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存心篇(존심편) (20) 披毛從此得(피모종차득) 作佛也由他(작불야유타): 악귀가 되거나 부처가 되는 것은 모두 이 마음에 달려 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存心篇(존심편) (20)

 

 

三點如星象,橫鉤似月斜。披毛從此得,作佛也由他。

 

()이라는 글자의 세 점은 마치 별처럼 보이고,

 

가로지른 획은 초승달을 닮았구나.

 

악귀가 되거나 부처가 되는 것은 모두 이 마음에 달려 있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存心篇(존심편) (20)

 

三點如星象 橫鉤似月斜.

삼점여성상 횡구사월사.

세 개()의 점()은 별의 형상(形象)과 같고, 가로지른 획()은 달이 기운 것을 닮았구나.

(()이라는 글자()의 세 점()은 마치 별처럼 보이고, 가로지른 획()은 초승(初生)달을 닮았구나.)

 

披毛從此得 作佛也由他.

피모종차득 작불야유타.

머리카락을 흐트러뜨린 것은 이로부터 이르고, 부처가 되는 것도 또한 그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머리를 풀어헤친 악귀(惡鬼)가 되는 것은 이 마음으로 인()한 것이며, 부처가 되는 것도 또한 그 사람의 마음으로 인한 것이다.)

(악귀(惡鬼)가 되거나 부처가 되는 것은 모두 이 마음에 달려 있다.)

(나쁜 사람이 되거나 착한 사람이 되는 것은 모두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초승달과 초생(初生) (네이버 국어사전)

 

『초승에 뜨는 달은초승달이 옳다. 물론 이 단어는초생(初生)’이 합성한 경우이나,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경우 관용에 따라 쓴다는 원칙에 따라, ‘초승달이 올바른 표현이다.

(국어생활백서(김홍석 저))

 

『‘초승달’의 의미로초생달을 쓰는 경우가 있으나초승달만 표준어로 삼는다.

(표준어 규정 2 4 17)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