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21)
兒曹出千言,君聽常不厭。父母一開口,便道多閒管。非閒管,親挂牽,皓首白頭多諳練。勸君敬奉老人言,莫教乳口爭長短。
팔반가 2/8
아이들이 많은 말을 하더라도, 그대는 항상 싫어하지 않고 듣는다.
그러나 부모님께서 한마디의 말씀이라도 하시면 그대는 바로 쓸데없이 간섭한다고 말한다.
그것은 간섭이 아니라 부모님께서 그대를 걱정하시기 때문에 말씀하시는 것이며,
머리가 허옇게 센 노인들은 그대보다 지식과 경험이 풍부하기 때문에 말씀하시는 것이다.
그대에게 권하겠네,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부모님의 말씀을 경건하게 받들고,
어리고 미숙한 그대의 입으로 부모님 말씀의 옳고 그름을 함부로 논하지 마라.
-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21)
八反歌. (1/8)
팔반가. (1/8)
부모(父母)님께 효도(孝道)할 것을 권(勸)하는 여덟 수(首)의 시(詩).
八(팔): 여덟.
反(반): 곰곰이 생각하다. 돌이키다. 돌이켜 생각하다. 되돌아보다. 반성(反省)하다.
歌(가): 노래. 가곡(歌曲). 가사(歌詞).
兒曹出千言 君聽常不厭.
아조출천언 군청상불염.
아이들이 많은 말을 하면, 그대는 들으며 항상(恒常) 싫어하지 않는다.
(아이들이 많은 말을 하더라도, 그대는 항상(恒常) 싫어하지 않고 듣는다.)
兒(아): ❶자녀(子女). 자식(子息). ❷아이.
曹(조): 무리.
兒曹(아조): 아이들.
出(출): (밖으로) 내다. 꺼내다. 내뿜다. 털어놓다. 발급(發給)하다. 발산(發散)하다. 발표(發表)하다. 발행(發行)하다. 표출(表出)하다.
千(천): 매우 많다. 수효(數爻)가 많다.
言(언): 말. 말씀. 이야기. 언어(言語).
*出言(출언): 말을 함. 말이 나옴.
*千言萬語(천언만어): 수(數)없이 많은 말. 매우 많은 말.
君(군): 그대. 님. 분. 군(君). 당신(當身). 귀하(貴下). [다른 사람에 대(對)한 존칭(尊稱).]
聽(청): 듣다. 귀로 소리를 듣다.
常(상): 늘. 언제나. 자주. 때대로. 항상(恒常).
不(불): 아니하다.
厭(염): 싫어하다. 미워하다. 증오(憎惡)하다.
父母一開口 便道多閒管.
부모일개구 변도다간관.
부모(父母)님께서 한 번(番) 입을 여시면, 바로 쓸데없이 간섭(干涉)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부모(父母)님께서 한마디의 말씀이라도 하시면, 그대는 바로 쓸데없이 간섭(干涉)한다고 말한다.)
父(부): 아버지
母(모): 어머니.
父母(부모): 아버지와 어머니. 어버이.
一(일): 한번(番).
開(개): 열다.
口(구): 입.
開口(개구): 말을 함. 입을 엶. 입을 열어 말을 함. 입을 뗌.
便(변): 바로. 곧.
道(도): 말하다.
多(다): 지나치다. 쓸데없다. 불필요(不必要)하다.
閒(간): 참여(參與)하다. 관여(關與)하다. 간섭(干涉)하다.
管(관): 참여(參與)하다. 관여(關與)하다. 간섭(干涉)하다.
閒管(간관): 여기에서는 ‘간섭(干涉)하다’, ‘직접(直接) 관계(關係)가 없는 다른 사람의 일에 부당(不當)하게 참견(參見)하다’의 뜻으로 해석(解釋)함.
*干涉(간섭): 직접(直接) 관계(關係)가 없는 다른 사람의 일에 부당(不當)하게 참견(參見)함.
非閒管 親挂牽 皓首白頭多諳練.
