木鷄之德.
목계지덕.
나무로 만든 닭의 덕(德). 나무로 만든 닭의 능력(能力).
1) 작은 일에 흔들리지 않고 자기(自己)의 감정(感情)을 통제(統制)할 수 있는 능력(能力)을 비유(比喩)하는 말.
(장자(莊子) 외편(外篇) 달생편(達生篇) 중에서……)
기성자(紀渻子)가 닭싸움을 좋아하는 왕을 위해 싸움닭을 기르기 시작했다.
열흘이 지나자 왕이 물었다.
“닭은 싸울 준비가 끝났는가?”
기성자가 말하였다.
“아닙니다. 닭이 강해지기는 하였으나, 지금 한창 자기의 힘만 믿고 잘난 체하며 경박하게 행동합니다.”
열흘이 지나자 왕이 다시 물었다.
기성자가 말하였다.
“아닙니다. 경박함과 교만함은 사라졌으나, 여전히 다른 닭의 그림자만 보고도 쉽게 반응하여 싸우려 듭니다. 아직 조급한 마음을 버리지 못하였습니다.”
열흘이 지나자 왕이 다시 물었다.
기성자가 말하였다.
“아닙니다. 조급한 마음은 버렸으나, 여전히 분노가 가득한 눈으로 다른 닭들을 사납게 노려보고 있습니다.”
열흘이 지나자 왕이 다시 물었다.
기성자가 말하였다.
“싸울 준비가 끝났습니다.
다른 닭들이 비록 크게 소리 내어 울더라도 곧 안정을 되찾고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그 닭을 멀리서 바라보면 나무로 만든 닭처럼 보입니다.
이제 그 닭은 겸손한 마음과 진중한 태도를 갖추었으며, 분노를 다스릴 줄 알고, 다른 닭들의 행동에 쉽게 휩쓸리지 않습니다.
싸움닭이 갖추어야 할 덕을 모두 갖추었습니다.
이 닭이 나타나면 다른 닭들은 감히 맞서지 못하고 도리어 달아나기에 바쁩니다.”
★★★★★★★★★★★★★★★★★★★★
☆☆☆☆☆☆☆☆☆☆☆☆☆☆☆☆☆☆☆☆
투계(鬪鷄), 즉(卽) 닭싸움을 좋아하는 왕(王)이 있었습니다.
왕은 닭을 잘 훈련(訓練)시키로 이름난 기성자(紀渻子)에게 맡기고, 열흘마다 훈련의 진척도(進陟度)를 물었습니다.
그때마다 기성자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하며 준비(準備)가 덜 되었음을 아뢰었습니다.
“닭이 강(强)해지기는 하였으나, 지금(只今) 한창 자기의 힘만 믿고 잘난 체하며 경박(輕薄)하게 행동(行動)합니다.”
“경박함과 교만(驕慢)함은 사라졌으나, 여전(如前)히 다른 닭의 그림자만 보고도 쉽게 반응(反應)하여 싸우려 듭니다.
“조급한 마음은 버렸으나, 여전히 분노(憤怒)가 가득한 눈으로 다른 닭들을 사납게 노려보고 있습니다.”
사십(四十) 일째 되던 날, 훈련을 마친 기성자는 다음과 같이 왕에게 아뢰었습니다.
“싸울 준비가 끝났습니다. 다른 닭들이 비록 크게 소리 내어 울더라도 곧 안정(安靜)을 되찾고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그 닭을 멀리서 바라보면 나무로 만든 닭처럼 보입니다. 이제 그 닭은 겸손(謙遜)한 마음과 진중(鎭重)한 태도(態度)를 갖추었으며, 분노(憤怒)를 다스릴 줄 알고, 다른 닭들의 행동에 쉽게 휩쓸리지 않습니다. 싸움닭이 갖추어야 할 덕(德)을 모두 갖추었습니다. 이 닭이 나타나면 다른 닭들은 감(敢)히 맞서지 못하고 도리어 달아나기에 바쁩니다.”
이 이야기는 겸손한 마음과 진중한 태도를 갖추고, 분노를 다스릴 줄 알며, 다른 사람의 행동에 쉽게 휩쓸리지 않는 사람이 강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출전(出典):
- 장자(莊子) 외편(外篇) 달생편(達生篇)
※원문(原文):
紀渻子為王養鬥雞。十日而問:「雞已乎?」曰:「未也。方虛憍而恃氣。」十日又問。曰:「未也。猶應嚮景。」十日又問。曰:「未也。猶疾視而盛氣。」十日又問。曰:「幾矣。雞雖有鳴者,已無變矣,望之似木雞矣,其德全矣,異雞無敢應者,反走矣。」
※원문(原文) / 해석(解釋):
紀渻子為王養鬥雞.
기성자위왕양두계.
