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천자문) (22)
知過必改 得能莫忘.
지과필개 득능막망.
잘못을 깨달으면 반드시 고쳐야 하며, 능력(能力)을 얻으면 잊어서는 안 된다.
(사람은 누구나 잘못을 저지를 수 있으나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달았다면 반드시 고치는 것이 도리(道理)에 맞는 일이며, 사람으로써 알아야 할 것들을 배운 후에는 그것을 잊지 않도록 항상(恒常) 노력(努力)해야 한다.)
※語句(어구):
知過(지과): 잘못을 깨달음. 잘못을 앎.
★★★★★★★★★★★★★★★★★★★★
☆☆☆☆☆☆☆☆☆☆☆☆☆☆☆☆☆☆☆☆
※音(음)과 訓(훈):
知(지): [矢(화살시), 총8획] ❶알다. 깨닫다. 이해(理解)하다. ②알게 하다. 알리다. 이해(理解)시키다. ③나타내다. 드러내다. ④맡다. 맡아보다. 관장(管掌)하다. 주관(主管)하다. 주재(主宰)하다. ⑤대접(待接)하다. ⑥사귀다. ⑦병(病)이 낫다. ⑧지(智)의 뜻. ⑨앎. 지식(知識). 학문(學問). 학식(學識). ⑩슬기. 지혜(智慧). ⑪지사(知事). ⑫대우(待遇). 대접(待接). ⑬사귐. ⑭짝. 배우자(配偶者). ⑮나를 알아주는 사람. 지기(知己). 친(親)한 벗. 친(親)한 친구(親舊).
過(과): [辶(책받침), 총13획] ❶잘못. 허물. 과실(過失). 과오(過誤). ②번(番). 차례(次例). 회(回). ③괘(卦)의 이름. ④예전. ⑤가다. 거치다. (지점(地點)을) 지나다. 경과(經過)하다. ⑥겪다. 보내다. (시점(時點)을) 지나다. 경험(經驗)하다. ⑦(범위(範圍)나 한도(限度)를) 넘다. 초과(超過)하다. ⑧옮기다. 이전(移轉)하다. 전이(轉移)하다. ⑨지나는 길에 들르다. 찾아보다. 문안(問安)하다. 방문(訪問)하다. 예방(禮訪)하다. ⑩어떤 수속(手續)/순서(順序)/절차(節次)/처리(處理)를 거치다/거치게 하다. ⑪보다. 훑어보다. 돌이켜 보다. 되돌아보다. 되살리다. ⑫교제(交際)하다. 왕래(往來)하다. 통(通)하다. ⑬너무하다. 지나치다. 과(過)하다. 심(甚)하다. ⑭분수(分數)에 넘치다. ⑮나무라다. ⑯돌리다. 동사(動詞) 뒤에 쓰여 방향(方向)을 바꿈을 표시(表示). ⑰낫다. 우월(優越)하다. 초과(超過)하다. 동사(動詞)나 형용사(形容詞) 뒤에 쓰여 우월(優越)하거나 초과(超過)함을 표시(表示). ⑱뒤에 쓰여 초과(超過)함을 표시(表示). ⑲동사(動詞) 뒤에 쓰여 지나갔음을 표시(表示). ⑳재앙(災殃) (화).
必(필): [心(마음심), 총5획] ❶반드시 ~해야 한다. 꼭 ~해야 한다. ~할 필요(必要)가 있다. ②이루어 내다. 기필(期必)하다. ③마음과 힘을 모아 오직 한 곳에만 쓰다. 전일(專一)하다. ④보증(保證)하다. ⑤반드시. 틀림없이. 꼭. ⑥오로지. ⑦가벼이. 소홀(疏忽)히. ⑧성(姓)의 하나.
改(개): [攵(등글월문), 총7획] ❶(잘못된 일이나 마음을) 고치다. 바로잡다. 교정(矯正)하다. ②(틀린 것을) 고치다. 바로잡다. 정정(訂正)하다. 수정(修正)하다. ③고쳐지다. ④바꾸다. 변경(變更)하다. 변개(變改)하다. ⑤바뀌다. 달라지다. 변(變)하다. 변모(變貌)하다. ⑥만들다. ⑦개혁(改革)하다. ⑧개혁(改革). ⑨성(姓)의 하나. ⑩다시. ⑪따로. ⑫새삼스럽게.
