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天理篇(천리편) (18)
深耕淺種,尚有天災;利己損人,豈無果報?
도리에 맞는 일을 하더라도,
도리어 재앙을 당할 수가 있는데,
자기의 이익만 꾀하며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끼치는 도리에 어긋난 행동을 한다면,
어찌 재앙을 당하지 않겠는가?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FF9A335BD13EF613)
明心寶鑑(명심보감) 天理篇(천리편) (18)
深耕淺種 尙有天災,
심경천종 상유천재,
밭을 깊게 갈고 씨를 얕게 뿌려도, 도리어 하늘의 재앙(災殃)이 있는데,
(밭을 깊게 갈고 씨를 얕게 뿌려도, 도리어 사람의 힘으로 피(避)하기 어려운 재앙(災殃)이 생기는데,)
(도리(道理)에 맞는 일을 하더라도, 도리어 재앙(災殃)을 당(當)할 수가 있는데,)
深(심): 깊다. 깊숙하다.
耕(경): 논을 갈다. 밭을 갈다. 논밭을 갈다.
深耕(심경): 깊이갈이. 깊이 갊. 밭을 깊이 갊. 땅을 깊게 갊. 땅을 깊이 가는 일.
淺(천): 얕다.
種(종): 뿌리다.
深耕淺種(심경천종): 땅/밭을 깊게 갈고 씨를 얕게 뿌림/심음. 농사(農事)를 짓는 기본적(基本的)인 방법(方法)을 말한 것으로, ‘도리(道理)에 맞는 일을 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道理(도리): 사람이 마땅히 행(行)해야 할 바른 길.
尙(상): 오히려. 도리어. 마저. 조차. ~에도 불구(不拘)하고. ~인데 불구(不拘)하고.
*도리어/오히려: 예상(豫想)이나 기대(期待) 또는 일반적(一般的)인 생각과는 반대(反對)되거나 다르게.
有(유): 있다.
天(천): 자연(自然).
災(재): 재앙(災殃).
天災(천재): 자연(自然)의 변화(變化)로 일어나는 재앙(災殃). 사람의 힘으로는 피(避)하기 어려운 재앙(災殃).
利己損人 豈無果報.
이기손인 기무과보.
자기(自己)의 이익(利益)만 꾀하며 다른 사람에게 손해(損害)를 끼친다면, 어찌 인과응보(因果應報)가 없겠는가?
(자기(自己)의 이익(利益)만 꾀하며 다른 사람에게 손해(損害)를 끼치는 도리에 어긋난 행동(行動)을 한다면, 어찌 재앙을 당하지 않겠는가?)
利(이): 이롭게 하다. 도움을 주다. 유리(琉璃)하게 하다. 유익(有益)하게 하다. 순조(順調)롭게 하다. 편리(便利)하게 하다.
己(기): 자기(自己). 자신(自身). 자아(自我).
利己(이기): 자기(自己)를 이(利)롭게 함. 자기(自己)의 이익(利益)만 꾀함.
損(손): 손해(損害)를 끼치다. 손실(損失)을 입히다.
人(인): 남. 다른 사람. 타인(他人).
損人(손인): 다른 사람에게 손해(損害)를 끼침.
豈(기): 어찌. 어찌하여. 어떻게. 어찌/어찌하여 ~하겠는가? 어떻게 ~란 말인가? 그래 ~이란 말인가?
無(무): 없다.
果(과): 결과(結果).
報(보): 갚음. 대(對)갚음. 응보(應報). 대가(代價). 업보(業報). 인과응보(因果應報).
果報(과보): 인과응보(因果應報). 업보(業報). 선악(善惡)의 행업(行業)으로 말미암은 과보(果報). 행(行)한 일의 선악(善惡)에 따라 행(幸)이나 불행(不幸)의 대가(代價)를 받는 일.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