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자문

千字文(천자문) (33) 臨深履薄(임심리박) 夙興溫凊(숙흥온청): 부모님께 물려받은 소중한 몸은 깊은 연못을 마주거나 살얼음을 밟는 것처럼 두려워하고 겁을 내며 조심히 다뤄야 하며, 새벽에..


千字文(천자문) (33)


臨深履薄 夙興溫凊.
임심리박 숙흥온청.
깊은 곳을 마주하고 얇은 곳을 밟으며, 이르게 일어나서 차가운 것을 따뜻하게 하라.
(부모(父母)님께 물려받은 소중한 몸은 깊은 연(蓮)못을 마주거나 살얼음을 밟는 것처럼 두려워하고 겁을 내며 조심(操心)히 다뤄야 하며, 새벽에는 부모님보다 일찍 일어나서 몸을 단정(端正)하게 한 뒤에 부모님의 안부(安否)를 여쭈어야 하고, 겨울에는 부모님을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부모님을 시원하게 해드려야 한다.)


※語句(어구):
夙興(숙흥): 아침에 일찍 일어남. 숙기(夙起).
*安否(안부): ❶평안(平安)함과 평안하지 아니함. ②평안(平安)한가 그렇지 아니한가에 대한 인사(人事).


★★★★★★★★★★★★★★★★★★★★


☆☆☆☆☆☆☆☆☆☆☆☆☆☆☆☆☆☆☆☆


※音(음)과 訓(훈):


臨(임): [臣(신하신), 총17획] ❶(어떤 장소(場所)를/에) 가까이 가다. 내려다 보다. 마주하다. 마주 대(對)하다. 대(對)하다. 대면(對面)하다. 면(面)하다. 임(臨)하다. 접근(接近)하다. 향(向)하다. ②(어떤 일을/에) 부닥치다. 임(臨)하다. 조우(遭遇)하다. 직면(直面)하다. ③어떤 시기(始期)에 임(臨)하다. 곧/막 ~하려고 하다. ~에 즈음하여. ~ 바로 전(前)에. ~의 순간(瞬間)에. ④(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다. 오다. 이르다. / 거느려 다스리다. 통치(通治)하다. ⑤오다. 이르다. 도착(到着)하다. ⑥(그림이나 글씨 따위를) 베끼다. 모사(模寫)하다. 본(本)뜨다. ⑦비추다. 비추어 밝히다. ⑧뵙다. ⑨지키다. ⑩치다. 공격(攻擊)하다. ⑪곡(哭)하다. ⑫장차(將次). ⑬임시(臨時). ⑭병거(兵車). ⑮성(姓)의 하나.


深(심): [氵(삼수변), 총11획] ❶깊다. 깊숙하다. ②깊어지다. ③색(色)이 짙다. ④심(甚)하다. ⑤두텁다. 후(厚)하다. ⑥우거지다. 무성(茂盛)하다. 성(盛)하다. ⑦많다. 넉넉하다. ⑧무겁다. 책임(責任)이 중(重)하다. ⑨어렵다. 심오(深奧)하다. ⑩감추다. 숨기다. ⑪도랑을 치다. 준설(浚渫)하다. ⑫자세(仔細)히 알다. 통(通)하다. ⑬높다. ⑭많이 지나다. 오래되다. ⑮깊이. 심도(深度). ⑯심오(深奧)한 이치(理致). ⑰깊이. 대단히. 매우. 아주. ⑱성(姓)의 하나.


履(리): [尸(주검시엄), 총15획] ❶걷다. 밟다. ②신다. 신을 신다. ③실행(實行)하다. 이천(履踐)하다. 이행(履行)하다. 행(行)하다. ④겪다. 경험(經驗)하다. ⑤자리에 나아가다. ~의 지위(地位)에 오르다. ⑥신. 신발. ⑦발. 발걸음. ⑧밟는 땅. 영토(領土). ⑨복(福). 복록(福祿). ⑩품위(品位). 행동(行動). 행실(行實). 행위(行爲). ⑪예(禮). ⑫괘(掛)의 이름. ⑬성(姓)의 하나.