得(득): [彳(두인변), 총11획] ❶얻다. 획득(獲得)하다. ②손에 넣다. ③계산(計算)하여 값을 얻다. ④병(病)을 얻다. 병(病)을 앓다. ⑤알맞다. 좋다. ~할 만하다. ⑥만족(滿足)하다. 득의(得意)하다. ⑦다 되다. 완성(完城)하다. ⑧고맙게 여기다. ⑨알다. 깨닫다. ⑩분명(分明)해지다. ⑪적합(適合)하다. ⑫이르다. 오다. 미치다. 다다르다. 도달(到達)하다. ⑬이루어지다. ⑭만나다. ⑮탐(貪)하다. 탐(貪)내다. 욕심(慾心)내다. ⑯사로잡다. ⑰이득(利得). 이익(利益). ⑱덕(德). 덕행(德行). ⑲동사(動詞)의 앞에 쓰여 허가(許可)/허용(許容)/가능(可能)함/가능성(可能性)을 표시(表示). ⑳좋아요. 됐어. 응. 동의(同意)나 금지(禁止)를 표시(表示). ㉑아차. 아뿔사. 큰일났다. 할 수 없다. 하는 수 없다. 상황(狀況)이 나쁘게 변(變)하여 어쩔 수 없음을 표시(表示).
能(능): [月(육달월), 총10획] ❶능력(凌轢). 재능(才能). ②인재(人才). 재능(才能) 있는 사람. ③곰. ④성(姓)의 하나. ⑤능(能)하다. 유능(有能)하다. 재능(才能)이 있다. ⑥능(能)히 할 수 있다. ⑦기량(技倆)을 보이다. ⑧화목(和睦)하게 지내다. ⑨~할 수 있다. ~할 힘이 있다. ~할 줄 안다. (능력(能力)을 표시(表示)) ⑩~될 수 있다. ~일 수 있다. ~할 수 있다. ~할 가능성(可能性)이 있다. (추측(推測)) ⑪마땅히/당연(當然)히/응당(應當) ~해야 한다. ~하는 것이 마땅하다. ⑫~에 쓰이다. ~에 효과(效果)가 있다. ⑬견디다 (내).
莫(막): [艹(초두머리), 총11획] ❶~하지 마라. ~해서는 안 된다. ②말다. ③없다. ④~않다. ~못하다. ⑤불가(不可)하다. ⑥꾀하다. ⑦편안(便安)하다. 안정(安定)되다. ⑧조용하다. ⑨드넓다. ⑩아득하다. ⑪막(膜). 물건(物件)의 표면(表面)을 덮고 있는 얇은 물질(物質). ⑫장막(帳幕). ⑬저물다 (모). ⑭날이 어둡다 (모). ⑮나물 (모). ⑯덮다 (멱). ⑰봉(封)하다 (멱).
忘(망): [心(마음심), 총7획] ❶잊다. 잊어버리다. 기억(記憶)하지 못하다. 망각(妄却)하다. ②버리다. 돌보지 않다. ③끝나다. 단절(斷切)되다. ④업신여기다. 경시(輕視)하다. 무시(無視)하다. 소홀(疏忽)히 하다. ⑤망령(妄靈)되다. ⑥잃어버리다. 상실(喪失)하다. ⑦없다. ⑧건망증(健忘症).
★★★★★★★★★★★★★★★★★★★★
☆☆☆☆☆☆☆☆☆☆☆☆☆☆☆☆☆☆☆☆
※參考(참고):
위의 글 외(外)에도 잘못과 관련(關聯)된 글은 여러 문헌(文獻)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 중(中)에서 많이 알려져 있는 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01)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바로 가기)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군자부중즉불위 학즉불고.
1) “군자(君子)는 신중(愼重)하지 아니하면 위엄(威嚴)이 없고, 배워도 견고(堅固)하지 못하다.
