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14)
《顏氏家訓》曰:「借人典籍,不可損壞而不還,皆須愛護,凡有缺壞就為補治,此亦士大夫百行之一也。」
안씨가훈(顏氏家訓)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다른 사람의 책을 빌리면 그 책을 훼손하거나 돌려주지 않아서는 안 된다.
빌린 책은 모두 아끼고 소중히 다루며 보호해야 하며,
낡아서 해지거나 망가진 곳이 있으면 수선하여 돌려줘야 하는데,
이것도 또한 선비가 지켜야 할 여러 가지 행실 중의 하나이다.”
안씨가훈(顏氏家訓)은 중국 남북조시대 수(隋)나라의 문학가인 안지추(顏之推)가 지은 책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EF7435CB1114719)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14)
顔氏家訓曰.
안씨가훈왈.
안씨가훈(顏氏家訓)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顔(안): 성(姓)의 하나.
氏(씨): 성씨(姓氏).
家(가): 집안. 가문(家門). 문벌(門閥).
訓(훈): 가르침. 교훈(敎訓). 훈계(訓戒). 훈유(訓諭). 훈화(訓話).
家訓(가훈): 한 집안의 조상(祖上)이나 어른이 후손(後孫)들에게 일러 주는 가르침.
顏氏家訓(안씨가훈): 중국(中國)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수(隋)나라의 문학가(文學家)인 안지추(顏之推)가 지은 책(冊).
曰(왈):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라 하다. 가로되 ~라고 하다.
借人典籍 不可損壞而不還,
차인전적 불가손괴이불환,
“다른 사람의 책(冊)을 빌리면, 훼손(毁損)하거나 돌려보내지 않아서는 안 되고,
(다른 사람의 책(冊)을 빌리면, 그 책을 훼손(毁損)하거나 돌려주지 않아서는 안 된다.)
借(차): 빌리다. 꾸다.
人(인): 남. 다른 사람. 타인(他人).
典(전): 책(冊). 서적(書籍).
籍(적): 서적(書籍).
典籍(전적): 책(冊). 서적(書籍).
不(불): 아니하다.
可(가): ~해도 좋다. ~할 수 있다.
不可(불가): 안 된다. ~해서는 안 된다. ~할 수 없다. ~할 수가 없다. 불가(不可)하다.
損(손): 손상(損傷)시키다. 손상(損傷)을 주다. 훼손(毁損)하다.
壞(괴): 무너뜨리다. 파괴(破壞)하다.
損壞(손괴): 망가뜨리다. 못쓰게 만듦. 손상(損傷)시킴. 파괴(破壞)함. 파손(破損)시킴. 훼손(毁損)시킴. 훼손(毁損)함.
而(이): ~과. ~와. ~이고. ~하고. ~또. ~또한. 그리고. [병렬(竝列)을 나타냄.]
還(환): 돌려 보내다.
皆須愛護 凡有缺壞就爲補治,
개수애호 범유결괴취위보치,
모두 아끼고 소중(所重)히 다루며 보호(保護)해야 하며, 부서진 곳이 있으면 바로 수선(修繕)을 하는데,
(빌린 책은 모두 아끼고 소중(所重)히 다루며 보호(保護)해야 하며, 낡아서 해지거나 망가진 곳이 있으면 수선(修繕)하여 돌려줘야 하는데,)
皆(개): 낱낱이. 다. 모두. 전부(全部).
須(수): ~해야 한다. 마땅히/모름지기/반드시/당연(當然)히 ~해야 한다/~할 필요(必要)가 있다.
愛(애): (사람이나 사물(事物) 따위를) 사랑하다.
護(호): 막다. 지키다. 보호(保護)하다. 호위(護衛)하다. 수호(守護)하다.
愛護(애호): 사랑하고 보호(保護)함. 아끼고 보호(保護)함. 아끼고 소중(所重)히 다루며 보호(保護)함. 소중(所重)히 보살핌. 잘 보살핌.
凡(범): 모든. 무릇. 대저(大抵). 대체(大體)로. 대체(大體)로 보아. 대체(大體)로 헤아려 생각하건대.
有(유): 있다.
缺(결): 부서지다. 이지러지다. 파손(破損)되다.
就(취): 곧. 바로. 즉시(卽時). 당장(當場). 이에.
爲(위): 하다. 행(行)하다. 행동(行動)하다. 만들다.
補(보): 고치다. 깁다. 때우다. 개선(改善)하다. 보수(補修)하다. 수리(修理)하다. 수선(修繕)하다.
治(치): 다스리다. 관리(管理)하다. 처리(處理)하다.
補治(보치): 수선(修繕)함. 낡거나 허름한 것을 손보아 고침.
此亦士大夫百行之一也.
차역사대부백행지일야.
이것도 또한 사대부(士大夫) 백행(百行)의 하나이다.”
(이것도 또한 선비가 지켜야 할 여러 가지 행실(行實) 중(中)의 하나이다.)
此(차): 이. 이것.
亦(역): 또. 또한. ~도 또한. ~도 역시(亦是).
士(사): 선비(학식(學識)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 지식인(知識人). 독서인(讀書人).
大(대): 높다. 존귀(尊貴)하다.
夫(부): 사나이. 사내. 성년(成年) 남자(男子). 장정(壯丁).
士大夫(사대부): 선비. 양반(兩班). 문무양반(文武兩班). 문벌(門閥)이 높은 사람.
百(백): 온갖. 많은. 많은 수(數)의.
行(행): 행실(行實). 행위(行爲). 행동(行動). 거동(擧動). 행동거지(行動擧止). 몸가짐.
百行(백행): 온갖 행실(行實). 모든 행실(行實).
之(지): ~의. ~는. ~은. ~하는. ~한. [관형어(冠形語)와 중심어(中心語) 사이에 쓰여 일반적(一般的)인 수식(修飾) 관계(關係)나 종속(從屬) 관계를 나타냄.]
一(일): 하나. 1.
也(야): [조사(助辭)] ~이다. ~하다. 문장(文章)의 끝에 쓰여 긍정(肯定), 결정(決定), 설명(說明), 판단(判斷)의 어기(語氣)를 표시(表示).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