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36)
康節邵先生戒子孫曰:「上品之人,不教而善;中品之人,教而後善;下品之人,教亦不善。不教而善,非聖而何? 教而後善,非賢而何? 教亦不善,非愚而何? 是知善也者,吉之謂也。不善也者,凶之謂也。吉也者,目不觀非禮之色,耳不聽非禮之聲,口不道非禮之言,足不踐非禮之地。人非善不交,物非義不取。親賢如就芝蘭,避惡如畏蛇蠍。或曰:不謂之吉人,則吾不信也。凶也者,語言詭譎,動止陰險,好利飾非,貪淫樂禍,嫉良善如仇隙,犯刑憲如飲食,小則殞身滅性,大則覆宗絕嗣。或曰:不謂之凶人,則吾不信也。《傳》有之曰:『吉人為善,惟日不足。凶人為不善,亦惟日不足。』汝等欲為吉人乎? 欲為凶人乎? 」
강절(康節) 소선생(邵先生)이 자손을 훈계하며 말하였다.
“훌륭한 사람은 가르치지 아니하여도 선하며,
보통 사람은 가르친 뒤에야 선해지고,
질이 나쁜 사람은 가르치더라도 선하지 아니하다.
가르치지 아니하였는데도 선하면, 성인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가르침을 받고 선해진다면 현인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가르치더라도 선하지 아니하다면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이는 ‘선을 안다’라는 것은 ‘길하다’라는 의미이다.
‘선하지 아니하다’라는 것은 ‘흉하다’라는 의미이다.
‘길하다’라는 것은,
눈은 예의에 어긋난 모습을 보지 아니하고,
귀는 예의에 어긋난 소리를 듣지 아니하고,
입은 예의에 어긋난 말을 말하지 아니하고,
발은 예의에 어긋난 장소를 밟지 아니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선한 사람이 아니면 사귀지 말고,
도리에 어긋난 물건은 취하지 마라.
좋은 향기가 나는 지초와 난초에 가까이하듯이 어진 사람을 가까이하고,
독을 품은 뱀과 전갈을 멀리하듯이 악한 사람을 멀리하라.
어떤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다른 사람들이 그를 길인, 즉 착한 사람이라고 하지 않으면 나는 믿지 않겠다.’
‘흉하다’는 것은,
말이 간사하고, 행동거지가 음험하고, 이익이 되는 것만 좋아하며 교묘한 수단과 말로 잘못을 얼버무리며,
지나치게 색을 탐내며 피해를 입히기를 즐겨 하고, 어진 사람과 착한 사람을 원수처럼 미워하고, 물을 마시고 밥을 먹듯이 형법을 어기는 것이니,
흉함이 작으면 자신을 망치지만, 흉함이 크면 일족을 멸망시켜 대가 끊어지게 된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와 같은 행동을 한다면 다른 사람들이 그를 흉인, 즉 흉악한 사람이라고 말을 하지 않아도 나는 믿지 않겠다.’
또 옛 성현들이 남긴 글 중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착한 사람은 날마다 선을 행하여도 오히려 부족하다고 여기고,
악한 사람은 날마다 나쁜 짓을 하여도 오히려 부족하다고 여긴다.’
너희들은 착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가, 아니면 흉악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가?”
강절소선생(康節邵先生)은 중국 송(宋)나라의 학자이자 시인인 소옹(邵雍)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자는 요부(堯夫), 호는 안락선생(安樂先生)이며 강절(康節)은 그의 시호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976345BB70A781D)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36)
康節邵先生戒子孫曰.
강절소선생계자손왈.
강절(康節) 소선생(邵先生)이 자손(子孫)을 훈계(訓戒)하며 말하였다.
康(강): 건강(健康)하다. 안락(安樂)하다. 안정(安定)되다. 탈(頉)이 없다. 편안(便安)하다. 평안(平安)하다.
節(절): 절개(節槪). 절조(節操).
邵(소): 성(姓)의 하나.