2) “군자(君子)는 신중(愼重)하지 아니하면 위엄(威嚴)이 없고, 배우면 고루(固陋)/완고(頑固)하지 않다.
(군자(君子)는 신중(愼重)하지 아니하면 위엄(威嚴)이 없고, 배워야 고루(固陋)하지 않게 된다/완고(頑固)하지 않게 된다.)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충성(忠誠)과 신의(信義)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자기와 같지 않은 사람을 가까이 하지 말고, 잘못을 저지르면 고치기를 꺼리지 마라.”
(충성(忠誠)과 신의(信義)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자기와 같이 인(仁)을 행하지 않는 사람을 가까이 하지 말고, 잘못을 저지르면 고치기를 꺼리지 마라.)
不如(불여): ❶같지 않다. 맞지 않다. 일치(一致)하지 않다. ②(~하는 것보다) ~하는 것이 낫다. (~하는 것보다) ~하는 편(便)이 낫다. ~만 못하다. ~하는 것만 못하다. ~에 미치지 못하다. ③아니면 ~하는 것이 어떨까? 제안(提案)을 표시(表示).
02) 過而不改(과이불개) 是謂過矣(시위과의) (바로 가기)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過而不改 是謂過矣.
과이불개 시위과의.
“잘못을 저질렀는데도 고치지 않는다면, 이것이 잘못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것을 잘못이라고 한다.)
(잘못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것을 잘못이라고 한다.)
03) 子路(자로) 人告之以有過則喜(인고지이유과즉희) (바로 가기)
자로(子路)는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나라 사람으로, 본명(本名)은 중유(仲由)라고 하며 공자(孔子)의 제자(弟子)였습니다.
공자의 제자들 중(中)에서 가장 나이가 많았으며, 강직(剛直)하고 용맹(勇猛)한 성품(性品)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래(元來)는 불량(不良)한 짓을 일삼던 무뢰한(無賴漢)이었으나 공자의 훈계(訓戒)를 받고 제자가 되었으며, 그 뒤 공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헌신적(獻身的)으로 섬긴 인물(人物)입니다.
공자는 자로의 올바르지 못한 행실(行實)을 바로잡아 주기 위(爲)해 많은 노력(努力)을 하였으며, 자로도 자기(自己)의 잘못된 점(點)을 들으면 기뻐하며 그 잘못을 고치는 것을 꺼려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내용(內容)이 맹자(孟子) 공손추상(公孫丑上)편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습니다.
맹자(孟子) 공손추상(公孫丑上)
孟子曰.
맹자왈.
맹자(孟子)가 말하였다.
子路 人告之以有過則喜.
자로 인고지이유과즉희.
“자로(子路)는 다른 사람이 그에게 잘못이 있음을 알려주면 기뻐하였다.
禹聞善言則拜.
우문선언즉배.
우(禹)임금은 좋은 교훈이 될만한 좋은 말을 들으면 절을 하였다.”
(우(禹)임금은 교훈(敎訓)이 될 만한 좋은 말을 들으면 절을 하며 경의(敬意)를 표(表)하였다.)
04) 관련(關聯) 고사성어(故事成語)
공자(孔子)가 자로(子路)의 잘못을 꾸짖는 이야기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도 있습니다.
남상(濫觴)과 포호빙하(暴虎馮河)가 바로 공자와 자로의 대화(對話)에서 유래된 고사성어로,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아래를 참고(參考)하세요.
- 남상(濫觴): 모든 사물(事物)이나 일의 시초(始初) 또는 근원(根源)을 뜻하는 말. (바로 가기)
- 포호빙하(暴虎馮河): 용감(勇敢)한 듯 보이지만 어리석은 행동(行動)을 비유한 말. (바로 가기)
- 철숙음수(啜菽飮水): 집이 가난하더라도 부모(父母)님을 섬기는 일에 온 정성(精誠)과 힘을 다한다는 뜻. (이 고사성어의 원문(原文)에는 잘못과 관련(關聯)된 내용은 없습니다. 자로와 관련된 내용이므로 참고(參考)삼아 읽어보세요.) (바로 가기)
★★★★★★★★★★★★★★★★★★★★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