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墨子泣絲(묵자읍사) – 사람의 성품과 성공 여부는 주위 환경이나 습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뜻.


墨子泣絲.
묵자읍사.
묵자(墨子)가 실을 보고 울다.
1) 사람의 성품(性品)과 성공(成功) 여부(與否)는 주위(周圍) 환경(環境)이나 습관(習慣)에 따라 결정(決定)될 수 있다는 뜻.

 



(묵자(墨子) 권일(卷一) 소염편(所染篇) 중에서……)


묵자(墨子)가 실을 물들이는 것을 보고 탄식하면서 말하였다.


“실에 푸른빛을 물들이면 푸른빛의 실이 되고 누런빛에 물들이면 누런빛의 실이 된다.


넣는 물감이 바뀌면 실의 빛깔도 따라서 변한다.


실을 다른 빛의 물감에 다섯 번 넣었을 뿐인데 다섯 가지 빛깔의 실이 되었다.


그러므로 염색은 신중히 하지 않을 수 없다.


물들이는 것에 따라 바뀌는 것은 나라도 마찬가지이다.


순(舜)임금은 허유(許由)와 백양(伯陽)에게 물들었고,


우(禹)임금은 고요(皋陶)와 백익(伯益)에게 물들었으며,


탕왕(湯王)은 이윤(伊尹)과 중훼(仲虺)에게 물들었으며,


무왕(武王)은 태공(太公)과 주공(周公)에게 물들었다.


이 네 명의 왕들은 아름다운 빛깔에 물들어 아름다운 실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어질고 덕이 많은 신하들을 가까이하고 그들의 도움을 받아 어질고 덕이 많은 왕이 되었다.


그래서 온 세상을 다스렸고, 즉위하여 천자가 되었으며, 공적과 명예가 하늘과 땅을 덮었다.


온 세상에서 가장 어질고 의로우며 현명한 사람을 꼽을 때에는 반드시 이 네 명의 왕들을 일컫는다.

 



★★★★★★★★★★★★★★★★★★★★


☆☆☆☆☆☆☆☆☆☆☆☆☆☆☆☆☆☆☆☆


묵자(墨子)는 중국(中國)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사상가(思想家)로, 본명(本名)은 묵적(墨翟)이라고 합니다. 묵자의 사상(思想)이 담겨 있는 책도 묵자(墨子)라고 합니다.


이 묵자의 소염편(所染篇)에는 염료(染料)에 물드는 실을 보며 묵자가 했던 이야기가 실려 있습니다.


순(舜)임금, 우(禹)임금, 탕왕(湯王), 무왕(武王)은 고대(古代) 중국(中國)의 대표적(代表的)인 성군(聖君)으로 불리는데, 이 네 명(名)의 임금들은 각각(各各) 허유(許由)와 백양(伯陽), 고요(皋陶)와 백익(伯益), 이윤(伊尹)과 중훼(仲虺), 태공(太公)과 주공(周公)이라는 훌륭한 신하(臣下)들의 도움을 받아 태평성대(太平聖代)를 이룩할 수 있었습니다.


묵자는 이들 네 명의 왕이 염료에 따라 실의 색(色)이 바뀌는 것처럼 어질고 덕(德)이 뛰어난 신하들의 영향(影響)을 받은 것으로 평가(評價)하였습니다.


묵자읍사(墨子泣絲)는 이 이야기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로, ‘사람의 성품과 성공 여부는 주위 환경이나 습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을 비유(比喩)하여 많이 사용(使用)됩니다.


