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13)
子曰:「身居富貴而能下人者,故何人而不與富貴? 身居人上而能愛敬者,何人而敢不愛敬? 身居權職所以嚴肅者,何人而敢不畏懼也? 發言而古,動止合規,何人敢違命者也? 」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더라도 자기를 낮출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어떤 사람이 그와 함께 부귀를 누리려 하지 않겠는가?
다른 사람의 윗자리에 있으면서도 아랫사람을 사랑하고 공경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어떤 사람이 감히 그를 사랑하고 공경하지 않겠는가?
다른 사람을 다스리는 지위에 있으면서도 위엄이 있고 정중한 사람이라면,
어떤 사람이 감히 그를 두려워하지 않겠는가?
말이 진지하고 행동거지가 법도에 합당하면,
어떤 사람이 감히 그의 명령을 어기겠는가?”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832505CAFBDE514)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13)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子(자): 스승. 선생(先生)님.
曰(왈):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라 하다. 가로되 ~라고 하다.
身居富貴而能下人者 故何人而不與富貴?
신거부귀이능하인자 고하인이불여부귀?
“부귀(富貴)에 처(處)하여 있는데도 다른 사람에게 자기(自己)를 낮출 수 있는 사람이라면, 일부러 어떤 사람이 부귀를 함께하지 않겠는가?
(재산(財産)이 많고 지위(地位)가 높더라도 자기(自己)를 낮출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어떤 사람이 그와 함께 부귀(富貴)를 누리려 하지 않겠는가?)
身(신): 몸. 몸뚱이. 신체(身體).
居(거): ~위치(位置)에 있다. ~에 놓여 있다.
身居(신거): ~에 거처(居處)함. ~의 지위(地位)/직위(職位)에 있음. ~에 처(處)하여 있음.
富(부): 가멸다. 잘살다. 부유(富裕)하다. 재산(財産)이 많다. 재산(財産)이 넉넉하고 많다.
貴(귀): 신분(身分)이 높다. 지위(地位)가 높다.
富貴(부귀): 재산(財産)이 많고 지위(地位)가 높음. 재산(財産)이 넉넉하고 지위(地位)가 높음.
而(이): ~나. ~이나. ~지만. ~이지만. ~아니라. ~면서. ~고서. ~하고서. ~하더라도. 그러나. 그런데. 그런데도. 오히려. [역접(逆接)을 나타냄.]
能(능): ~할 수 있다. ~할 힘이 있다. ~할 줄 안다. (능력(能力)을 표시(表示))
下(하): 낮추다. 자기(自己)를 낮추다.
人(인): 남. 다른 사람. 타인(他人).
下人(하인): 여기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자기(自己)를 낮추다’라는 뜻으로 해석(解釋)함.
者(자): 것. 사람. 자(者). 동사(動詞)/동사구(動詞句)/형용사(形容詞)/형용사구(形容詞句) 뒤에 쓰여 그러한 성질(性質)을 가지고 있거나 동작(動作)을 하는 사람 또는 사물(事物)을 나타냄.
故(고): 일부러. 짐짓. 고의(故意)로. 계획적(計劃的)으로.
何(하): 무엇. 무슨. 어떤. 어떠한. 어느. 언제. 어디.
何人(하인): 누구. 어떤 사람.
而(이): -
不(불): 아니하다.
與(여): 같이하다.
身居人上而能愛敬者 何人而敢不愛敬?
신거인상이능애경자 하인이감불애경?
다른 사람의 위에 처하여 있는데도 사랑하고 공경(恭敬)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어떤 사람이 감(敢)히 사랑하고 공경하지 않겠는가?
(다른 사람의 윗자리에 있으면서도 아랫사람을 사랑하고 공경(恭敬)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어떤 사람이 감(敢)히 그를 사랑하고 공경하지 않겠는가?)
上(상): 위. 윗.
愛(애): (사람이나 사물(事物) 따위를) 사랑하다.
敬(경): 공경(恭敬)하다. 존경(尊敬)하다. 존중(尊重)하다.
敢(감): 감(敢)히. 함부로. 대담(大膽)하게. 당돌(唐突)히.
敢不(감불): 어찌/감(敢)히 ~하지 않겠는가/~않을 수 있겠는가.
身居權職所以嚴肅者 何人而敢不畏懼也?