先(선): 앞서다. 앞서 가다. 앞장서다. 뛰어넘다. 이끌다. 선행(先行)하다.
生(생): 사람.
先生(선생): 명성(名聲)/학문(學問)/학예(學藝) 등(等)이 뛰어난 사람에 대(對)한 존칭(尊稱).
康節邵先生(강절소선생): 중국(中國) 송(宋)나라의 학자(學者)이자 시인(詩人). 본명(本名)은 소옹(邵雍), 자(字)는 요부(堯夫), 호(號)는 안락선생(安樂先生). 시호(諡號)는 강절(康節).
戒(계): 타이르다. 경계(警戒)하다. 훈계(勳階)하다.
子(자): 자녀(子女). 자식(子息).
孫(손): 손자(孫子). 아들의 아들. 딸의 아들.
子孫(자손): 후손(後孫).
曰(왈):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라 하다. 가로되 ~라고 하다.
上品之人 不敎而善,
상품지인 불교이선,
“상품(上品)의 사람은 가르치지 아니하여도 선(善)하며,
(훌륭한 사람은 가르치지 아니하여도 선(善)하며,)
上(상): 첫째. 상급(上級). 상등(上等). 상위(上位).
品(품): 등급(等級). 차별(差別).
上品(상품): 상등(上等)의 품격(品格)/품위(品位). 품격(品格)/품위(品位)가 좋음.
之(지): ~의. ~는. ~은. ~하는. ~한. [관형어(冠形語)와 중심어(中心語) 사이에 쓰여 일반적(一般的)인 수식(修飾) 관계(關係)나 종속(從屬) 관계를 나타냄.]
人(인): 사람. 인간(人間).
不(불): 아니하다.
敎(교): 가르치다. 지도(指導)하다.
而(이): ~나. ~이나. ~지만. ~이지만. ~아니라. ~면서. ~고서. ~하고서. ~하더라도. 그러나. 그런데. 그런데도. 오히려. [역접(逆接)을 나타냄.]
善(선): 마음이 곱다. 어질다. 착하다. 선(善)하다. 선량(善良)하다. 자비(慈悲)롭다.
中品之人 敎而後善,
중품지인 교이후선,
중품(中品)의 사람은 가르친 뒤에 선하며,
(보통(普通) 사람은 가르친 뒤에야 선해지고,)
中(중): 가운데 등급(等級). 중급(中級). 중등(中等). 중류(中流).
而(이): ~하고 곧. ~하고도. ~하며. ~하면서. ~하더니. 그리고. 그래서. [순접(順接)을 나타냄.]
後(후): 뒤.
而後(이후): 연후(然後). 그런 뒤. 그러한 뒤. 그러한 후(後)에. 그리고 나서.
下品之人 敎亦不善.
하품지인 교역불선.
하품(下品)의 사람은 가르쳐도 역시(亦是) 선하지 아니하다.
(질(質)이 나쁜 사람은 가르치더라도 선하지 아니하다.)
下(하): 하급(下級). 열등(劣等).
亦(역): 또. 또한. ~도 또한. ~도 역시(亦是).
不敎而善 非聖而何.
불교이선 비성이하.
가르치지 아니하였는데도 선하면, 성인(聖人)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非(비): 아니다. [부정(不定)을 나타냄. 불(不)의 뜻.]
聖(성): 성인(聖人). 성현(聖賢).
聖人(성인): 지혜(智慧)와 덕(德)이 매우 뛰어나 길이 우러러 본받을 만한 사람. 성자(聖者).
何(하): 무엇. 무슨. 어떤. 어떠한. 어느. 언제. 어디.
敎而後善 非賢而何.
교이후선 비현이하.
가르친 뒤에 선하면 현인(賢人)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가르침을 받고 선해진다면 현인(賢人)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賢人(현인): 어질고 총명(聰明)한 사람. 어질고 총명하여 성인(聖人)의 다음가는 사람. 군자(君子). 현자(賢者).
