농부는 홍수가 나거나 가뭄이 들었다는 이유로 농사를 그만두지 않고,

 

훌륭한 상인은 손해를 보았다는 이유로 장사를 그만두지 않으며,

 

군자는 가난하고 궁색하다는 이유로 도의 수양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순자(荀子)는 중국 전국시대의 유교 사상가로, 본명은 순황(荀況)이라고 합니다.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하였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8)

 

荀子曰.

순자왈.

순자(荀子)가 말하였다.

 

良農不爲水旱不耕,

양농불위수한불경,

훌륭한 농부(農夫)홍수(洪水)와 가뭄 때문에 농사(農事)에 힘쓰지 않음이 없고,

(훌륭한 농부(農夫)홍수(洪水)가 나거나 가뭄이 들었다는 이유(理由)농사(農事)를 그만두지 않고,)

 

良賈不爲折閱不市,

양고불위절열불시,

훌륭한 상인(商人)은 싼 값에 손해(損害)를 보고 팔았기 때문에 장사하지 않음이 없으며,

(훌륭한 상인(商人)은 손해(損害)를 보았다는 이유로 장사를 그만두지 않으며,)

 

君子不爲貧窮怠乎道體.

군자불위빈궁태호도체.

군자(君子)는 가난하고 궁색(窮塞)하기 때문에 도()의 본체(本體)에 게을리함이 없다.”

(군자(君子)는 가난하고 궁색(窮塞)하다는 이유로 도()의 수양(修養)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出典(출전):

- 순자(荀子) 수신편(脩身篇)

 

※原文(원문):

志意脩則驕富貴,道義重則輕王公;內省而外物輕矣。傳曰:「君子役物,小人役於物。」此之謂矣。身勞而心安,之;利少而義多,之;事亂君而通,不如事窮君而順焉。故良農不水旱不耕,良賈不折閱不市,士君子不貧窮怠乎道。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