신거권직소이엄숙자 하인이감불외구야?
권력(權力)과 직무(職務)를 집행(執行)하는 곳에 처하여 있으며 위엄(威嚴)이 있고 정중(鄭重)한 사람이라면, 어떤 사람이 감히 두려워하지 않겠는가?
(다른 사람을 다스리는 지위(地位)에 있으면서도 위엄(威嚴)이 있고 정중(鄭重)한 사람이라면, 어떤 사람이 감히 그를 두려워하지 않겠는가?)
權(권): 권세(權勢). 권력(權力). 권한(權限). 권리(權利). 힘.
職(직): 일. 직무(職務). 직분(職分). 직책(職責).
所(소): 곳. 일정(一定)한 곳이나 지역(地域).
職所(직소): 직무(職務)를 맡아보는 곳. 직무(職務)를 집행(執行)하는 곳.
以(이): ~고. ~고도. ~하고도. ~하여. (순접(順接)을 나타냄).
嚴(엄): 엄(嚴)하다. 엄격(嚴格)하다.
肅(숙): 근엄(謹嚴)하다. 숙연(肅然)하다. 엄(嚴)하다. 엄숙(嚴肅)하다. 엄정(嚴整)하다. 장중(莊重)하다. 정중(鄭重)하다.
嚴肅(엄숙): 말이나 태도(態度) 따위가 위엄(威嚴)이 있고 정중(鄭重)함.
畏(외): 꺼리다. 겁내다. 두려워하다. 무서워하다. 조심(操心)하다.
懼(구): 겁내다. 두려워하다. 두렵다. 무서워하다.
畏懼(외구): 두려워함. 무서워함. 두려워하고 무서워함. 무서워하고 두려워함.
發言而古 動止合規 何人敢違命者也?
발언이고 동지합규 하인감위명자야?
말을 하되 진지(眞摯)하고, 행동거지(行動擧止)가 법도(法度)에 합당(合當)하면, 어떤 사람이 감히 명령(命令)하는 것을 어기겠는가?”
(말이 진지(眞摯)하고 행동거지(行動擧止)가 법도(法度)에 합당(合當)하면, 어떤 사람이 감히 그의 명령(命令)을 어기겠는가?)
發(발): (생각이나 의견(意見) 따위를 상세(詳細)하게) 말하다. 밝히다. 논술(論述)하다. 서술(敍述)하다. 설명(說明)하다. 주장(主張)하다. 표현(表現)하다. 표출(表出)하다.
言(언): 말. 말씀. 이야기. 언어(言語).
發言(발언): 말함. 말을 꺼냄. 의견(意見)으로 발표(發表)함. 연설(演說)함.
古(고): 인심(人心)이 순박(淳朴)하다. 진지(眞摯)하다. 질박(質朴)하다.
*眞摯(진지): 마음 쓰는 태도(態度)나 행동(行動) 따위가 참되고 착실함.
動(동): 사람이 움직이다. 동작(動作)하다. 행동(行動)하다. 활동(活動)하다.
止(지): 멎다. 멈추다.
動止(동지): 움직이는 일과 멈추는 일. 행동거지(行動擧止). 평소(平素)의 생활(生活).
合(합): 합당(合當)하다. 적합(適合)하다. 일이나 조건(條件) 따위에 꼭 알맞다.
*合當(합당): 어떤 조건(條件), 기준(基準), 용도(用途), 도리(道理) 따위에 꼭 알맞음.
規(규): 규정(規定). 규칙(規則). 관례(慣例). 법(法). 법도(法度). 법칙(法則). 준칙(準則).
違(위): 거스르다. 어기다. 지키지 않다. 따르지 않다. 위반(違反)하다. 위배(違背)하다.
命(명): 명령(命令)하다. 지령(指令)하다. 지시(指示)하다.
者(자): 것. 사람. 자(者). 동사(動詞)/동사구(動詞句)/형용사(形容詞)/형용사구(形容詞句) 뒤에 쓰여 그러한 성질(性質)을 가지고 있거나 동작(動作)을 하는 사람 또는 사물(事物)을 나타냄.
也(야): [조사(助辭)] ~이다. ~하다. 문장(文章)의 끝에 쓰여 긍정(肯定), 결정(決定), 설명(說明), 판단(判斷)의 어기(語氣)를 표시(表示).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