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20)
幼兒或詈我,我心覺歡喜。父母嗔怒我,我心反不甘。一歡喜,一不甘,待兒待父心何懸? 勸君今日逢親怒也,應將親作兒看。
팔반가 1/8
어린 자식들이 나에게 투정을 부리며 싫은 소리를 하더라도 나의 마음은 기쁘기만 하다네.
그러나 부모님께서 나에게 조금이라도 싫은 소리를 하시면 나의 마음은 달갑지가 않구나.
하나는 기쁘고 하나는 기쁘지 않으니,
자식과 부모님을 대하는 마음이 어찌하여 이렇게 다른 것인가?
그대에게 권하겠네,
오늘 부모님께서 나에게 싫은 소리를 하시더라도,
부모님을 자식처럼 여기고 극진하게 대접하라.
-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20)
八反歌. (1/8)
팔반가. (1/8)
부모(父母)님께 효도(孝道)할 것을 권(勸)하는 여덟 수(首)의 시(詩).
八(팔): 여덟.
反(반): 곰곰이 생각하다. 돌이키다. 돌이켜 생각하다. 되돌아보다. 반성(反省)하다.
歌(가): 노래. 가곡(歌曲). 가사(歌詞).
幼兒或詈我 我心覺歡喜.
유아혹리아 아심각환희.
어린아이가 혹시(或是) 나를 꾸짖으면, 나의 마음은 환희(歡喜)를 느낀다.
(어린 자식(子息)들이 나에게 투정을 부리며 싫은 소리를 하더라도, 나의 마음은 기쁘기만 하다네.)
幼(유): 어리다. 나이가 어리다. 미숙(未熟)하다.
兒(아): ❶자녀(子女). 자식(子息). ❷아이.
幼兒(유아): 나이가 적은 아이. 어린아이.
或(혹): 혹(或). 혹(或)은. 혹시(或是). 그러할 리는 없지만 만일(萬一)에.
詈(리): 꾸짖다. 욕(辱)하다. 빗대어 욕(辱)하다. 매도(罵倒)하다. 심(甚)하게 욕(辱)하며 꾸짖다/나무라다. / 여기에서는 ‘싫은 소리를 하다’, ‘듣기 싫은 소리를 하다’의 뜻으로 해석(解釋)함.
我(아): 나. 저.
心(심): 마음. 생각. 뜻. 감정(感情). 기분(氣分). 사상(思想). 의지(意志).
覺(각): 느끼다. 감지(感知)하다.
歡(환): 기쁘다. 즐겁다. 유쾌(愉快)하다.
喜(희): 기쁘다. 즐겁다. 경사(慶事)스럽다.
歡喜(환희): 기쁨. 큰 기쁨. 즐거움.
父母嗔怒我 我心反不甘.
부모진노아 아심반불감.
부모(父母)님께서 나를 꾸짖으시면, 나의 마음은 반대(反對)로 달가워하지 않는다.
(그러나 부모(父母)님께서 나에게 조금이라도 싫은 소리를 하시면, 나의 마음은 달갑지가 않구나.)
父(부): 아버지.
母(모): 어머니.
父母(부모): 아버지와 어머니. 어버이.
嗔(진): ❶나무라다. 탓하다. 짜증을 내다. 불만(不滿)을 품다. 불평(不平)하다. 원망(怨望)하다. 책망(責望)하다. ❷성내다. 노(怒)하다. 화(火)내다.
怒(노): ❶꾸짖다. 나무라다. ❷노여워하다. 성내다. 격노(激怒)하다. 분노(憤怒)하다. 화(火)내다.
*嗔怒(진노): 노발대발(怒發大發)함. 발노(發怒)함. 진노(嗔怒)함. 화(火)냄.
反(반): 도리어. 오히려. 반대(反對)로.
不(불): 아니하다.
甘(감): 들어서 기분(氣分) 좋다. 기분(氣分)이 좋다.
不甘(불감): 달가워하지 않음. 내키지 않음. 원(願)하지 않음.
*달갑다: 거리낌이나 불만(不滿)이 없어 마음이 흡족(洽足)하다. 마음에 들어 기분(氣分)이 흡족(洽足)하다.
一歡喜 一不甘 待兒待父心何懸.
일환희 일불감 대아대부심하현.
하나는 기쁘고, 하나는 달갑지 않으니, 자식(子息)을 대(對)하고 아버지를 대하는 마음이 어찌 차이(差異)가 매우 심(甚)한가?
(하나는 기쁘고, 하나는 기쁘지 않으니, 자식(子息)과 부모님을 대(對)하는 마음이 어찌하여 이렇게 다른 것인가?)
一(일): 하나. 1.
待(대): 대(對)하다. 사람을 대(對)하다. 우대(偶對)하다. 마주 대(對)하다.
何(하): 어찌. 왜. 어째서. 무엇 때문에.
懸(현): 현격(懸隔)하다. 차이(差異)가 매우 심(甚)하다. 판이(判異)하다.
勸君今日逢親怒也 應將親作兒看.
권군금일봉친노야 응장친작아간.
그대에게 권(勸)하겠네, 오늘 부모님의 노여움을 대하더라도, 부모님을 자식으로 여기고 극진(極盡)하게 대접(待接)함이 마땅하다.
(그대에게 권(勸)하겠네, 오늘 부모님께서 화(火)를 내시더라도, 부모님을 자식처럼 여기고 극진(極盡)하게 대접(待接)하라.)
(그대에게 권(勸)하겠네, 오늘 부모님께서 나에게 싫은 소리를 하시더라도, 부모님을 자식처럼 여기고 극진(極盡)하게 대접(待接)하라.)
勸(권): 권(勸)하다. 권고(勸告)하다. 권장(勸奬)하다. 권유(勸誘)하다. 장려(奬勵)하다. 타이르다. 설득(說得)하다.
君(군): 그대. 님. 분. 군(君). 당신(當身). 귀하(貴下). [다른 사람에 대(對)한 존칭(尊稱).]
今(금): 이제. 오늘. 오늘날. 지금(只今). 현대(現代). 현재(現在).
日(일): 날. 하루. 주야(晝夜). 지구가 한 번 자전(自轉)하는 동안.
今日(금일): 오늘. 지금(只今).
逢(봉): 만나다. 마주치다.
親(친): 어버이. 부모(父母).
怒(노): 노여움. 성. 격노(激怒). 분노(憤怒). 화(火).
也(야): [부사(副詞)] 그래도. ~해도. ~한다 하더라도. ~일지라도. 전제(前提)나 가설(假說)이 어떠하든 결과(結果)는 모두 똑같음을 표시(表示).
應(응): 반드시/응당(應當)/당연(當然)히/마땅히 ~하여야 한다. ~하는 것이 마땅하다.
將(장): ~을. ~를.
作(작): 삼다. 임명(任命)하다. ~로 삼다. ~로 여기다. ~로 하다.
看(간): 환대(歡待)하다. 극진(極盡)하게 대접(待接)하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