敎亦不善 非愚而何.
교역불선 비우이하.
가르쳐도 역시 선하지 아니하다면 우인(愚人)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가르치더라도 선하지 아니하다면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是知善也者 吉之謂也.
시지선야자 길지위야.
이는 ‘선을 안다’라는 것은, ‘길(吉)하다’라는 의미(意味)이다.
是(시): 이. 이것.
知(지): 알다. 깨닫다. 이해(理解)하다.
善(선): 좋은 일. 착한 일. 선(善). 선행(善行). 착하고 정당(正當)하여 도덕적(道德的)인 기준(基準)에 맞는 것.
也(야): [조사(助辭)] ~이다. ~하다. 문장(文章)의 끝에 쓰여 긍정(肯定), 결정(決定), 설명(說明), 판단(判斷)의 어기(語氣)를 표시(表示).
者(자): ~은. ~는. ~란. ~라는 것은. ~라는 사람은. ~라는 자(者)는. 낱말이나 구(句) 뒤에 쓰여 잠시(暫時) 멈추는 어기(語氣)를 나타냄.
吉(길): 길(吉)하다. 운(運)이 좋다. 일이 상서(祥瑞)롭다.
謂(위): 뜻. 의미(意味). 의의(意義).
不善也者 凶之謂也.
불선야자 흉지위야.
‘선하지 아니하다’라는 것은, ‘흉(凶)하다’라는 의미이다.
凶(흉): 좋지 않다. 불길(不吉)하다. 불행(不幸)하다. 흉(凶)하다.
吉也者 目不觀非禮之色,
길야자 목불관비례지색,
‘길하다’라는 것은, 눈은 예의(禮儀)에 어긋난 모습을 보지 아니하고,
目(목): 눈. 감각기관(感覺器官)의 하나. 오관(五官)의 하나.
觀(관): 보다. 살피다. 구경하다.
禮(례): 예법(禮法). 예의(禮儀). 예절(禮節).
非禮(비례): 예의(禮儀)에 어긋남. 예의(禮儀)가 아님.
色(색): 모습. 모양(模樣). 상태(狀態).
耳不聽非禮之聲,
이불청비례지성,
귀는 예의에 어긋난 소리를 듣지 아니하고,
耳(이): 귀. 감각기관(感覺器官)의 하나. 오관(五官)의 하나.
聽(청): 듣다. 귀로 소리를 듣다.
聲(성): 소리. 목소리. 음성(音聲).
口不道非禮之言,
구불도비례지언,
입은 예의에 어긋난 말을 말하지 아니하고,
口(구): 입.
道(도): 말하다.
言(언): 말. 말씀. 이야기. 언어(言語).
足不踐非禮之地.
족불천비례지지.
발은 예의에 어긋난 장소(場所)를 밟지 아니하는 것이다.
足(족): 다리. 발.
踐(천): 밟다. 발로 디디다.
地(지): 곳. 구역(區域). 장소(場所). 지구(地區). 지점(地點).
人非善不交 物非義不取.
인비선불교 물비의불취.
사람은 선하지 않으면 사귀지 말고, 물건(物件)은 의(義)롭지 않으면 취(取)하지 마라.
(그러므로 선(善)한 사람이 아니면 사귀지 말고, 도리(道理)에 어긋난 물건(物件)은 취(取)하지 마라.)
不(불): ~하지 마라. ~해서는 안 된다. 물(勿)의 뜻. 금지(禁止)를 나타냄.
交(교): 오고 가다. 사귀다. 교제(交際)하다. 왕래(往來)하다. 연락(連絡)하다.
物(물): 물건(物件). 물질(物質). 물체(物體). 물품(物品). 사물(事物). 재물(財物).
義(의): 바르다. 올바르다. 옳다. 의(義)롭다. 정의(正義)에 합당(合當)하다.
非義(비의): 도리(道理)에 어긋남. 도리(道理)에 맞지 아니함. 의리(義理)에 어긋남. 의리(義理)에 맞지 아니함.