薄(박): [艹(초두머리), 총17획] ❶엷다. 얇다. ②적다. ③야박(野薄)하다. 박정(薄情)하다. ④싱겁다. 묽다. 진하지 않다. ⑤맛없다. ⑥보잘것없다. ⑦깔보다. 업신여기다. ⑧땅이 메마르다. 척박(瘠薄)하다. ⑨가까워지다. ⑩숲. ⑪대그릇. ⑫동자(童子)기둥 (벽). ⑬두공(枓栱) (벽). ⑭풀의 이름 (보). ⑮박하(薄荷) (보).


夙(숙): [夕(저녁석), 총6획] ❶앞서거나 빠르다. 이르다. 빠르다. ②삼가다. 조심(操心)하다. ③새벽. 아침. 이른 아침. ④어린 나이. ⑤일찍. ⑥벌써부터. 오래된. 예로부터. 옛날부터. 이전(以前)부터의. 평소(平素)의.


興(흥): [臼(절구구), 총16획] ❶일으키다. 몸을 일으키다. 일어나다. 잠에서 깨어나다. ②일다. 없던 현상(現象)이 생기다. ③일으키다. 설립(設立)하다. 시작(始作)하다. 착수(着手)하다. 창립(創立)하다. 창설(創設)하다. ④일으키다. 동원(動員)하다. 발동(發動)하다. ⑤크게 발전(發展)하다. 번창(繁昌)하다. 왕성(旺盛)하다. 창성(昌盛)하다. 흥(興)하다. 흥성(興盛)하다. ⑥성행(盛行)하다. 유행(流行)하다. ⑦성행(盛行)시키다. 유행(流行)시키다. ⑧즐겁다. 흥(興)겹다. ⑨기뻐하다. ⑩고안(考案)하다. 발명(發明)하다. ⑪성공(成功)하다. ⑫등용(登用)하다. ⑬다스리다. ⑭징발(徵發)하다. ⑮느끼다. ⑯흥(興). 흥취(興趣). ⑰흥미(興味). ⑱취미(趣味). ⑲시(詩)의 한 체(體). ⑳혹시(或是). ㉑어조사(語助辭). ㉒성(姓)의 하나. ㉓피를 바르다 (흔). ㉔다툴 기미(幾微). 실마리 (흔).


溫(온): [氵(삼수변), 총13획] ❶덥히다. 데우다. 따뜻하게 하다. ②미지근하다. 따듯하다. 따스하다. 따뜻하다. ③(성질(性質) 따위가) 부드럽다. 얌전하다. 온순(溫順)하다. 온화(溫和)하다. ④낮다. 훌륭하지 못하다. 단조(單調)롭다. ⑤익히다. 배운 것을 익히다. 복습(復習)하다. 학습(學習)하다. ⑥굼뜨다. 덜 떨어지다. 똑똑하지 못하다. 민첩(敏捷)하지 못하다. ⑦넉넉하다. 족(足)하다. ⑧쌓다. 축적(蓄積)하다. ⑨함유(含有)하다. ⑩온도(溫度). ⑪온천(溫泉). ⑫돌림병(病). 급성(急性) 전염병(傳染病). 열병(熱病). 온병(溫病). ⑬샘의 이름. ⑭성(姓)의 하나.


凊(청): [冫(이수변), 총10획] ❶차갑다. 춥다. ②서늘하다. 선선하다. 시원하다.


★★★★★★★★★★★★★★★★★★★★


☆☆☆☆☆☆☆☆☆☆☆☆☆☆☆☆☆☆☆☆


※參考(참고):
- 임심리박(臨深履薄)


‘깊은 곳을 마주하고 얇은 곳을 밟다’라는 뜻의 임심리박(臨深履薄)은 시경(詩經)의 소아편(小雅篇) 소민지십(小旻之什) 소민(小旻)이라는 시와 논어(論語) 태백편(泰伯篇)에 실려 있는 증자(曾子)의 글을 함께 보아야 정확(正確)하게 알 수 있습니다.