비간관 친괘견 호수백두다암련.
간섭이 아니라 부모님께서 걱정하시는 것이며, 노인(老人)의 흰 머리는 많이 경험(經驗)하였다.
(그것은 간섭이 아니라 부모님께서 그대를 걱정하시기 때문에 말씀하시는 것이며, 머리가 허옇게 센 노인(老人)들은 그대보다 지식(知識)과 경험(經驗)이 풍부(豐富)하기 때문에 말씀하시는 것이다.)
非(비): ~이 아니다. [부정정(否定的)인 판단(判斷)을 나타냄.]
親(친): 어버이. 부모(父母).
挂(괘): 근심하다. 마음에 걸리다.
牽(견): 근심하다. 늘 생각하다.
皓(호): 새하얗다. 하얗다. 희다.
首(수): 머리털.
皓首(호수): 흰 머리. 노인(老人)을 이르는 말.
白(백): 희다.
頭(두): 머리.
白頭(백두): 흰 머리. 허옇게 센 머리.
多(다): 많다.
諳(암): 겪다. 경험(經驗)하다.
練(련): 겪다. 경험(經驗)하다.
諳練(암련): 막힘없음. 잘 앎. 잘 이해(理解)함. 경험(經驗)이 풍부(豊富)함. 능(能)함. 능란(能爛)함. 능숙(能熟)함. 숙달(熟達)함. 숙련(熟練)됨. 숙련(熟練)함. 숙지(熟知)함. 정통(精通)함. 통달(通達)함. 통달(通達)하고 노련(老鍊)함.
勸君敬奉老人言 莫敎乳口爭長短.
권군경봉노인언 막교유구쟁장단.
그대에게 권(勸)하겠네, 노인의 말씀을 경건(敬虔)하게 받들고, 젖을 먹던 입으로 옳고 그름을 논쟁(論爭)하게 하지 마라.
(그대에게 권(勸)하겠네,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부모님의 말씀을 경건(敬虔)하게 받들고, 어리고 미숙(未熟)한 그대의 입으로 부모님 말씀의 옳고 그름을 함부로 논(論)하지 마라.)
勸(권): 권(勸)하다. 권고(勸告)하다. 권장(勸奬)하다. 권유(勸誘)하다. 장려(奬勵)하다. 타이르다. 설득(說得)하다.
敬(경): 공경(恭敬)하다. 존경(尊敬)하다.
奉(봉): 받들다.
敬奉(경봉): 경건(敬虔)하게 받듦. 존경(尊敬)하여 받듦. 정성(精誠)스레 모심. 공경(恭敬)함.
老(노): 늙다. 나이가 들다. 나이 먹다.
人(인): 사람. 인간(人間).
老人(노인): ❶노친(老親). 늙은 부모(父母). 자기(自己)의 부모(父母)나 조부모(祖父母). ❷나이가 많은 사람. 늙은 분. 늙은이. 노인(老人).
莫(막): ~하지 마라. ~해서는 안 된다.
敎(교): ~로 하여금 ~하게 하다. ~에게 ~을 시키다. ~하게 하다. 명령(命令)하다.
乳(유): 젖.
乳口(유구): 젖을 먹는 입. 젖을 먹던 입. 어리고 미숙(未熟)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爭(쟁): ❶논쟁(論爭)하다. ❷간(諫)하다.
*간(諫)하다: 웃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다.
*논(論)하다: 옳고 그름 따위를 따져 말하다.
*논쟁(論爭)하다: 서로 다른 의견(意見)을 가진 사람들이 각각(各各) 자기(自己)의 주장(主張)을 말이나 글로 논(論)하여 다투다.
長(장): 좋은 점(點). 장점(長點). 특기(特技).
短(단): 단점(短點). 결점(缺點).
長短(장단): ❶옳고 그름. 옳음과 그름. 시비(是非). ②좋고 나쁨. 좋은 것과 나쁜 것. ③긴 것과 짧은 것. ④장점(長點)과 단점(短點). ⑤길고 짧은 박자(拍子).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