※참고(參考):
- 천자문(千字文) 025. 묵비사염(墨悲絲染) (바로 가기)
- 고사성어(故事成語) 마중지봉(麻中之蓬) (바로 가기)
- 고사성어(故事成語)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바로 가기)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출전(出典):
- 묵자(墨子) 권일(卷一) 소염편(所染篇) 1, 2


※원문(原文):


子墨子言見染絲者而歎曰:「染於蒼則蒼,染於黃則黃。所入者變,其色亦變。五入必而已,則為五色矣。故染不可不慎也。」


非獨染絲然也,國亦有染。舜染於許由1、伯陽,禹染於皋陶、伯益,湯染於伊尹、仲虺,武王染於太公、周公。此四王者所染當,故王天下,立為天子,功名蔽天地。舉天下之仁義顯人,必稱此四王者。


※원문(原文) / 해석(解釋):


子墨子言見染絲者而歎曰.
자묵자언견염사자이탄왈.
묵자(墨子)가 실을 물들이는 것을 보고 탄식(歎息)하면서 말하였다.


染於蒼則蒼 染於黃則黃.
염어창즉창 염어황즉황.
푸른빛에 염색(染色)하면 푸르고, 누런빛에 염색하면 누렇다.
(실에 푸른빛을 물들이면 푸른빛의 실이 되고, 누런빛에 물들이면 누런빛의 실이 된다.)


所入者變 其色亦變.
소입자변 기색역변.
넣는 것이 변(變)하게 되면, 그 색도 또한 변한다.
(넣는 물감이 바뀌면, 실의 빛깔도 따라서 변한다.)


五入必而已 則為五色矣.
오입필이이 즉위오색의.
다섯 번(番) 담그고 전일(專一)했을 뿐인데, 곧 오색(五色)으로 바뀌었다.
(실을 다른 빛의 물감에 다섯 번(番) 넣었을 뿐인데, 다섯 가지 빛깔의 실이 되었다.)


故染不可不慎也.
고염불가불신야.
그러므로 염색은 신중(愼重)히 하지 않을 수 없다.


非獨染絲然也 國亦有染.
비독염사연야 국역유염.
실을 물들이는 것이 그러할 뿐만 아니라, 나라도 또한 물드는 것이 있다.
(물들이는 것에 따라 바뀌는 것은, 나라도 마찬가지이다.)


舜染於許由伯陽,
순염어허유백양,
순(舜)임금은 허유(許由)와 백양(伯陽)에게 물들었고,


禹染於皋陶伯益,
우염어고요백익,
우(禹)임금은 고요(皋陶)와 백익(伯益)에게 물들었으며,


湯染於伊尹仲虺,
탕염어이윤중훼,
탕왕(湯王)은 이윤(伊尹)과 중훼(仲虺)에게 물들었으며,


武王染於太公周公.
무왕염어태공주공.
무왕(武王)은 태공(太公)과 주공(周公)에게 물들었다.


此四王者所染當,
차사왕자소염당,
이 네 명(名)의 왕(王)은 물든 것이 적합(適合)했으며,
(이 네 명(名)의 왕(王)들은 아름다운 빛깔에 물들어 아름다운 실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어질고 덕(德)이 많은 신하(臣下)들을 가까이하고 그들의 도움을 받아 어질고 덕이 많은 왕이 되었다.)


故王天下 立為天子 功名蔽天地.
고왕천하 립위천자 공명폐천지.
그래서 온 세상(世上)을 다스렸고, 즉위(卽位)하여 천자(天子)가 되었으며, 공적(功績)과 명예(名譽)가 하늘과 땅을 덮었다.


舉天下之仁義顯人 必稱此四王者.
거천하지인의현인 필칭차사왕자.
온 세상의 어질고 의로우며 현명(賢明)한 사람의 예(例)를 들면, 반드시 이 네 명의 왕들을 일컫는다.
(온 세상에서 가장 어질고 의로우며 현명(賢明)한 사람을 꼽을 때에는, 반드시 이 네 명의 왕들을 일컫는다.)


※유의어(類義語):
- 묵자비염(墨子悲染)
- 마중지봉(麻中之蓬)
-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 근묵자흑(近墨者黑)
- 근주자적(近朱者赤)


※반의어(反義語):
-


★★★★★★★★★★★★★★★★★★★★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