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蚇蠖之屈(척확지굴) – 뒷날의 성공을 위하여 지금의 어려움이나 굴욕을 참아야 한다는 뜻.


蚇蠖之屈.
척확지굴.
자벌레의 구부림. 자벌레의 굽힘.
1) 현재(現在)의 어려움이나 굴욕(屈辱)을 참아야 성공(成功)을 할 수 있다는 뜻. 뒷날의 성공(成功)을 위(爲)하여 지금(只今)의 어려움이나 굴욕(屈辱)을 참아야 한다는 뜻.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하(下) 중에서……)


자벌레가 몸을 구부리는 것은 몸을 다시 펼쳐 앞으로 나아가기 위함이다.


용과 뱀이 겨울잠을 자는 것은 살기 어려운 겨울 동안 몸을 보존하여 다시 봄을 맞이하기 위함이다.


깊고 오묘한 이치를 깨달아 입신의 경지에 이르고자 열심히 몸과 마음을 갈고닦는 것은 깨달음을 실제에 응용하기 위함이다.

 



★★★★★★★★★★★★★★★★★★★★


☆☆☆☆☆☆☆☆☆☆☆☆☆☆☆☆☆☆☆☆


척확(蚇蠖)은 자벌레를 말하며, 이 자벌레는 몸을 굽혔다가 펴는 동작(動作)을 반복(反復)하며 앞으로 나아갑니다.


주역(周易)은 역경(易經)이라고도 하며, 유교(儒敎)의 기본(基本) 경전(經典)인 사서오경(四書五經)의 하나입니다.


십익(十翼)은 역경(易經)의 뜻을 알기 쉽게 설명(說明)한 책(冊)으로, 공자(孔子)가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7종(種) 10권(卷)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습니다.


- 단전(彖傳) 상(上)/하(下)
- 계사전(繫辭傳) 상(上)/하(下)
- 상전(象傳) 상(上)/하(下)
- 문언전(文言傳)
- 설괘전(說卦傳)
- 서괘전(序卦傳)
- 잡괘전(雜卦傳).


척확(蚇蠖)은 자벌레를 말하며, 자벌레는 몸을 굽혔다가 펴는 동작(動作)을 반복(反復)하며 앞으로 나아갑니다. 주역(周易)의 계사전(繫辭傳)에는 이 자벌레에 대(對)한 이야기가 다음과 같이 실려 있습니다.


尺蠖之屈 以求信也.
척확지굴 이구신야.
자벌레가 몸을 구부리는 것은, 몸을 다시 펼쳐 앞으로 나아가기 위(爲)함이다.


‘자벌레의 구부림/굽힘’이라는 뜻의 척확지굴(尺蠖之屈)은 여기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로, ‘현재(現在)의 어려움이나 굴욕(屈辱)을 참아야 성공(成功)을 할 수 있음’을 비유(比喩)하여 쓰이고 있습니다.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출전(出典):
-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하(下) 5


※원문(原文):
尺蠖之屈,以求信也。龍蛇之蟄,以存身也。精義入神,以致用也。利用安身,以崇德也。過此以往,未之或知也。窮神知化,德之盛也。」


※원문(原文) / 해석(解釋):


尺蠖之屈 以求信也.
척확지굴 이구신야.
자벌레의 구부림은, 펼침을 바라기 때문이다.
(자벌레가 몸을 구부리는 것은, 몸을 다시 펼쳐 앞으로 나아가기 위(爲)함이다.)


龍蛇之蟄 以存身也.
용사지칩 이존신야.
용(龍)과 뱀의 겨울잠은, 몸을 보존(保存)하기 위함이다.
(용(龍)과 뱀이 겨울잠을 자는 것은, 살기 어려운 겨울 동안 몸을 보존(保存)하여 다시 봄을 맞이하기 위함이다.)


精義入神 以致用也.
정의입신 이치용야.
깊고 오묘(奧妙)한 이치(理致)와 입신(入神)은, 실제(實際)에 응용(應用)하기 위함이다.
(깊고 오묘(奧妙)한 이치(理致)를 깨달아 입신(入神)의 경지(境地)에 이르고자 열심(熱心)히 몸과 마음을 갈고닦는 것은, 깨달음을 실제(實際)에 응용(應用)하기 위함이다.)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


★★★★★★★★★★★★★★★★★★★★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