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天理篇(천리편) (2) 循天理(순천리) 則不求利而自無不利(즉불구리이자무불리): 하늘의 이치를 따르면 욕심을 부리지 않아도 저절로 모든 일이 순조롭게 풀린다.


明心寶鑑(명심보감) 天理篇(천리편) (2)

 

 

《近思錄》云:「循天理,則不求利而自無不利。循人欲,則求利未得而害已隨之。」

 

근사록(近思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하늘의 이치를 따르면 욕심을 부리지 않아도 저절로 모든 일이 순조롭게 풀린다.

 

사람의 욕심을 따르면 욕심을 부려도 얻는 것이 없고 재앙이 뒤따른다.”

 

 

 

근사록(近思錄)은 중국 송()나라의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주무숙(周茂叔),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 장재(張載) 등의 저서나 어록 중에서 수양에 도움이 되는 부분을 추려내어 14권으로 편찬한 책입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天理篇(천리편) (2)

 

近思錄云.

근사록운.

근사록(近思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循天理 則不求利而自無不利.

순천리 즉불구리이자무불리.

천리(天理)를 따르면, 이익(利益)을 추구(追求)하지 않아도 저절로 모두 이롭다.

(하늘의 이치(理致)를 따르면, 욕심(欲心)을 부리지 않아도 저절로 모든 일이 순조(順調)롭게 풀린다.)

 

循人欲 則求利未得而害已隨之.

순인욕 즉구리미득이해이수지.

사람의 욕심(欲心)을 따르면, 이익을 추구하여도 얻지 못하고 재앙(災殃)이 곧 그를 따른다.”

(사람의 욕심(欲心)을 따르면, 욕심을 부려도 얻는 것이 없고 재앙(災殃)이 뒤따른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