증자는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나라 사람으로, 본명(本名)은 삼(參), 자는 자여(子輿)라고 합니다. 공자(孔子)의 제자(弟子)로, 효심(孝心)이 두터웠던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논어 태백편에는 소민이라는 시의 한 구절(句節)을 인용(引用)하여 제자들에게 가르침을 주었던 증자의 이야기가 다음과 같이 실려 있습니다. 병(病)이 들어 죽음이 다가온 것을 느낀 증자는 제자들을 불러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詩云, 戰戰兢兢 如臨深淵 如履薄冰.
시운, 전전긍긍 여림심연 여리박빙.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두려워하고 겁을 내며 조심(操心)하라, 깊은 못에 임(臨)한 듯, 얇은 얼음을 밟은 듯.’이라고 하였다.
(부모(父母)님께 받은 몸을 시경(詩經)에 나와있는 것처럼 깊은 ‘연못가에 다다른 듯, 살얼음을 밟은 듯, 두려워하고 겁을 내며 조심(操心)히’ 다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여 이렇게 병이 났구나.)


임심리박은 위의 글에서 유래(由來)되었으며, 증자의 말처럼 ‘부모(父母)님께 물려받은 소중(所重)한 몸을 다루는 태도(態度)’를 설명(說明)한 글입니다.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전(出典):
- 1) 시경(詩經) 소아편(小雅篇) 소민지십(小旻之什) 소민(小旻)
- 2) 논어(論語) 태백편(泰伯篇)


※원문(原文):


1) 시경(詩經) 소아편(小雅篇) 소민지십(小旻之什) 소민(小旻)


旻天疾威、敷于下土。
謀猶回遹、何日斯沮。
謀臧不從、不臧覆用。
我視謀猶、亦孔之邛。


潝潝訿訿、亦孔之哀。
謀之其臧、則具是違。
謀之不臧、則具是依。
我視謀猶、伊于胡底。


我龜既厭、不我告猶。
謀夫孔多、是用不集。
發言盈庭、誰敢執其咎。
如匪行邁謀、是用不得于道。


哀哉為猶、匪先民是程、匪大猶是經、維邇言是聽、維邇言是爭。
如彼築室于道謀、是用不潰于成。


國雖靡止、或聖或否。
民雖靡膴、或哲或謀、或肅或艾。
如彼泉流、無淪胥以敗。


不敢暴虎、不敢馮河。
人知其一、莫知其他。
戰戰兢兢、如臨深淵、如履薄冰。


2) 논어(論語) 태백편(泰伯篇)


曾子有疾,召門弟子曰:「啟予足!啟予手!《詩》云『戰戰兢兢,如臨深淵,如履薄冰。』而今而後,吾知免夫!小子!」


※원문(原文) / 해석(解釋):


1) 소민(小旻)


不敢暴虎 不敢馮河.
불감포호 불감풍하.
감(敢)히 호랑이를 맨손으로 치지 못하고, 감히 황하(黃河)를 걸어서 건널 수 없다.


人知其一 莫知其他.
인지기일 막지기타.
사람은 그 하나를 알지만, 그 외(外)에 또 다른 것은 알지 못한다.
(사람들은 호랑이를 맨손으로 때려잡고 황하를 걸어서 건너는 것은 용감(勇敢)한 행동(行動)임을 알지만, 그것이 지혜(智慧)가 부족(不足)한 것임을 알지 못한다.)


戰戰兢兢 如臨深淵 如履薄冰.
전전긍긍 여림심연 여리박빙.
두려워하고 겁을 내며 조심(操心)하라, 깊은 못에 임(臨)한 듯, 얇은 얼음을 밟은 듯.
(깊은 연(蓮)못가에 다다른 듯, 살얼음을 밟은 듯, 두려워하고 겁을 내며 조심(操心)하라.)


2) 논어(論語) 태백편(泰伯篇)


曾子有疾 召門弟子曰.
증자유질 소문제자왈.
증자(曾子)가 병(病)이 있어, 문하(門下)에서 배우는 제자(弟子)을 불러서 말하였다.
(증자(曾子)는 병(病)이 들자, 문하(門下)의 제자(弟子)들을 불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啟予足. 啟予手.
계여족. 계여수.
“나의 발을 펴거라. 나의 손을 펴거라.
(나의 손과 발을 보거라.)