取(취): 가지다. 손에 들다. 쥐다. 취(取)하다.
親賢如就芝蘭 避惡如畏蛇蠍.
친현여취지란 피악여외사갈.
지초(芝草)와 난초(蘭草)를 가까이하듯이 어진 사람을 가까이하고, 뱀과 전갈(全蠍)을 꺼리듯이 악(惡)한 사람을 멀리하라.
(좋은 향기(香氣)가 나는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에 가까이하듯이 어진 사람을 가까이하고, 독(毒)을 품은 뱀과 전갈(全蠍)을 멀리하듯이 악(惡)한 사람을 멀리하라.)
親(친): 가까이하다. 접근(接近)하다. 접촉(接觸)하다.
如(여): 같다. ~와 같다.
就(취): 다가가다. 가까이하다. 다가붙다. 곁에 다가서다. 접근(接近)하다.
芝(지): 지초(芝草).
蘭(란): 난초(蘭草).
芝蘭(지란): 지초(芝草)와 난초(蘭草). 좋은 향기(香氣)가 나는 풀.
避(피): 피(避)하다. 피(避)하여 숨다. 회피(回避)하다. 도망(逃亡)가다. 도망(逃亡)하다. 멀리하다. 비키다.
惡(악): 나쁜 사람. 악(惡)한 사람. 악당(惡黨). 악인(惡人).
畏(외): 꺼리다. 겁내다. 두려워하다. 무서워하다. 조심(操心)하다.
蛇(사): 뱀. 긴 뱀.
蠍(갈): 전갈(全蠍).
蛇蠍(사갈): 蛇蝎(사갈): 뱀과 전갈(全蠍).
或曰, 不謂之吉人 則吾不信也.
혹왈, 불위지길인 즉오불신야.
어떤 사람은 ‘그를 길인(吉人)이라고 하지 않으면, 나는 믿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어떤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다른 사람들이 그를 길인(吉人), 즉(卽) 착한 사람이라고 하지 않으면 나는 믿지 않겠다.’)
或(혹): 어떤 이. 어떤 사람.
之(지): 그. 이. 저. 그것. 이것. 저것. [사람이나 사물(事物)을 대신(代身)하며, 목적어(目的語)로만 쓰임.]
謂(위): ~라고 하다. ~라고 부르다. ~라고 일컫다.
吉人(길인): 선인(善人). 착한 사람. 좋은 사람. 성품(性品)이 바르고 복(福)스러워 좋은 사람.
則(즉): ~면. ~하면. ~하면 곧. ~한다면. ~한다면 곧. ~할 때에는. ~하는 경우(境遇)라면. ~하는 경우(境遇)라면 곧. ~하면 ~하다. [인과(因果) 관계(關係)나 조건(條件)을 나타냄.]
吾(오): 나.
信(신): 믿다.
凶也者 語言詭譎 動止陰險 好利飾非,
흉야자 어언궤휼 동지음험 호리식비,
흉하다는 것은, 행동거지(行動擧止)가 음험(陰險)하고, 이익(利益)을 좋아하며 교묘(巧妙)한 수단(手段)과 말로 잘못을 얼버무리고,
(흉하다는 것은, 말이 간사(奸邪)하고, 행동거지(行動擧止)가 음험(陰險)하고, 이익(利益)이 되는 것만 좋아하며 교묘(巧妙)한 수단(手段)과 말로 잘못을 얼버무리며,)
語(어): 말. 말씀. 이야기.
語言(어언): 말. 언어(言語).
詭(궤): 능글맞다. 교활(狡猾)하다. 위선적(僞善的)이다.
譎(휼): 거짓말하다. 속이다. 기만(欺瞞)하다. 농간(弄奸)을 부리다.
詭譎(궤휼): 능글맞음. 간사(奸邪)함. 간사(奸邪)스럽고 교묘(巧妙)함. 교활(狡猾)함.
