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9) 飮食之人(음식지인) 則人賤之矣(즉인천지의) 爲其養小而失大也(위기양소이실대야): 마시고 먹는 것만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사람들이 그를 천하..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9)

 

 

孟子曰:「食之人,則人賤之矣,其養小而失大也。」

 

맹자(孟子)가 말하였다.

 

마시고 먹는 것만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사람들이 그를 천하게 여기는데,

 

그가 사소한 것을 취하려다가 중요한 것을 놓치기 때문이다.”

 

 

 

 

맹자(孟子)는 중국 전국시대의 유교 사상가로, 본명은 맹가(孟軻), 자는 자여(子與) 또는 자거(子車)라고 합니다.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는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였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9)

 

孟子曰.

맹자왈.

맹자(孟子)가 말하였다.

 

飮食之人 則人賤之矣,

식지인 즉인천지의,

마시고 먹는 사람은, 사람들이 그를 천()하게 여기는데,

(마시고 먹는 것만 중요(重要)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사람들이 그를 천()하게 여기는데,)

 

爲其養小而失大也.

위기양소이실대야.

그가 작은 것을 취()하고 큰 것을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그가 사소(些少)한 것을 취()하려다가 중요(重要)한 것을 놓치기 때문이다.)

 

 

※出典(출전):

- 맹자(孟子) 고자상편(告子上篇)

 

※原文(원문):

孟子曰:「人之於身也,兼所愛。兼所愛,則兼所養也。無尺寸之膚不愛焉,則無尺寸之膚不養也。所以考其善不善者,豈有他哉?於己取之而已矣。體有貴賤,有小大。無以小害大,無以賤害貴。養其小者小人,養其大者大人。今有場師,舍其梧,養其棘,則賤場師焉。養其一指而失其肩背,而不知也,則狼疾人也。食之人,則人賤之矣,其養小以失大也。食之人無有失也,則口腹豈適尺寸之膚哉?」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