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23)
看君晨入市,買餅又買糕。少聞供父母,多說供兒曹。親未啖,兒先飽,子心不比親心好。勸君多出買餅錢,供養白頭光陰少。
팔반가 (4/8)
그대가 새벽에 시장에 들어가는 것을 보았네,
떡을 사고 또 경단을 사더군.
그런데 부모님께 드렸다는 소문은 들리지 않고,
자식들에게 주었다는 말만 많구나.
부모님께서는 드시지 못하였는데 자식이 먼저 배부르다니,
자식의 부모님을 생각하는 마음은 부모님의 자식을 생각하는 마음과 정에 비할 수 없구나.
그대에게 권하겠네,
맛있는 음식은 넉넉히 준비하여 부모님께서 마음 편히 드실 수 있도록 하라,
부모님을 공양할 시간은 길지가 않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孝行篇(효행편) (23)
八反歌. (4/8)
팔반가. (4/8)
부모(父母)님께 효도(孝道)할 것을 권(勸)하는 여덟 수(首)의 시(詩).
八(팔): 여덟.
反(반): 곰곰이 생각하다. 돌이키다. 돌이켜 생각하다. 되돌아보다. 반성(反省)하다.
歌(가): 노래. 가곡(歌曲). 가사(歌詞).
看君晨入市 買餠又買糕.
간군신입시 매병우매고.
그대가 새벽에 시장(市場)에 들어가는 것을 보았네, 떡을 사고 또 경단(瓊團)을 사더군.
看(간): 보다. 바라보다. 구경하다.
君(군): 그대. 님. 분. 군(君). 당신(當身). 귀하(貴下). [다른 사람에 대(對)한 존칭(尊稱).]
晨(신): 새벽.
入(입): 들다. 들어가다. 들어오다.
市(시): 저자. 시장(市場). 장(場).
買(매): 사다. 구매(購買)하다. 구입(購入)하다.
餠(병): 둥글넓적한 밀가루 음식(飮食). 곡식(穀食)의 가루를 찌거나, 그 찐 것을 치거나 빚어서 만든 음식(飮食). 떡. 가루떡. 밀가루떡.
又(우): 거듭. 다시. 또. / 동작(動作)이나 상황(狀況)이 계속(繼續)되거나 중복(重複)됨을 표시(表示).
糕(고): 떡. 가루떡. 밀가루떡. ②경단(瓊團). ③성(姓)의 하나.
*瓊團(경단): 찹쌀가루나 찰수수 따위의 가루를 반죽하여 밤톨만 한 크기로 동글동글하게 빚어 끓는 물에 삶아 낸 후 고물을 묻히거나 꿀이나 엿물을 바른 떡. (네이버 국어사전 참고)
少聞供父母 多說供兒曹.
소문공부모 다설공아조.
적게 들리는 것은 부모(父母)님께 드렸다는 것이고, 많이 말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주었다는 것이네.
(그런데 부모(父母)님께 드렸다는 소문(所聞)은 들리지 않고, 자식(子息)들에게 주었다는 말만 많구나.)
少(소): 적다. 많지 아니하다.
聞(문): 소리가 들리다.
供(공): 주다.
父(부): 아버지.
母(모): 어머니.
父母(부모): 아버지와 어머니. 어버이.
多(다): 많다.
說(설): 말하다. 이야기하다.
兒(아): ❶자녀(子女). 자식(子息). ❷아이.
曹(조): 무리
兒曹(아조): 아이들.
親未啖 兒先飽 子心不比親心好.
친미담 아선포 자심불비친심호.
부모님께서는 미처 드시지 못하였는데, 아이가 먼저 배부르다니, 자식(子息)의 마음은 부모님 마음과 정(情)에 비(比)할 수 없구나.
(부모님께서는 드시지 못하였는데, 자식이 먼저 배부르다니, 자식의 부모님을 생각하는 마음은 부모님의 자식을 생각하는 마음과 정(情)에 비(比)할 수 없구나.)
親(친): 어버이. 부모(父母).
未(미): 미처/아직 ~하지 못하다/않다.
啖(담): 먹다. 삼키다.
先(선): 먼저. 미리. 앞서. 처음. 우선(于先). 원래(元來).
飽(포): 배부르다.
子(자): 자녀(子女). 자식(子息).
心(심): 마음. 생각. 뜻. 감정(感情). 기분(氣分). 사상(思想). 의지(意志).
不(불): 못하다.
比(비): 견주다. 비(比)하다. 비교(比較)하다.
*비(比)하다: 사물(事物) 따위를 다른 것에 견주거나 비교(比較)하다.
不比(불비): ~보다 못하다. ~와 다르다. ~에 비길 수 없다. ~에 견줄 수 없다. ~에 비(比)할 수 없다. ~의 비교(比較)가 되지 않다. ~에 비교(比較)할 수 없다.
好(호): 우의(友誼). 정(情). 정분(情分). 교분(交分). 친선(親善)의 정(情).
*情(정): 사랑이나 친근감(親近感)을 느끼는 마음.
勸君多出買餠錢 供養白頭光陰少.
권군다출매병전 공양백두광음소.
그대에게 권(勸)하겠네, 떡을 살 돈을 많이 내놓게, 부모님을 공양(供養)할 시간(時間)은 많지 아니하다.
(그대에게 권(勸)하겠네, 맛있는 음식(飮食)은 넉넉히 준비(準備)하여 부모님께서 마음 편(便)히 드실 수 있도록 하라, 부모님을 공양(供養)할 시간(時間)은 길지가 않다.)
勸(권): 권(勸)하다. 권고(勸告)하다. 권장(勸奬)하다. 권유(勸誘)하다. 장려(奬勵)하다. 타이르다. 설득(說得)하다.
出(출): 내어 주다. 셈을 치르다. 쓰다. 소비(消費)하다. 재물(財物)을 내놓다. 지불(支拂)하다. 지출(支出)하다.
錢(전): 돈. 화폐(貨幣).
買餠錢(매병전): 떡을 살 돈.
養(양): 봉양(奉養)하다. 공양(供養)하다.
供養(공양): 부모(父母)님이나 웃어른에게 음식(飮食)을 드림. 웃어른을 모시어 음식(飮食) 이바지를 함. 봉양(奉養)함. 웃어른을 받들어 모심.
白(백): 희다.
頭(두): 머리.
白頭(백두): 흰 머리. 하얗게 센 머리. 허옇게 센 머리. / 여기에서는 부모(父母)님을 뜻하는 말로 해석(解釋)함.
光(광): 세월(歲月).
陰(음): 흐르는 시간(時間). 세월(歲月).
光陰(광음): ‘해와 달’, ‘햇빛과 그늘’, ‘낮과 밤’, ‘해와 그림자’라는 뜻. ‘흘러가는 시간(時間)’, ‘세월(歲月)’, ‘때’를 비유(比喩)하는 말.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