動(동): 사람이 움직이다. 동작(動作)하다. 행동(行動)하다. 활동(活動)하다.
止(지): 멎다. 멈추다.
動止(동지): 움직이는 일과 멈추는 일. 행동거지(行動擧止). 평소(平素)의 생활(生活).
陰(음): 그늘지다.
險(험): 교활(狡猾)하다. 음험(陰險)하다. 음흉(陰凶)하다.
好(호): 좋아하다.
利(리): 이로움. 이익(利益). 이득(利得). 이점(利點).
飾(식): 거짓으로 꾸미다. 위장(僞裝)하다.
非(비): 그름. 나쁜 일. 잘못. 허물. 과실(過失). 사악(邪惡). 실수(失手). 악행(惡行). 착오(錯誤).
飾非(식비): 교묘(巧妙)한 수단(手段)과 말로 잘못을 얼버무림.
貪淫樂禍 嫉良善如仇隙 犯刑憲如飮食,
탐음락화 질량선여구극 범형헌여음식,
지나치게 색(色)을 탐내며 피해(被害)를 입히기를 즐겨 하고, 어진 사람과 착한 사람을 원수(怨讐)처럼 미워하고, 마시고 먹는 것처럼 형법(刑法)을 어기는 것이니,
(지나치게 색(色)을 탐내며 피해(被害)를 입히기를 즐겨 하고, 어진 사람과 착한 사람을 원수(怨讐)처럼 미워하고, 물을 마시고 밥을 먹듯이 형법(刑法)을 어기는 것이니,)
貪(탐): 골몰(汨沒)하다. 만족(滿足)을 모르다. 만족(滿足)할 줄 모르다. 욕심(欲心)을 내다. 욕심(欲心)을 부리다. 탐(貪)내다. 탐(貪)하다.
淫(음): 음란(淫亂)하다. 음탕(淫蕩)하다. 외설적(猥褻的)이다.
貪淫(탐음): 지나치게 색(色)을 탐냄. 여색(女色)에 빠짐.
樂(락): 기뻐하다. 좋아하다. 즐기다. 즐거워하다. 기꺼이/기쁘게/즐겁게 ~을 하다.
禍(화): 손해(損害)를 끼치다. 재앙(災殃)을 내리다. 피해(被害)를 입히다. 화(禍)를 입히다. 해(害)치다.
嫉(질): 미워하다. 증오(憎惡)하다.
良(량): 어질고 착한 사람. 선량(善良)한 사람. 양민(良民).
善(선): 착한 사람. 선량(善良)한 사람.
仇(구): 원수(怨讐). 적(敵).
隙(극): (감정상(感情上)의) 거리감/골/금/사이/서먹서먹함/소원(疏遠)함.
仇隙(구극): 원수(怨讐). 원수(怨讐)처럼 지내는 좋지 못한 사이. 서로 원수(怨讐)처럼 지내는 사이. 적(敵).
犯(범): 거스르다. 어기다. 법(法)을 어기다. 법(法)을 지키지 아니하고 거스르다. 위반(違反)하다.
刑(형): 법(法).
憲(헌): 법(法). 법령(法令). 법률(法律).
刑憲(형헌): 형법(刑法).
飮(음): 마시다.
食(식): 먹다.
小則殞身滅性 大則覆宗絕嗣.
소즉운신멸성 대즉복종절사.
작으면 자신(自身)을 훼손(毁損)하고 생명(生命)을 멸(滅)하며, 크면 일족(一族)을 멸망(滅亡)시켜 후사(後嗣)가 끊어진다.
(흉함이 작으면 자신(自身)을 망치지만, 흉함이 크면 일족(一族)을 멸망(滅亡)시켜 대(代)가 끊어지게 된다.)
小(소): 소리/면적(面積)/용량(容量)/체적(體積) 따위가 작다. 수량(數量)이 적다. 정도(程度)가 낮다/얕다. 나이가 어리다/젊다. 힘/강도(强度) 따위가 약하다. 도량(度量)/장소(場所) 따위가 좁다/협소(狹小)하다. 시간(時間)이 짧다. 지위(地位)가 낮다.