기성자(紀渻子)가 왕(王)을 위(爲)해 싸움닭을 길렀다.
(기성자(紀渻子)가 닭싸움을 좋아하는 왕(王)을 위(爲)해 싸움닭을 기르기 시작(始作)했다.)
十日而問.
십일이문.
열흘이 지나자 물었다.
(열흘이 지나자 왕이 물었다.)
雞已乎.
계이호.
“닭은 끝났는가?”
(닭은 싸울 준비(準備)가 끝났는가?)
曰.
왈.
말하였다.
(기성자가 말하였다.)
未也. 方虛憍而恃氣.
미야. 방허교이시기.
“아닙니다. 지금(只今) 한창 마음이 교만(驕慢)하여 기운에 의지(依支)합니다.”
(아닙니다. 지금(只今) 한창 경박(輕薄)하고 교만(驕慢)하여 제멋대로입니다.)
(아닙니다. 닭이 강(强)해지기는 하였으나, 지금(只今) 한창 자기(自己)의 힘만 믿고 잘난 체하며 경박(輕薄)하게 행동(行動)합니다.)
十日又問.
십일우문.
열흘이 지나자 또 물었다.
(열흘이 지나자 왕이 다시 물었다.)
曰.
왈.
말하였다.
(기성자가 말하였다.)
未也. 猶應嚮景.
미야. 유응향영.
“아닙니다. 여전(如前)히 그림자를 향(向)하여 대응(對應)합니다.”
(아닙니다. 경박함과 교만함은 사라졌으나, 여전(如前)히 다른 닭의 그림자만 보고도 쉽게 반응(反應)하여 싸우려 듭니다. 아직 조급(躁急)한 마음을 버리지 못하였습니다.)
十日又問.
십일우문.
열흘이 지나자 또 물었다.
(열흘이 지나자 왕이 다시 물었다.)
曰.
왈.
말하였다.
(기성자가 말하였다.)
未也. 猶疾視而盛氣.
미야. 유질시이성기.
“아닙니다. 여전히 밉게 보며 쌓인 분노(憤怒)가 폭발(暴發)하려는 듯합니다.
(아닙니다. 조급한 마음은 버렸으나, 여전히 분노(憤怒)가 가득한 눈으로 다른 닭들을 사납게 노려보고 있습니다.)
十日又問.
십일우문.
열흘이 지나자 또 물었다.
(열흘이 지나자 왕이 다시 물었다.)
曰.
왈.
말하였다.
(기성자가 말하였다.)
幾矣.
기의.
“끝났습니다.
(싸울 준비가 끝났습니다.)
雞雖有鳴者 已無變矣.
계수유명자 이무변의.
닭이 비록 우는 놈이 있더라도, 조금 후(後)에 변화(變化)가 없습니다.
(다른 닭들이 비록 크게 소리 내어 울더라도, 곧 안정(安靜)을 되찾고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望之似木雞矣 其德全矣.
망지사목계의 기덕전의.
그것을 바라보면 나무로 만든 닭과 같으니, 그 덕(德)이 완전(完全)합니다.
(그 닭을 멀리서 바라보면 나무로 만든 닭처럼 보입니다. 이제 그 닭은 싸움닭이 갖추어야 할 덕(德)을 모두 갖추었습니다.)
(그 닭을 멀리서 바라보면 나무로 만든 닭처럼 보입니다. 이제 그 닭은 겸손(謙遜)한 마음과 진중(鎭重)한 태도(態度)를 갖추었으며, 분노(憤怒)를 다스릴 줄 알고, 다른 닭들의 행동에 쉽게 휩쓸리지 않습니다. 싸움닭이 갖추어야 할 덕(德)을 모두 갖추었습니다.)
異雞無敢應者 反走矣.
이계무감응자 반주의.
다른 닭은 감(敢)히 대응하는 놈이 없으며, 도리어 달아납니다.”
(이 닭이 나타나면 다른 닭들은 감(敢)히 맞서지 못하고, 도리어 달아나기에 바쁩니다.)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
★★★★★★★★★★★★★★★★★★★★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食指動(식지동) – 사물이나 음식에 욕심을 품음을 비유하는 말 & 손가락을 뜻하는 한자어(漢字語). (0) | 2019.06.27 |
---|---|
覆水不返盆(복수불반분) – 이미 저지른 일은 다시 되돌릴 수 없다는 뜻. (0) | 2019.06.26 |
大同小異(대동소이) – 큰 차이가 없고 거의 비슷하다는 뜻. (0) | 2019.06.24 |
狼子野心(낭자야심) – 본래의 타고난 성품이 비뚤어진 사람은 교화하기 힘들다는 뜻. (0) | 2019.06.23 |
錦衣夜行(금의야행) – 아무런 보람이 없는 행동을 비유한 말. (0) | 2019.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