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良藥苦口(양약고구) – 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자신에게 도움이 된다는 뜻.


良藥苦口.
양약고구.
양약(良藥)은 입을 괴롭기 한다. 효험(效驗)이 있는 좋은 약(藥)은 입을 괴롭기 한다.
1)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린다는 뜻. 충고(忠告)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자신(自身)에게 도움이 된다는 뜻.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중에서……)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좋은 약은 입에 쓰지만 병에는 이롭고,


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에는 이롭다.


이런 까닭에 무왕(武王)은 신하들이 거리낌없이 바른말을 하여 창성했으나,


주왕(紂王)은 신하들이 웃으면서 아첨하여 망하였다.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중에서……)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약주(藥酒), 즉 약성을 포함한 술은 입을 괴롭게 하지만 병에는 이롭고,


충고하는 말은 듣기 싫지만 행실에는 이롭다.”

 


(사기(史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 중에서……)


독약(毒藥), 즉 병을 고치는 약은 입에 쓰지만 병에는 이롭고,


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에는 이롭다.

 



★★★★★★★★★★★★★★★★★★★★


☆☆☆☆☆☆☆☆☆☆☆☆☆☆☆☆☆☆☆☆


양약고구(良藥苦口)와 관련(關聯)있는 글은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사기(史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 등의 여러 문헌(文獻)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설원 정간편에는 양약(良藥), 공자가어 육본편에는 약주(藥酒), 사기 회남형산열전에는 독약(毒藥)으로 기록(記錄)되어 있으나, 모두 비슷한 뜻입니다.


- 良藥(양약): ❶좋은 약(藥). 효험(效驗)이 있는 좋은 약(藥). ②문제(問題)나 어려움을 해결(解決)할 수 있는 좋은 방법(方法)을 비유(比喩)하는 말. 좋은 처방(處方). 좋은 해결책(解決策).


- 藥酒(약주): ❶약성(藥性)을 포함(包含)한 술, 약(藥)으로 마시는 술. ②술을 높여 부르는 말.


- 毒藥(독약): ❶병(病)을 고치는 약(藥). ②독성(毒性)을 가진 약제(藥劑).
- *毒(독): ❶병(病)을 고치다. ②독(毒)이 있다. 독성(毒性)이 있다. ③유독(有毒)하다. 유해(有害)하다. 해(害)롭다. ……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출전(出典):
- 1)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 2)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 3) 사기(史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


※원문(原文):


1)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25
孔子曰:「良藥苦於口,利於病;忠言逆於耳,利於行。故武王諤諤而昌,紂嘿嘿而亡,君無諤諤之臣,父無諤諤之子,兄無諤諤之弟,夫無諤諤之婦,士無諤諤之友;其亡可立而待。故曰君失之,臣得之;父失之,子得之;兄失之,弟得之;夫失之,婦得之;士失之,友得之。故無亡國破家,悖父亂子,放兄棄弟,狂夫淫婦,絕交敗友。」


2)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2
孔子曰:「藥酒苦於口而利於病,忠言逆於耳而利於行。湯、武以諤諤而昌,桀、紂以唯唯而亡。君無爭臣,父無爭子,兄無爭弟,士無爭友,無其過者,未之有也。故曰:君失之,臣得之;父失之,子得之;兄失之,弟得之;己失之,友得之。是以國無危亡之兆,家無悖亂之惡,父子兄弟無失,而交友無絕也。」


3) 사기(史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
太子知之,數捕系而榜笞建。建具知太子之謀欲殺漢中尉,即使所善壽春莊芷以元朔六年上書於天子曰:「毒藥苦於口利於病,忠言逆於耳利於行。今淮南王孫建,材能高,淮南王王后荼、荼子太子遷常疾害建。建父不害無罪,擅數捕系,欲殺之。今建在,可徵問,具知淮南陰事。」


※원문(原文) / 해석(解釋):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중에서……)


孔子曰.
공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良藥苦於口 利於病, 忠言逆於耳 利於行.
양약고어구 이어병, 충언역어이 이어행.
“양약(良藥)은 입에 쓰고, 병(病)에 이(利)로우며,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리고, 행실(行實)에 이롭다.
(좋은 약은 입에 쓰지만, 병(病)에는 이(利)롭고, 충고(忠告)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行實)에는 이롭다.)


故武王諤諤而昌 紂嘿嘿而亡.
고무왕악악이창 주묵묵이망.
그래서 무왕(武王)은 악악(諤諤)하여 창성(昌盛)했으나, 주왕(紂王)은 묵묵(嘿嘿)하여 망(亡)하였다.
(이런 까닭에 무왕(武王)은 신하(臣下)들이 거리낌없이 바른말을 하여 창성(昌盛)했으나, 주왕(紂王)은 신하들이 웃으면서 아첨(阿諂)하여 망(亡)하였다.)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중에서……)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藥酒苦於口而利於病 忠言逆於耳而利於行.
약주고어구이리어병 충언역어이이리어행.
“약주(藥酒)는 입에 쓰지만 병(病)에는 이(利)롭고,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行實)에는 이롭다.”
(약성(藥性)을 포함(包含)한 술은 입을 괴롭게 하지만 병(病)에는 이(利)롭고, 충고(忠告)하는 말은 듣기 싫지만 행실(行實)에는 이롭다.)

 


(사기(史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 중에서……)


毒藥苦於口利於病 忠言逆於耳利於行.
독약고어구리어병 충언역어이리어행.
독약(毒藥)은 입에 쓰고 병(病)에 이(利)로우며,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리고 행실(行實)에 이롭다.
(병(病)을 고치는 약(藥)은 입에 쓰지만 병(病)에는 이(利)롭고, 충고(忠告)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行實)에는 이롭다.)


※유의어(類義語):
- 충언역이(忠言逆耳)

 

※반의어(反義語):
-


★★★★★★★★★★★★★★★★★★★★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