殞(운): 훼손(毁損)하다.
身(신): 나. 스스로. 본인(本人). 자기(自己). 자신(自身).
滅(멸): 멸(滅)하다. 망(亡)하다. 멸망(滅亡)하다.
性(성): 목숨. 생명(生命).
大(대): 크다.
覆(복): 나라 따위가 망(亡)하다/멸망(滅亡)하다. / 여기에서는 ‘멸망(滅亡)시키다’의 뜻으로 해석(解釋)함.
宗(종): 일족(一族). 동성(同姓).
絶(절): 끊다.
嗣(사): 자손(子孫). 후손(後孫).
絕嗣(절사): 자손(子孫)이 없어 대(代)가 끊어짐. 후사(後嗣)가 끊어짐.
或曰, 不謂之凶人 則吾不信也.
혹왈, 불위지흉인 즉오불신야.
어떤 사람은 ‘그를 흉인(凶人)이라고 말을 하지 않아도, 나는 믿지 않겠다.’라고 말을 한다.
(어떤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와 같은 행동(行動)을 한다면 다른 사람들이 그를 흉인(凶人), 즉 흉악(凶惡)한 사람이라고 말을 하지 않아도 나는 믿지 않겠다.’)
凶人(흉인): 흉악(凶惡)한 사람.
則(즉): 그러나. 도리어. 오히려. ~하지만. ~이고. ~이요. ~하고. [역접(逆接)/전환(轉換) 관계(關係), 대비(對比), 나열(羅列)을 나타냄.]
傳有之曰.
전유지왈.
전(傳)하여 내려오는 것에 이런 것이 있는데 말하기를,
(또 옛 성현(聖賢)들이 남긴 글 중(中)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傳(전): (기예(技藝)나 재산(財産) 따위가/를) 전(傳)하여 내려오다/전(傳)해주다/전승(傳承)하다.
有(유): 있다.
吉人爲善 惟日不足. 凶人爲不善 亦惟日不足.
길인위선 유일부족. 흉인위불선 역유일부족.
‘착한 사람은 선을 행(行)하며 날짜의 부족(不足)함을 생각한다. 흉악(凶惡)한 사람은 나쁜 짓을 행하며, 또한 날짜의 부족함을 생각한다’라고 하였다.
(‘착한 사람은 날마다 선을 행(行)하여도 오히려 부족(不足)하다고 여기고, 악한 사람은 날마다 나쁜 짓을 하여도 오히려 부족하다고 여긴다.’)
爲(위): 하다. 행(行)하다. 행동(行動)하다. 만들다.
爲善(위선): 착한 일을 함. 선(善)을 행(行)함.
惟(유): 생각하다. 사고(思考)하다. 사려(思慮)하다.
日(일): 날. 날수(數). 날짜.
不足(부족): 모자람. 부족(不足)함. 일정(一定)한 숫자(數字)에 이르지 못하거나 충분(充分)하지 않음.
汝等欲爲吉人乎 欲爲凶人乎.
여등욕위길인호 욕위흉인호.
너희들은 착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가? 흉악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가?”
(너희들은 착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가, 아니면 흉악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가?)
汝(여): 너. 자네. 그대.
等(등): 들. [사람을 가리키는 명사(名詞)나 인칭대명사(人稱代名詞) 뒤에 쓰여 복수(複數)를 나타냄.]
汝等(여등): 너희들.
欲(욕): ~을 하고자 하다. 원(願)하다. 바라다. 희망(希望)하다.
爲(위): ~으로 되다. ~이 되다. ~으로 바뀌다. ~으로 변(變)하다. ~으로 변화(變化)하다.
乎(호): 문장(文章)의 끝에 쓰여 의문(疑問)이나 반문(反問)의 어기(語氣)를 나타냄.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