詩云, 戰戰兢兢 如臨深淵 如履薄冰.
시운, 전전긍긍 여림심연 여리박빙.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두려워하고 겁을 내며 조심(操心)하라, 깊은 못에 임(臨)한 듯, 얇은 얼음을 밟은 듯.’이라고 하였다.
(부모(父母)님께 받은 소중(所重)한 몸을 시경(詩經)에 나와있는 것처럼 깊은 ‘연(蓮)못가에 다다른 듯, 살얼음을 밟은 듯, 두려워하고 겁을 내며 조심(操心)히’ 다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여 이렇게 병이 났구나.)


而今而後 吾知免夫. 小子.
이금이후 오지면부. 소자.
지금(只今) 이후(以後), 나는 면(免)하였음을 알겠도다! 제자야.”
(지금(只今)부터, 나는 연못가에 다다른 듯, 살얼음을 밟은 듯, 두려워하고 겁을 내며 조심(操心)하는 것에서 벗어나게 되었구나! 제자들아.)
(이제 곧 병으로 세상(世上)을 떠날 터이니, 나는 이러한 걱정에서 벗어나게 되었구나! 제자들아.)


※參考(참고):
- 숙흥온청(夙興溫凊)


‘이르게 일어나서 차가운 것을 따뜻하게 하라’라는 뜻의 숙흥온청(夙興溫凊)은 예기(禮記) 곡례편(曲禮篇) 상(上)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원문(原文)을 함께 보아야 정확(正確)하게 알 수 있습니다.
*禮記(예기): 유교(儒敎)의 기본(基本) 경전(經典)인 사서오경(四書五經)의 하나.
*四書五經(사서오경):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 시경(詩經), 서경(書經)(상서(尚書)), 역경(易經)(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


앞 구절(句節)인 임심리박(臨深履薄)이 ‘부모(父母)님께 물려받은 소중(所重)한 몸을 다루는 태도(態度)’를 설명(說明)한 글이며, 이 구절은 ‘부모님을 대(對)하는 태도’를 설명한 글입니다.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기(禮記) 곡례편(曲禮篇) 상(上)


凡爲人子之禮:
범위인자지례:
일반적인 사람의 자식(子息)을 위한 예(禮):


冬溫而夏凊 昏定而晨省 在醜夷不爭.
동온이하청 혼정이신성 재추이부쟁.
겨울에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 시원하게, 해질 무렵에 준비(準備)하고 새벽에 안부(安否)를 여쭈며, 같은 무리와 함께할 때는 다투지 아니한다.
(겨울에는 부모(父母)님을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부모님을 시원하게 해드려야 하고, 해질 무렵에는 부모님의 잠자리를 보아드려 편안(便安)히 주무실 수 있도록 준비(準備)하고 새벽에는 부모님보다 일찍 일어나 몸을 단정(端正)하게 한 뒤 부모님의 안부(安否)를 여쭈어야 하며, 친구(親舊)들과 함께 있을 때에 다투면 부모님께 피해(被害)가 갈 수 있으므로 다투어서는 안 된다.)


※參考(참고):
- 관련 고사성어(故事成語)


1) 시경(詩經) 소아편(小雅篇) 소민지십(小旻之什) 소민(小旻)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전긍긍(戰戰兢兢) (바로 가기)
- 포호빙하(暴虎馮河) (바로 가기)


2) 증자는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나라 사람으로, 본명(本名)은 삼(參), 자는 자여(子輿)라고 합니다. 공자(孔子)의 제자(弟子)로, 효심(孝心)이 두터웠던 사람으로 알려져 있으며, 설원(說苑) 담총편(談叢篇)에는 증자의 효심을 알 수 있는 다음과 같은 글도 실려 있습니다.


邑名勝母 曾子不入.
읍명승모 증자불입.
고을이 이름을 승모(勝母)라고 하니, 증자(曾子)는 들어가지 아니하였다.
(고을의 이름이 승모(勝母), 즉(卽) ‘어머니를 이기다’라고 하니, 효자(孝子)인 증자(曾子)는 고을에 들어가지 아니하였다.)


증자와 관련(關聯)있는 고사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증삼살인(曾參殺人) (바로 가기)


★★★★★★★★★★★★★★★★★★★★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